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청문제도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제도를 중심으로
한국의 인사청문회제도는 같은 대통령제 국가인 미국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 다. 미국 인사청문회는 미국 헌법에 근거한 제도로, 대통령이 연방 대법원장과 대법관, 대사 등 고위 공직자를 임명하기 전에 공직 후보자에 대하여 상원의 청문 절차를 거치도록 하고 있다. 미 국 인사청문회는 고위 공직자 임명을 위한 상원의 승인 절차의 일환이다. 즉, 미국은 대통령의 고위 공직자 임명시 상원의 승인 절차의 하나로써 인사청문 절차를 거치도록 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먼저 삼권분립과 정부형태의 측면에서 인사청문제도의 성격을 살펴본다....
Saved in:
Published in | 의정논총 Vol. 19; no. 1; pp. 5 - 39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의정연구회
30.06.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한국의 인사청문회제도는 같은 대통령제 국가인 미국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 다. 미국 인사청문회는 미국 헌법에 근거한 제도로, 대통령이 연방 대법원장과 대법관, 대사 등 고위 공직자를 임명하기 전에 공직 후보자에 대하여 상원의 청문 절차를 거치도록 하고 있다. 미 국 인사청문회는 고위 공직자 임명을 위한 상원의 승인 절차의 일환이다. 즉, 미국은 대통령의 고위 공직자 임명시 상원의 승인 절차의 하나로써 인사청문 절차를 거치도록 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먼저 삼권분립과 정부형태의 측면에서 인사청문제도의 성격을 살펴본다. 또한, 한국 인사청문제도의 개선과제를 제시하기 위해 미국의 인사청문제도를 개관하고 그 구체적 절차를 살펴본다. 다음으로, 한국 인사청문회의 도입 및 확대 과정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현재 한국의 인사청문제도의 개선과제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
---|---|
ISSN: | 1975-6461 2465-8324 |
DOI: | 10.18808/jopr.202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