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용어의 이름짓기 활동에 나타난 표현 유형과 개념 이미지 분석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수학 용어 이름짓기 활동을 통해 창의적 사고, 개념 이해, 그리고 표현의 전달력을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생 중심 수학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17명이 수와 연산 및 도형 영역의 9개 핵심 용어에 대해 새로운 이름을 생성하도록 하였고, 수집된 이름들을 비유적, 기능적, 감정적, 정의적, 기타 표현의 다섯 가지 유형으로 분류·분석하였다. 또한, 후속 이름 맞추기 활동을 통해 동료가 생성한 이름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와 표현의 전달력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다양한...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9(3) pp. 385 - 405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31.08.202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9-3229 2635-5914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수학 용어 이름짓기 활동을 통해 창의적 사고, 개념 이해, 그리고 표현의 전달력을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생 중심 수학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17명이 수와 연산 및 도형 영역의 9개 핵심 용어에 대해 새로운 이름을 생성하도록 하였고, 수집된 이름들을 비유적, 기능적, 감정적, 정의적, 기타 표현의 다섯 가지 유형으로 분류·분석하였다. 또한, 후속 이름 맞추기 활동을 통해 동료가 생성한 이름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와 표현의 전달력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다양한 표현 유형을 활용하여 수학 용어를 창의적으로 명명하였으며, 이름 맞추기 활동에서 높은 정답률을 보여 동료의 표현을 대체로 성공적으로 이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일부 주관적이거나 특정 맥락에 의존하는 표현의 해석에는 어려움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 주도적 이름짓기 활동이 학생들의 내재된 개념 이미지와 창의적 사고를 드러내는 효과적인 수단임을 보여준다. 나아가, 본 연구는 학생들의 다양한 수학적 표현을 수업의 중요한 자원으로 활용하고, 그 표현의 전달력과 소통 가능성을 함께 탐색하는 과정을 통해 진정한 학생 중심의 수학 교육이 가능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plores creative thinking,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the communicability of representations through elementary school students' mathematical term re-naming activities, with the aim of proposing student-centered mathematics education methods. For this purpose, 17 six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generated new names for nine core mathematical terms in the domains of 'Numbers and Operations' and 'Geometry'. The collected names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into five representation types: figurative, functional, emotional, definitional, and other. Furthermore, a follow-up name-guessing activit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communicability of these peer-generated representations. The results revealed that students creatively named mathematical terms using a variety of representation types. A high correct answer rate in the name-guessing activity indicated general success in interpreting these peer-generated representations; however, students exhibited difficulty with some subjective or context-dependent representat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student-led naming activities are an effective means of revealing students' internalized concept images and creative thinking. This study further suggests that authentic student-centered education is achievable by utilizing students' diverse mathematical representations as valuable classroom resources and exploring their communicability.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229-3229 2635-5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