釋迦塔本 「無垢淨光經」 經板의 復原 檢討

이 연구는 석가탑 출토의 「무구정광경」의 각판방식과 권수부분의 형식을 고찰하여 향후 경판을 복원함에 있어 기초적 고증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러한 내용을 검토한 결과 대략 길이 60㎝, 넓이 30㎝ 정도의 목판 2판이 소용될 것이며, 경판의 앞뒤로 각각 3면씩 모두 12면을 판각하는 방식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무구정광경」이 석가탑에서 수습된 이래 대다수의 연구자에 의해 이 불경의 형태적 특징을 언급하면서 대부분 ‘譯者名’ 또는 ‘漢譯者名’이 기재되어 있는 것으로 추단해 왔다. 그러나 필자는 국내 전본의 왕궁탑본 <金紙金剛經&...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서지학연구, 0(42) pp. 47 - 73
Main Author 송일기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서지학회 30.06.200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5246
2671-8758
DOI10.17258/jib.2009..42.47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이 연구는 석가탑 출토의 「무구정광경」의 각판방식과 권수부분의 형식을 고찰하여 향후 경판을 복원함에 있어 기초적 고증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러한 내용을 검토한 결과 대략 길이 60㎝, 넓이 30㎝ 정도의 목판 2판이 소용될 것이며, 경판의 앞뒤로 각각 3면씩 모두 12면을 판각하는 방식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무구정광경」이 석가탑에서 수습된 이래 대다수의 연구자에 의해 이 불경의 형태적 특징을 언급하면서 대부분 ‘譯者名’ 또는 ‘漢譯者名’이 기재되어 있는 것으로 추단해 왔다. 그러나 필자는 국내 전본의 왕궁탑본 <金紙金剛經> 등 4종의 실물자료의 실례를 살펴 본 결과, 이 불경에는 본래부터 ‘譯者表示’는 기재되어 있지 않았던 것으로 판단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pose the method of restoring Sutra wood blocks by studying the techniques of engraving on the wood blocks and the style of a head of Mukujungkwangkyung(無垢淨光經) found in the Sukka-tower. It is proposed that to restore wood blocks, two pieces of wooden blocks which measure 60cm by 30cm are needed, and three pages can be carved on both sides of each block to produce a total of 12 pages. Also, since the discovery of Mukujungkwangkyung from the Sukka-tower, many researchers, referring t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is sutra, inferred that ‘name of a translator(譯者名)’ or ‘name of a translator in classical Chinese(漢譯者名)’ was written. However, based on the examination of four other existing resources, including Wanggung-tower Gold-paper Diamond-sutra(王宮塔本 金紙金剛經) transmitted to Korea, it can be concluded that ‘name of a translator in classical Chinese’ was originally not included in Mukujungkwangkyung. KCI Citation Count: 4
Bibliography:G704-000060.2009..42.003
ISSN:1225-5246
2671-8758
DOI:10.17258/jib.2009..42.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