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into-Arabic translations of English modals in Shakespeare's Macbeth: The perils of translating English modals by zero equivalents
본 연구는 영어 법조동사의 아랍어 번역 시 제로 등가(생략) 전략을 사용했을 때 발생하는 의미적 차이를 보여주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사례연구로 맥베스에 사용된 영어 법조동사를 코퍼스로 구축한 후 이를 분석한다. 맥베스에 쓰인 166개의 법조동사 중 39개 (23.5%)는 아랍어 번역본에서 삭제되었다. 대부분의 경우 가능성의 의미가 확신의 의미를 가지게 되는 등 영어 조동사의 의미를 훼손되었으며 이러한 생략 전략은 종종 영어 조동사에서 나타내고자 하는 중요한 뉘앙스를 훼손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 연구는 영어의 엄격한 문법 시...
Saved in:
Published in | 통번역학연구, 16(3) pp. 289 - 308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English |
Published |
통번역연구소
30.08.201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975-6321 2713-8372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영어 법조동사의 아랍어 번역 시 제로 등가(생략) 전략을 사용했을 때 발생하는 의미적 차이를 보여주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사례연구로 맥베스에 사용된 영어 법조동사를 코퍼스로 구축한 후 이를 분석한다. 맥베스에 쓰인 166개의 법조동사 중 39개 (23.5%)는 아랍어 번역본에서 삭제되었다. 대부분의 경우 가능성의 의미가 확신의 의미를 가지게 되는 등 영어 조동사의 의미를 훼손되었으며 이러한 생략 전략은 종종 영어 조동사에서 나타내고자 하는 중요한 뉘앙스를 훼손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본 연구는 영어의 엄격한 문법 시스템과는 달리 아랍어는 조동사 표현이 다양해 이를 사용하여 영어 법조동사가 지니고 있는 미묘한 의미의 차이를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린다.
그러므로 번역사는 영어에서 아랍어로 번역할 때 법조동사 번역에 각별히 유의해야 하며,생략 전략은 원본의 의미를 적확히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는 인식을 가져야겠다. KCI Citation Count: 0 |
---|---|
Bibliography: | G704-002016.2012.16.3.008 |
ISSN: | 1975-6321 2713-837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