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사회적지지, 극복력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사회적지지, 극복력과 대학생활적응의 정도를 확인하고, 이들의 상관관계 및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활적응을 분석한 결과 대인 관계(F=12.253, p<.001), 건강상태(F=11.331, p<.001), 경제수준(F=8.728, p<.001), 대학생활만족도(F=25.250, p<.001) 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대학생활적응은 전공만족도(r=.573, p<.001), 사회적지지(r=.560, p&...
Saved in:
Published in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JCCT) Vol. 11; no. 1; pp. 125 - 133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국제문화기술진흥원
31.01.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 사회적지지, 극복력과 대학생활적응의 정도를 확인하고, 이들의 상관관계 및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학생활적응을 분석한 결과 대인 관계(F=12.253, p<.001), 건강상태(F=11.331, p<.001), 경제수준(F=8.728, p<.001), 대학생활만족도(F=25.250, p<.001) 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대학생활적응은 전공만족도(r=.573, p<.001), 사회적지지(r=.560, p<.001), 극 복력(r=.657, p<.001)과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대학생활적응의 영향요인으로는 전공만족도(β=.255, p<.001)와 극복력(β=.361, p<.001)으로 나타났다.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이들의 변인의 설명력은 47.3%였다. 간호대학 생의 전공만족도와 극복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및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
Bibliography: | http://www.ipact.kr/eng/iconf/jcct/sub05.php |
ISSN: | 2384-0358 2384-036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