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박의 통항 안전성 향상을 위한 항로정보 서비스 방식의 개선 방안 연구

우리나라 「해사안전법」은 선박이 통항하는 항로, 속력 및 그 밖에 선박 운항에 관한 사항을 지정하는 항로지정방식을 제정·운영하고 있는데, 이는 「해상에서의 인명안전을 위한 국제협약(SOLAS 협약)」제5장 제10조에 따른 항로지정 방식 및 국제해사기구(IMO)의 「선박항로에 관한 일반규정」에 근거를 두고 있다. 우리나라의 항로지정방식에는 항로를 지정·고시, 순찰 등의 내용이 수록되어 있으며, 항로에 관한 정보는 지방해양수산청에서 고시 형태로 공표하고 있다. 그러나 서술식 표현과 좌표 형식으로 제공되고 있어서 항로의 이용, 관리, 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해양경찰학회보, 9(2) pp. 289 - 311
Main Authors 박병문, 오세웅, 정민, 최윤수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해양경찰학회 31.05.2019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34-6252
2635-5159
DOI10.30887/jkmps.2019.9.2.28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우리나라 「해사안전법」은 선박이 통항하는 항로, 속력 및 그 밖에 선박 운항에 관한 사항을 지정하는 항로지정방식을 제정·운영하고 있는데, 이는 「해상에서의 인명안전을 위한 국제협약(SOLAS 협약)」제5장 제10조에 따른 항로지정 방식 및 국제해사기구(IMO)의 「선박항로에 관한 일반규정」에 근거를 두고 있다. 우리나라의 항로지정방식에는 항로를 지정·고시, 순찰 등의 내용이 수록되어 있으며, 항로에 관한 정보는 지방해양수산청에서 고시 형태로 공표하고 있다. 그러나 서술식 표현과 좌표 형식으로 제공되고 있어서 항로의 이용, 관리, 순찰 등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데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항로정보 제공의 현황과 기술적 한계를분석하고 공간정보 기술을 기반으로 한 항로정보 통합 서비스 개념의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재 우리나라의 항로정보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항로에 관한 정보가 항해자뿐만 아니라 관리자, 순찰, 어민 등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하기 위한 법적 근거의 필요성과 방안을 제시하고, 항로정보가 다양한 이용자에게효과적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특별 간행물의 제작 방안을 찾아보고, 또한 국제수로기구에서 개발한 공간정보 표준인 S-100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항로정보 통합 서비스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 제시된 기술에 대한 연구가 이어지고 항로정보 통합 서비스가 실현된다면, 항로의 이용, 관리뿐만 아니라 해상교통안전을 위한중요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The Korean Maritime Safety Act establishes and operates Ships’ Routeing Systems that specifies the route, speed, and other matters related to the navigation of vessels. This is based on Regulation 10 (Ships’ Routeing), Chapter V of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for the Safety of Life at Sea and the “General Provisions on Ships’ Routeing” of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The Ships’ Routeing Systems in Korea includes contents such as designation and patrol of the route, and the information on the route is published in the form of a notice by the Regional Office of Oceans and Fisheries. However, it is provided in textual format including coordinate information, which causes problems like the effective use, management and patrol of the rout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resent status and technical problems of the provision of the Ships’ Routeing Information and proposed a plan to improve the concept of the Ships’ Routeing Information Integration Service based on the Geo-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KCI Citation Count: 0
ISSN:2234-6252
2635-5159
DOI:10.30887/jkmps.2019.9.2.2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