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난 구조 활동에서의 급상승이 활성산소 증가에 미치는 영향

이 연구는 수난 구조 활동에서의 급상승이 활성산소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119구조대원을 상대 로 급상승에 따른 활성산소의 변화율을 실험한 연구는 없는 실정으로, 구조대원 인체에 나타나는 증상을 확인하고자 한다. 실험대상자는 5명으로 B, C, E는 잠수 전·후 활성산소 상승 수치가 각각 0.41μmol/L, 0.11μmol/L, 0.87μmol/L 로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그런데, 실험대상자 D는 잠수 전·후 활성산소 상승 수치가 1.41μmol/L로 유의하게 높 게 나타났는데, 수중 시계의 불량에서 오는 불안...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JCCT) Vol. 8; no. 5; pp. 541 - 546
Main Author 전재인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국제문화기술진흥원 30.09.202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384-0358
2384-0366

Cover

Abstract 이 연구는 수난 구조 활동에서의 급상승이 활성산소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119구조대원을 상대 로 급상승에 따른 활성산소의 변화율을 실험한 연구는 없는 실정으로, 구조대원 인체에 나타나는 증상을 확인하고자 한다. 실험대상자는 5명으로 B, C, E는 잠수 전·후 활성산소 상승 수치가 각각 0.41μmol/L, 0.11μmol/L, 0.87μmol/L 로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그런데, 실험대상자 D는 잠수 전·후 활성산소 상승 수치가 1.41μmol/L로 유의하게 높 게 나타났는데, 수중 시계의 불량에서 오는 불안감 증가와 수중구조 활동 후에 급상승 시 피로도 상승에서 기인한 것 으로 보인다. 실험대상자 A는 잠수 전·후 활성산소 상승 수치가 0.07 μmol/L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그 이유는 A의 연령이 54세로 실험대상자 중 가장 잠수 경험이 많고, 119구조대원으로서의 풍부한 구조 활동 경험과 능숙한 수 중활동이 불량한 시계에서 스트레스를 적게 받은 결과로 보인다. 피로도와 불안감은 4로 둘 다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 다. 수중활동 시의 심리적 긴장도가 피로도를 높였고, 수중 시야의 혼탁함이 불안감을 올린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List 이 연구는 수난 구조 활동에서의 급상승이 활성산소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119구조대원을 상대 로 급상승에 따른 활성산소의 변화율을 실험한 연구는 없는 실정으로, 구조대원 인체에 나타나는 증상을 확인하고자 한다. 실험대상자는 5명으로 B, C, E는 잠수 전·후 활성산소 상승 수치가 각각 0.41μmol/L, 0.11μmol/L, 0.87μmol/L 로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그런데, 실험대상자 D는 잠수 전·후 활성산소 상승 수치가 1.41μmol/L로 유의하게 높 게 나타났는데, 수중 시계의 불량에서 오는 불안감 증가와 수중구조 활동 후에 급상승 시 피로도 상승에서 기인한 것 으로 보인다. 실험대상자 A는 잠수 전·후 활성산소 상승 수치가 0.07 μmol/L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그 이유는 A의 연령이 54세로 실험대상자 중 가장 잠수 경험이 많고, 119구조대원으로서의 풍부한 구조 활동 경험과 능숙한 수 중활동이 불량한 시계에서 스트레스를 적게 받은 결과로 보인다. 피로도와 불안감은 4로 둘 다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 다. 수중활동 시의 심리적 긴장도가 피로도를 높였고, 수중 시야의 혼탁함이 불안감을 올린 것으로 사료된다.
이 연구는 수난 구조 활동에서의 급상승이 활성산소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119구조대원을 상대로 급상승에 따른 활성산소의 변화율을 실험한 연구는 없는 실정으로, 구조대원 인체에 나타나는 증상을 확인하고자 한다. 실험대상자는 5명으로 B, C, E는 잠수 전·후 활성산소 상승 수치가 각각 0.41μmol/L, 0.11μmol/L, 0.87μmol/L로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그런데, 실험대상자 D는 잠수 전·후 활성산소 상승 수치가 1.41μmol/L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는데, 수중 시계의 불량에서 오는 불안감 증가와 수중구조 활동 후에 급상승 시 피로도 상승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실험대상자 A는 잠수 전·후 활성산소 상승 수치가 0.07 μmol/L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그 이유는 A의 연령이 54세로 실험대상자 중 가장 잠수 경험이 많고, 119구조대원으로서의 풍부한 구조 활동 경험과 능숙한 수중활동이 불량한 시계에서 스트레스를 적게 받은 결과로 보인다. 피로도와 불안감은 4로 둘 다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수중활동 시의 심리적 긴장도가 피로도를 높였고, 수중 시야의 혼탁함이 불안감을 올린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rapid rise in the rescue activity of suffering on the increase of reactive oxygen species. There is no study that tested the change rate of reactive oxygen species according to the rapid rise in 119 rescue workers, so we want to check the symptoms that appear in rescue workers' bodies. There were 5 subjects, and B, C, and E showed similar values ​​before and after diving: 0.41μmol/L, 0.11μmol/L, and 0.87μmol/L, respectively. However, in subject D, the level of active oxygen rise before and after diving was significantly higher at 1.41μmol/L, which is believed to be due to increased anxiety caused by poor underwater visibility and increased fatigue during rapid ascent after underwater rescue activities. Subject A showed a significantly low increase in active oxygen before and after diving at 0.07μmol/L. The reason seems to be that A is 54 years old and has the most diving experience among the test subjects, and it seems that it is the result of receiving less stress from the poor watch due to the abundant experience of rescue activities as a 119 rescue worker and the skillful underwater activities. Fatigue and anxiety were both high at 4. It is thought that the psychological tension during underwater activities increased fatigue, and the turbidity of the underwater vision raised anxiet. KCI Citation Count: 0
Author 전재인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전재인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879692$$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o9jE1LAkEch4cwyMyvEHsOFuZtx9mjSC-CEIj3YWdnNhZLY-3SLU2iJKhD1Ap66FCnIIMC_Uru3--QZXR6Hvg9_DZRrtVu2TWUp0xyFzMhcv_uyQ1U7HRijTkvcc8nJI_qcJ1mvZEz_3qD54mzGI6yuyE83UN_BOPUmU9v4LILgxmMP39G6H9AbwJXtw68jueTi2XpZO9TmKXZ4MGBtLt4fNlC61Fw3LHFPxZQY2-3UTlwa4f71Uq55lpPEpdbo3XESr7vaRsGRjPBOcUBw4ZwK6SWlGgspdRGejLCxKfGhoLSkBujMWYFtLO6bSWRaoaxagfxL4_aqpmocr1RVQRjDwtBlvH2KrZBchaHx1adJvFJkJwrTiSmkn0DJoBzIA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M1Z
ACYCR
DatabaseName eARticl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Effect of sudden rise in underwater rescue activity on increase in reactive oxygen species
EISSN 2384-0366
EndPage 546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10050661
418028
GroupedDBID M1Z
.UV
ACYCR
ID FETCH-LOGICAL-e581-4edbbf37995becadb364420a30d14e68b821b0888bd858f0192dec622c4ddb003
ISSN 2384-0358
IngestDate Sun Mar 09 07:54:39 EDT 2025
Tue Apr 22 16:20:53 EDT 2025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5
Keywords 수난 구조 활동
불안감
피로도
급상승
Free Radicals
Underwater Rescue Activity
Sudden Rise
Fatigue
Anxiety
활성산소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e581-4edbbf37995becadb364420a30d14e68b821b0888bd858f0192dec622c4ddb003
Notes http://www.ipact.kr/eng/iconf/jcct/sub05.php
PageCount 6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10050661
earticle_primary_418028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20930
PublicationDateYYYYMMDD 2022-09-30
PublicationDate_xml – month: 09
  year: 2022
  text: 20220930
  day: 30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JCCT)
PublicationYear 2022
Publisher 국제문화기술진흥원
Publisher_xml – name: 국제문화기술진흥원
SSID ssib044745911
ssib053376951
ssib023738654
ssib022005506
ssib023402271
Score 1.8076175
Snippet 이 연구는 수난 구조 활동에서의 급상승이 활성산소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119구조대원을 상대 로 급상승에 따른 활성산소의 변화율을 실험한 연구는 없는 실정으로, 구조대원 인체에 나타나는 증상을 확인하고자 한다. 실험대상자는 5명으로 B, C, E는 잠수 전·후 활성산소...
이 연구는 수난 구조 활동에서의 급상승이 활성산소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119구조대원을 상대로 급상승에 따른 활성산소의 변화율을 실험한 연구는 없는 실정으로, 구조대원 인체에 나타나는 증상을 확인하고자 한다. 실험대상자는 5명으로 B, C, E는 잠수 전·후 활성산소...
SourceID nrf
earticle
SourceType Open Website
Publisher
StartPage 541
SubjectTerms 과학기술학
TableOfContents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활성산소(TOS) 및 인체증상 Ⅲ. 급상승의 실험구성 1. 실험대상자의 선정 및 혈액 분석 2. 실험조건 Ⅳ. 실험 결과 및 고찰 1. 수중수색 전·후의 활성산소의 변화율 2. 실험조건 Ⅳ. 실험 결과 및 고찰 1. 수중수색 전·후의 활성산소의 변화율 2. 급상승 후 나타난 인체 증상 Ⅴ. 결론 References
Title 수난 구조 활동에서의 급상승이 활성산소 증가에 미치는 영향
URI https://www.earticle.net/Article/A418028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879692
Volume 8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문화기술의 융합, 2022, 8(5), , pp.541-546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ixMxFA_dPXkRxa_1iwHNaRmZj8w0OU7HKevCepAKexua-RCpbJfSvXgQd11EF0EPol1pDx70JFhBYfdfarP_g-9lpu0gCuplmnl5eXmTl768zCS_EHIzd-zU93liWjnLTZaLtglhBDeZKxF_zPEzvV1s466_dp-tb3qbtdqHyqqlnb68lTz-7b6S_7Eq0MCuuEv2Hyw7FwoESIN94QoWhutf2ZhGIeWcCk6jBuUOFeEqjQLa8GgQYl5g04YFpNtUCMjUXE1MQ56oU2FpAUxnAQXYeCGAU66ZuAuRpk4AUZRMDVYVqQU0CiYHqtMJn3JUBTTwsQSKtHBNxazeVVQlaGJFQALJ5SMEVDBdDu6xYqjFp4FXjaAXe9kezdY3hLhyvlegikJnLlBCs8pXAwyj18OwVXntoZWzUHesLSobDJ-OV1-EwBy6XLUx85fQxZhpuQUS_My580of9iqO2ivgtsox32O_wHHrAZ4hOh5fIkuujR5040k081QOvovzFt-nHZchFKO9uNdnqc49HWN15omFJ4UYu-4LfTboXGuMhsqeBHHOVi-vxDmtM-R02bRGUPCcJbVO9xy5p14MpntDY_Lji_o4Nk4Oh9PXh-r9G7U_VKOBMTl6qZ7tqoNjNfqOmWr_m9obq-evDPV5NBk_BU5j-vVIHQ-mB28NNdg9effpPGk1o1a4ZpancZiZx22TZamUuYv4gfC3b6fShUjasdquldos87nkji1hyOIy5R7PceaQZonvOAlLUxw7LpDlre5WdokYrivSxBdO3cvwsBtXsraExuF5O3OlI-0VcnHWEvF2gbkSF7ZYITegYeJO8jBGWHT8fdCNO70YJn93EH4bbOLbl_9Y_go5teg5V8lyv7eTXYOgsi-va_v-BNrCan8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88%98%EB%82%9C+%EA%B5%AC%EC%A1%B0+%ED%99%9C%EB%8F%99%EC%97%90%EC%84%9C%EC%9D%98+%EA%B8%89%EC%83%81%EC%8A%B9%EC%9D%B4+%ED%99%9C%EC%84%B1%EC%82%B0%EC%86%8C+%EC%A6%9D%EA%B0%80%EC%97%90+%EB%AF%B8%EC%B9%98%EB%8A%94+%EC%98%81%ED%96%A5&rft.jtitle=The+Journal+of+the+Convergence+on+Culture+Technology+%28JCCT%29&rft.au=%EC%A0%84%EC%9E%AC%EC%9D%B8&rft.date=2022-09-30&rft.issn=2384-0358&rft.volume=8&rft.issue=5&rft.spage=541&rft.epage=546&rft.externalDocID=418028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384-0358&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384-0358&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384-0358&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