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강점기 심묘(心畝) 김창환(金彰桓)의 예술 연원과 작품 분석

조선의 멸망과 대한제국의 성립 그리고 일제강점기의 격변하는 시대적 변화 속에서 김창환 의 새로운 사회로의 적응을 위한 삶의 도전 중 하나는 근대교육의 이수를 통해 예술과 언론계 등과 같은 전문직으로 진출이었다. 김창환의 예술작품 연구는 이러한 한국 근대미술사에 있어 외국화풍의 유입으로 인한 전통 예술의 경향과 변화를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임에도 불구하고, 그간 그의 행적이나 문학 혹은 언론 활동에 관한 연구뿐, 작품에 대한 구체적 분석은 없었다. 이는 1917년 김창환의 일본 유학 이전 창작된 간송미술관 <송월학명>...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림일본학 Vol. 43; pp. 5 - 31
Main Author 조정래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일본학연구소 31.12.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738-5334
2466-1015

Cover

Loading…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2. 제국시대의 미술과 화가 김창환 3. 김창환의 인적교류와 화풍 형성 4. 김창환의 <추성부도>와 <탐매도> 5. 맺음말 reference abstract abstract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