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예비교사의 문화적으로 반응하는 수학 수업 실태 분석

본 연구는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다문화 수학 수업 실태를 살펴보기 위해 문화적으로 반응하는 교수(Culturally Responsive Mathematics Teaching) 이론을 바탕으로 다문화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을 관찰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명의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수학 수업을 관찰하고 문화적으로 반응하는 교수의 6가지 범주에 따라 범주별 사용 빈도, 모범 사례와 반례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교사들은 전반적으로 다문화 수업 실천 역량이 부족하였으며, 자신의 지식을 전달하는 데 초점을 둔 단방향적 수업을 구...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8(4) pp. 617 - 640
Main Authors 손태권, 강다혜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30.11.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3229
2635-5914
DOI10.54340/kseme.2024.28.4.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다문화 수학 수업 실태를 살펴보기 위해 문화적으로 반응하는 교수(Culturally Responsive Mathematics Teaching) 이론을 바탕으로 다문화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을 관찰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명의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수학 수업을 관찰하고 문화적으로 반응하는 교수의 6가지 범주에 따라 범주별 사용 빈도, 모범 사례와 반례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교사들은 전반적으로 다문화 수업 실천 역량이 부족하였으며, 자신의 지식을 전달하는 데 초점을 둔 단방향적 수업을 구현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교사들이 향후 다문화 수학 수업 역량을 개선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observed and analyzed mathematics lessons of preservice teachers conducted in multicultural classrooms based on the theory of culturally responsive mathematics teaching. Address to this purpose, mathematics lessons of 20 preservice teachers were observed and the frequency of use, best practices, and counterexamples were derived according to the six categories of culturally responsive teaching.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generally lacked multicultural teaching practice abilities and implemented a one-way teaching style focused on conveying their own knowledge.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ed implications for preservice teachers to improve their multicultural mathematics teaching abilities in the future. KCI Citation Count: 0
ISSN:1229-3229
2635-5914
DOI:10.54340/kseme.2024.28.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