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屬活字 蜜蠟鑄造法의 安定性 提高를 위한 實驗 硏究

금속활자를 안정적으로 주조할 수 있는 밀랍주조법의 조건을 도출하였다. (1) 어미자의 재료와 어미자군의 수량: 왁스로 제작한 60개의 어미자군이 효과적이었다. 금속의 양은 400g이었다. (2) 주형의 재료와 비율: 황토 89%, 종이 섬유 1%, 탄분 10%를 혼합한 주형 재료는 유용하였다. (3) 주형의 규격: 가로 세로 높이(두께)를 170 × 250 × 30∼35mm로 하여 어미자군의 가장자리 여유 폭이 20mm 이상이어야 효과적이었다. (4) 주탕도의 굵기와 길이: 5 × 9 × 210mm가 효과적이었다. (5) 주형의 소...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서지학연구, 0(57) pp. 169 - 208
Main Author 조형진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서지학회 30.03.201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5-5246
2671-8758
DOI10.17258/jib.2014..57.169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금속활자를 안정적으로 주조할 수 있는 밀랍주조법의 조건을 도출하였다. (1) 어미자의 재료와 어미자군의 수량: 왁스로 제작한 60개의 어미자군이 효과적이었다. 금속의 양은 400g이었다. (2) 주형의 재료와 비율: 황토 89%, 종이 섬유 1%, 탄분 10%를 혼합한 주형 재료는 유용하였다. (3) 주형의 규격: 가로 세로 높이(두께)를 170 × 250 × 30∼35mm로 하여 어미자군의 가장자리 여유 폭이 20mm 이상이어야 효과적이었다. (4) 주탕도의 굵기와 길이: 5 × 9 × 210mm가 효과적이었다. (5) 주형의 소성 온도와 가열 속도: 700℃까지 가열하되, 8시간에 걸쳐서 서서히 가열 온도를 올리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6) 주조의 성공률과 편차: 평균 성공률은 98.18%, 편차는 5.0%였다. (7) 활자 자적의 특징과 완성도: 「직지」에서 발견할 수 있는 특징이 모두 나타났다. 활자의 완성도는 자적의 특징에 의한 완성도와 시각적 완성도에서 모두 매우 높았다. 따라서 본 연구가 제시한 밀랍주조법은 직지활자를 안정적으로 주조했던 방법일 가능성이 대단히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ttempted to specify the conditions for increasing stability of metal type wax casting method. (1) The matrix material and the number of matrices: Sixty matrices made of injection wax were useful as the cluster. The amount of metal was 400grams. (2) The mould material and proportion: The mixture of 89% yellow earth, 1% paper fiber, and 10% charcoal powder was effective as the material for mould. (3) The size of mould: The width, length, and height (thickness) were 170 × 250 × 30∼35mm and the marginal width and length for the matrix cluster had to be larger than 20mm to be effective. (4) The main path caliber and length for metal fluid: The size of 5 × 9 × 210mm was effective. (5) The burning temperature of mould and heating speed: A gradual heating process for 8 hours to reach the temperature up to 700℃ was effective. (6) The casting success rate and variance: The average success rate was 98.18%, and the overall variance was 5.0%. (7) The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of type strokes: All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in Jikji were observed here. The overall type quality was very high in both type strokes and visual aspect. Therefore, it is highly probable that the wax casting method adopted by this experiment is the method that was actually used to cast Jikji type stably.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G704-000060.2014..57.009
ISSN:1225-5246
2671-8758
DOI:10.17258/jib.2014..57.1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