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수의 혼합계산 순서에 대한 초등 수학 예비교사들의 인식과 교사교육에의 함의

이 논문은 자연수의 혼합계산 순서에 대한 초등 수학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 교사교육에의 함의를 논한 것이다. 교육대학교 수학교육과 4학년을 대상으로 한 강좌에서 덧셈과 뺄셈이 섞여 있는 식, 괄호와 사칙계산이 섞여 있는 식의 계산 순서를 주제로 자연수의 혼합계산에 대한 초등 수학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예비교사들은 학생들이 혼합계산식을 한 가지 방법으로만 계산하도록 해야 한다는 인식을 지니고 있었으며 그 주된 근거는 학생들의 혼란 및 오류 방지였다. 혼합계산 순서를 주제로 삼아 사전 과제를 통한 자신의 초기 인식 확인...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8(1) pp. 25 - 46
Main Author 임재훈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8.02.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3229
2635-5914
DOI10.54340/kseme.2024.28.1.2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이 논문은 자연수의 혼합계산 순서에 대한 초등 수학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 교사교육에의 함의를 논한 것이다. 교육대학교 수학교육과 4학년을 대상으로 한 강좌에서 덧셈과 뺄셈이 섞여 있는 식, 괄호와 사칙계산이 섞여 있는 식의 계산 순서를 주제로 자연수의 혼합계산에 대한 초등 수학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았다. 예비교사들은 학생들이 혼합계산식을 한 가지 방법으로만 계산하도록 해야 한다는 인식을 지니고 있었으며 그 주된 근거는 학생들의 혼란 및 오류 방지였다. 혼합계산 순서를 주제로 삼아 사전 과제를 통한 자신의 초기 인식 확인, 수업 토의, 수업 후 자기 반성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경험은 예비교사들이 자연수의 혼합계산 학습 지도에 내재한 사안들을 이해하고 자신의 인식을 성찰하는 기회가 되었다. 교사교육에서 자연수의 혼합계산을 다룰 때 이와 같은 경험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나타난 예비교사들의 인식은 학습 지도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과 구체적인 수학 교과 내용 학습 지도에 대한 인식 사이의 괴리, 학생들이 혼란이나 오류를 경험하는 것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라는 두 측면에서 예비교사들의 인식 변화를 위한 노력이 교사교육에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conceptions on teaching the order of operations and discuss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This study presents conceptions on teaching the order of operations on natural numbers held by thirtee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in a mathematics methods course. The majority of preservice teachers showed the initial conception that it was important to teach a rigid set of rules for the order of operations so that students could calculate accurately in only one way numerical expressions in which addition, subtraction, multiplication or division are mixed. In this methods course, preservice teachers were given an opportunity to discuss conflicting opinions about teaching the order of operations. Through class discussion they could understand the issues inherent in the order of operations. They revised or supplemented their initial conceptions based on class discu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ose a challenge to educational programs of the college of education in the following aspects: First, disagreement between preservice teachers' general conception on teaching and their conception on teaching specific mathematical knowledge such as the order of operations. Second, preservice teachers' negative conception on confusion that students may experience in math class. KCI Citation Count: 0
ISSN:1229-3229
2635-5914
DOI:10.54340/kseme.2024.2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