実現の助動詞「ぬ」と「つ」に関する一考察 ―『三代集』の否定表現を中心として
본고는 「Nu」와 「Tsu」가 회화체로 사용되었던 시기에 성립한 『三代集』 속 부정표현에 접속한 실현의 조동사 「Nu」와 「Tsu」가 어떠한 의미를 나타냈는지를 고찰한 것이다. 부정을 표현하는 경우 조동사 「Nu」와 「Tsu」는 정형적인 용법으로 사용되었다. 「Nu」는 「Zari」에 접속한 일이 없고, 동사 「Naru」와 함께 「~Zunarinu」를, 「Tsu」는 「Zu」에 접속하는 일이 없고 「Zari」를 동반해 「~Zaritsu」형을 취한다. 「~Zunainu」는 부정적인 방향으로 사태가 실현된 것에 대해 화자가 자연추이적인 인...
Saved in:
Published in | 日本學硏究, 55(0) Vol. 55; pp. 289 - 312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Japanese |
Published |
일본연구소
30.09.2018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737X 2465-8448 |
Cover
Table of Contents:
- <要旨> Ⅰ. はじめに Ⅱ. 先行研究 Ⅲ. 助動詞「ぬ」と「つ」の意味 Ⅳ. 『三代集』の否定表現 Ⅴ. おわりに 参考文献 <要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