수학 내적 연결성의 관점에서 본 CMP 교과서와 2015 개정 수학 교과서의 비교 분석
수학 내적 연결성은 위계성과 계열성을 가진 수학 본래의 속성에 기인하므로, 수학을 거시적 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게 도와준다. 본 연구에서는 수학적 연결성 중 수학 내적 연결성의 관점에서 CMP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수학 교과서를 살펴보고 이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Businskas(2008)의 수학 내적 연결성 표현 7가지를 분석 기준으로 삼아 CMP 6학년 교과서의 Covering and Surrounding 단원과 2015 개정 5~6학년군 교과서에서 이에 해당하는 다각형의 둘레와 넓이...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6(3) pp. 257 - 281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31.08.202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9-3229 2635-5914 |
DOI | 10.54340/kseme.2022.26.3.6 |
Cover
Summary: | 수학 내적 연결성은 위계성과 계열성을 가진 수학 본래의 속성에 기인하므로, 수학을 거시적 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게 도와준다. 본 연구에서는 수학적 연결성 중 수학 내적 연결성의 관점에서 CMP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수학 교과서를 살펴보고 이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Businskas(2008)의 수학 내적 연결성 표현 7가지를 분석 기준으로 삼아 CMP 6학년 교과서의 Covering and Surrounding 단원과 2015 개정 5~6학년군 교과서에서 이에 해당하는 다각형의 둘레와 넓이 및 원의 둘레와 넓이 단원을 선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두 교과서는 수학 내적 연결성 관점에서 연결성 표현의 빈도가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공통적으로 함의로의 연결(IP), 절차로의 연결(P), 동등한 표상(E), 일반화를 적용한 연결(G)을 많이 활용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구체적인 서술방식에서는 차이를 보였는데 CMP 교과서에서 강조하고 있는 연결성 표현을 분석한 결과 향후 교과서 개발 시 연결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함의로의 연결(IP)을 통한 개념 간 연결성을 강조하고 변화 요소가 내재된 학습주제를 구성해야 하며 대안적 표상(A)과 절차로의 연결(P)을 통한 영역 간 연결성을 강화하여야 한다는 시사점을 추출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s a comparative analysis of 2015 revised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and textbooks according to the CMP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mathematical internal connection. ‘The Covering and Surrounding’ unit of the CMP textbook was selected, and two units were selected in the 2015 revised textbook, ‘The Perimeter and Area of Polygons’ and ‘Circumference and Area of Circle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CMP textbooks appeared many times in the following order: Implication, Procedure, Equivalent representation, Generalization, Alternate representation, Common features, Inclusion. The 2015 revised textbooks was as follows: Implication and Equivalent representation, Procedure, Generalization, Inclusion, Common feature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two textbooks showed a similar pattern in terms of the number of appearances and commonly used connection method but showed differences in specific way. Based on this, when developing textbooks, connectivity between concepts should be emphasized through Implications and topics with changeable elements should be added. As well as Alternate representation and Procedure should be emphasized in order to strengthen connectivity between domains of mathematics.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229-3229 2635-5914 |
DOI: | 10.54340/kseme.2022.26.3.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