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기 트라우마 성인여성의 정서적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본 연구에서는 아동기 트라우마를 겪은 성인여성 생존자의 트라우마 영향으로 인한 정서경험에 대하여 심층적 으로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기에 트라우마를 겪은 기혼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수 집된 자료는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자신을 지킬 수 없는 아이’, ‘트라우 마된 아동기 외상’, ‘불안정애착과 착한아이 증후군’, ‘대인관계의 어려움’, ‘자녀양육의 어려움’, ‘신체화증상’, ‘잃어 버 린 나를 찾아서’ 의 7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아울러 본 연구에...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JCCT) Vol. 8; no. 5; pp. 341 - 349
Main Authors 김흥, 김현진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국제문화기술진흥원 30.09.202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384-0358
2384-0366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에서는 아동기 트라우마를 겪은 성인여성 생존자의 트라우마 영향으로 인한 정서경험에 대하여 심층적 으로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아동기에 트라우마를 겪은 기혼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수 집된 자료는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자신을 지킬 수 없는 아이’, ‘트라우 마된 아동기 외상’, ‘불안정애착과 착한아이 증후군’, ‘대인관계의 어려움’, ‘자녀양육의 어려움’, ‘신체화증상’, ‘잃어 버 린 나를 찾아서’ 의 7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양육자로부터 직접 학대를 경험한 외상과 동생 의 사고를 목격 경험한 가족인 형제의 외상이 트라우마로 진행하는 두 사례를 비교와 대조를 통해 가족내에서 자녀 들이 겪어야만 했던 심리 내적인 경험과 부모와 아동기에 형성된 불안정 애착으로 인한 관계외상과 이를 치유해 가 는 성장 경험을 이해하려는 것이 목적이다. 아동기 트라우마를 겪은 성인여성들의 삶의 전반에 반영된 부정적 부적응 적 정서경험에 대한 연구결과를 통해 건강한 자아 회복과 정서적으로 잘 적응하며 살아갈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 다고 볼 수 있다.
Bibliography:http://www.ipact.kr/eng/iconf/jcct/sub05.php
ISSN:2384-0358
2384-03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