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난 구조 활동에서의 급상승이 활성산소 증가에 미치는 영향

이 연구는 수난 구조 활동에서의 급상승이 활성산소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119구조대원을 상대 로 급상승에 따른 활성산소의 변화율을 실험한 연구는 없는 실정으로, 구조대원 인체에 나타나는 증상을 확인하고자 한다. 실험대상자는 5명으로 B, C, E는 잠수 전·후 활성산소 상승 수치가 각각 0.41μmol/L, 0.11μmol/L, 0.87μmol/L 로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그런데, 실험대상자 D는 잠수 전·후 활성산소 상승 수치가 1.41μmol/L로 유의하게 높 게 나타났는데, 수중 시계의 불량에서 오는 불안...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JCCT) Vol. 8; no. 5; pp. 541 - 546
Main Author 전재인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국제문화기술진흥원 30.09.202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384-0358
2384-0366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이 연구는 수난 구조 활동에서의 급상승이 활성산소 증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119구조대원을 상대 로 급상승에 따른 활성산소의 변화율을 실험한 연구는 없는 실정으로, 구조대원 인체에 나타나는 증상을 확인하고자 한다. 실험대상자는 5명으로 B, C, E는 잠수 전·후 활성산소 상승 수치가 각각 0.41μmol/L, 0.11μmol/L, 0.87μmol/L 로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그런데, 실험대상자 D는 잠수 전·후 활성산소 상승 수치가 1.41μmol/L로 유의하게 높 게 나타났는데, 수중 시계의 불량에서 오는 불안감 증가와 수중구조 활동 후에 급상승 시 피로도 상승에서 기인한 것 으로 보인다. 실험대상자 A는 잠수 전·후 활성산소 상승 수치가 0.07 μmol/L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그 이유는 A의 연령이 54세로 실험대상자 중 가장 잠수 경험이 많고, 119구조대원으로서의 풍부한 구조 활동 경험과 능숙한 수 중활동이 불량한 시계에서 스트레스를 적게 받은 결과로 보인다. 피로도와 불안감은 4로 둘 다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 다. 수중활동 시의 심리적 긴장도가 피로도를 높였고, 수중 시야의 혼탁함이 불안감을 올린 것으로 사료된다.
Bibliography:http://www.ipact.kr/eng/iconf/jcct/sub05.php
ISSN:2384-0358
2384-03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