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턴 기반 분수 나눗셈 지도에 대한 고찰

본 연구는 초등수학에서 분수 나눗셈의 효과적인 지도를 위한 교수 전략으로 패턴 기반 접근 방법을 제시하였다. 분수 나눗셈은 직관적으로 이해가 어렵기 때문에 교사와 학생 모두에게 도전적인 주제로 인식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분수 나눗셈과 수학 학습에서 패턴의 의미에 관한 선행 연구 분석, 그리고 분수 나눗셈에 대한 예비 초등교사의 인식 분석을 바탕으로 분수 나눗셈에 대한 패턴 기반 수업 모델을 제시하였다. 예비 초등교사들은 실생활 맥락과 시각적 자료의 활용이 분수 나눗셈의 개념을 직관적으로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며, 패턴 탐구를 통해...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9(1) pp. 1 - 16
Main Author 오영열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8.02.202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3229
2635-5914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초등수학에서 분수 나눗셈의 효과적인 지도를 위한 교수 전략으로 패턴 기반 접근 방법을 제시하였다. 분수 나눗셈은 직관적으로 이해가 어렵기 때문에 교사와 학생 모두에게 도전적인 주제로 인식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분수 나눗셈과 수학 학습에서 패턴의 의미에 관한 선행 연구 분석, 그리고 분수 나눗셈에 대한 예비 초등교사의 인식 분석을 바탕으로 분수 나눗셈에 대한 패턴 기반 수업 모델을 제시하였다. 예비 초등교사들은 실생활 맥락과 시각적 자료의 활용이 분수 나눗셈의 개념을 직관적으로 이해하는 데 필수적이며, 패턴 탐구를 통해 학생들이 계산 원리를 스스로 발견하도록 하는 접근이 효과적인 지도 방법이라고 인식하였다. 또한, 분수의 역수를 취해서 곱해야 하는 계산 원리와 결과값이 커지는 문제와 같은 개념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문제를 창의적으로 지도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수 나눗셈을 지도하기 위해 고안된 패턴 기반 수업 모델은 스토리 제시, 조작 활동, 패턴 발견, 일반화의 네 단계로 설계되었으며, 학생들이 분수 나눗셈을 체계적이고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본 연구는 분수 나눗셈을 보다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한 방법으로 패턴 기반 접근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분수 나눗셈에 대한 다양하고 창의적인 지도 방법이 개발되고 전문가들 사이에 공유될 수 있기를 바란다. This study presented a pattern-based approach as a teaching strategy for effective teaching of fraction division in elementary mathematics. Because fraction division is difficult to understand intuitively, it is recognized as a challenging topic for both teachers and students. Therefore, in this study, a pattern-based instructional model for fraction division was presented based on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on the meaning of patterns in fraction division and mathematics learning, and the analysis of pre-prim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fraction division. Pre-prim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use of real-life context and visual data is essential to intuitively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fraction division, and that an approach that allows students to discover the principle of calculation on their own through pattern exploration is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In addition, They thought there was a need for a method to creatively guide difficult-to-understand problems such as computational principles that must be taken and multiplied by fractions and problems with increasing result values. The pattern-based instructional model designed in this study to guide fraction division was structured around four stages: story presentation, manipulation activity, pattern discovery, and generalization, and focused on helping students understand fraction division systematically and intuitively. This study suggests that pattern-based approaches can more effectively facilitate the teaching of fraction division, and based on this, it is hoped that various and creative teaching methods for fraction division can be developed and shared among experts. KCI Citation Count: 0
ISSN:1229-3229
2635-5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