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형 또는 비정형 대상에 대한 6학년 학생들의 측정 속성 인식 분석
측정의 첫 단계는 측정하려고 하는 것이 무엇인지 아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학교수학에서 간접 측정을 통해 측정값을 얻는 속성인 둘레, 넓이, 겉넓이, 부피의 측정 속성을 학생들이 잘 인식하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네 가지 속성을 모두 학습 완료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에게 각 속성의 정형 대상과 비정형 대상을 포함한 측정 상황으로 구성된 문항을 제시하였다. 학생들의 답안을 근거로 대상별, 속성별 정답률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정형 대상에서 속성을 바르게 인식한 비율이 비정형 대상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둘레와 넓이를...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6(3) pp. 215 - 234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31.08.202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9-3229 2635-5914 |
DOI | 10.54340/kseme.2022.26.3.4 |
Cover
Summary: | 측정의 첫 단계는 측정하려고 하는 것이 무엇인지 아는 것이다. 본 연구는 학교수학에서 간접 측정을 통해 측정값을 얻는 속성인 둘레, 넓이, 겉넓이, 부피의 측정 속성을 학생들이 잘 인식하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네 가지 속성을 모두 학습 완료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에게 각 속성의 정형 대상과 비정형 대상을 포함한 측정 상황으로 구성된 문항을 제시하였다. 학생들의 답안을 근거로 대상별, 속성별 정답률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정형 대상에서 속성을 바르게 인식한 비율이 비정형 대상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둘레와 넓이를 겉넓이와 부피보다 더 잘 인식하였다. 정답을 찾는 전략으로 측정 대상의 차원적 특징 인식 및 측정 속성의 개념이미지와의 연결 등이 나타났으며, 오답의 사례는 속성별로 상이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둘레, 넓이, 겉넓이, 부피의 속성 지도에 대한 교수학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first step in measuring is to know what we are trying to measure.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whether students recognize the measurement attributes of perimeter, area, surface area, and volume, which are attributes that obtain measurements through indirect measurement in school mathematics. For this purpose,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completed learning all four attributes were presented with items consisting of measurement situations including formal or informal objects. Based on the students' answers, the correct answer rates by objects and attributes were analyzed. From the analysis, we found that the students recognized the attributes more correctly in the formal objects than in the informal objects. They also recognized the perimeter and area better than the surface area and volume. Strategies for finding the right answers included the recognition of the 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measurement objects and the connection with their concept images of measurement attributes. Examples of incorrect answers appeared differently for each attribute. Based on these results, didactical implications for teaching the attributes of perimeter, area, surface area, and volume were derived.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229-3229 2635-5914 |
DOI: | 10.54340/kseme.2022.26.3.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