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 추진선 개발 현황과 해양 방사능 방재 대응 방안 : 용융염 원자로(MSR) 추진 선박을 중심으로

전 세계적으로 환경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해운 분야에서도 선박의 화석연료 의존도를 줄이고 대체 연료로 전환하는 등 탄소배출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그럼에 도 불구하고, 지난 10년간 해운 분야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20% 증가하였고, 이대로라면 상황이 더 악화될 것이라는 암울한 전망이 나왔다. 이에 세계는 친환경 에너지의 새로운 패러다임인 원자력에 주목하고 있다. 원자력은 발전과정에서 탄소배출이 전혀 없으며, 소 량의 연료로도 높은 출력을 얻을 수 있어 대형선박의 추진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업...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해양경찰학회보 Vol. 14; no. 4; pp. 117 - 146
Main Authors 김태용, 최부홍, 정운섭, 이윤호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해양경찰학회 31.12.202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34-6252
2635-5159
DOI10.30887/jkmps.2024.14.4.117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전 세계적으로 환경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해운 분야에서도 선박의 화석연료 의존도를 줄이고 대체 연료로 전환하는 등 탄소배출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그럼에 도 불구하고, 지난 10년간 해운 분야의 온실가스 배출량이 20% 증가하였고, 이대로라면 상황이 더 악화될 것이라는 암울한 전망이 나왔다. 이에 세계는 친환경 에너지의 새로운 패러다임인 원자력에 주목하고 있다. 원자력은 발전과정에서 탄소배출이 전혀 없으며, 소 량의 연료로도 높은 출력을 얻을 수 있어 대형선박의 추진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업용 원자력 추진선의 개발 현황과 상용화를 위한 기술 적, 안전성, 경제적, 규제적 측면을 종합적으로 다루었다. 현재 개발되고 있는 Ⅳ세대 용융염 원자로(MSR)는 기존의 가압식원자로(PWR)에 비해 안전성과 경량화에 중 점을 두어 개발되고 있으며, 경제성 면에서도 기존 선박에 비해 유리하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향후에는 원자력 추진선의 안전성 확보를 위한 규제와 방사능 사고 에 대응하는 방재 시스템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될 것이며, 해양경 찰의 역할을 포함한 안전 관리 체계 구축의 중요성이 강조될 것으로 예측된다.
ISSN:2234-6252
2635-5159
DOI:10.30887/jkmps.2024.14.4.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