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 전공 연구자의 서지학적 연구 동향
이 논문은 타 전공 서지학 연구자의 서지학적 연구 동향에 대한 계량적 분석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저자의 배경은 대학 또는 대학부속기관에 소속되어 있는 교수와 연구원이다. 이들은 인문과학 분야 소속 연구자가 가장 많으며, 자연과학 분야의 한의학 연구자도 특징적이다. 둘째, 타 전공 서지학 연구자는 평균 3.28편의 논문을 저술하였으며, 국어국문, 역사, 중어중문, 미술 등의 전공자가 다수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대체로 단독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타 전공 서지학 연구자의 전체논문 중 평균 4편...
Saved in:
Published in | 서지학연구, 0(72) pp. 225 - 250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서지학회
31.12.2017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5-5246 2671-8758 |
DOI | 10.17258/jib.2017..72.225 |
Cover
Summary: | 이 논문은 타 전공 서지학 연구자의 서지학적 연구 동향에 대한 계량적 분석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저자의 배경은 대학 또는 대학부속기관에 소속되어 있는 교수와 연구원이다. 이들은 인문과학 분야 소속 연구자가 가장 많으며, 자연과학 분야의 한의학 연구자도 특징적이다. 둘째, 타 전공 서지학 연구자는 평균 3.28편의 논문을 저술하였으며, 국어국문, 역사, 중어중문, 미술 등의 전공자가 다수의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대체로 단독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타 전공 서지학 연구자의 전체논문 중 평균 4편 중 1편은 서지학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셋째, 107종의 다양한 주제 분야의 학술지에 타 전공 서지학 연구자의 논문이 게재되었으며. 그 중 「서지학연구」의 게재율이 가장 높았다. 넷째, 1990년 중반 이후 타 전공 연구자의 서지학적 연구 논문수가 급증하고 있으며, 인터넷 환경의 변화와 원문 DB 구축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연구대상 문헌의 소장처로 도서관과 대학도서관 외에 박물관 등이 조사되었으며, 국가별로는 국내 외에 일본이 가장 많은 연구대상 문헌의 소장처임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타 전공 서지학 연구자 조사 결과 통합적 연구 경향이 다소 보이므로 연구 영역의 확대가 기대된다. 둘째, 인터넷 및 디지털 연구 환경 변화에 따른 원문 DB화 및 고전자료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정보서비스가 필요하다. 셋째, 타 전공 서지학 연구자들의 연구 활동으로 다양한 문헌과 소장처의 발굴이 기대된다. 넷째, 타 전공 연구자의 서지학적 연구는 기초조사로서의 연구 방법만이 아닌 연구분야로 조성되길 기대한다. 다섯째, 게재율이 가장 높게 조사된 「서지학연구」의 전문학술지로서의 위상 제고 외에 서지학 분야의 통합형 및 융합형의 학문으로의 전개가 기대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quantitative trend analysis of bibliographical researches with different majors. Firstly, the bibliographical researchers of different majors are the professors and researchers who belonged to universities and auxiliary facilities. The researchers who belonged to the human science fields dominate this group and it is to be noted that persons majoring in oriental medicine of natural science fields also conducted bibliographical researches. Secondly, the bibliographical researchers of different majors authored average 3.28 articles and they included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history,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and fine arts. Overall, most of them conducted researches for themselves. On average, one in four of the total articles were bibliographical researchers of different majors’ bibliographical studies. Thirdly, bibliographical researchers of different majors’ articles were published at 107 types of various subject areas of journals and among them, the publication rate of research of bibliography was the highest. Fourthly, the number of articles related to bibliography has on the significant increase since mid-1990s, while being influenced by the change in internet environment and the construction of full-text DB. Fifthly, museums, as well as libraries and university libraries, were investigated as the possessors of the bibliographical documentations of research and it was found out that Japan is the largest possessor of documentation next to Korea.
Based on this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irstly, the expansion of research fields is expected, based on integrated research trend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of bibliographical researchers of different majors. Secondly, data basing of the possessors’ full text and more active information service on classical materials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research environment in internet or digital research are needed. Thirdly, the discovery of various documentations and possessors is expected as a result of studies by bibliographical researchers of different majors. Fourthly, it is expected that the bibliographical research of bibliographical researchers with different majors will be research field which is not confined to research methods as basic investigation. Fifthly, in addition to the improvement of position of ‘bibliography research’ which were found to record highest publication rate as professional academic journals, bibliography needs to be evolve into the integrated and fusion studies. KCI Citation Count: 1 |
---|---|
Bibliography: | https://doi.org/10.17258/jib.2017..72.225 |
ISSN: | 1225-5246 2671-8758 |
DOI: | 10.17258/jib.2017..72.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