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lish Derived Nouns in -er Their Unique Functions Different from the Korean Counterparts

본 연구는 영어에서 매우 다양한 환경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er 파생명사의 통사적 구조와 문장구성사의 기능을 한국어의 대응 사례들과 비교하여 분석하고 영어와 한국어의 언어구조의 차이 뿐 만 아니라 양언어의 배경이 되는 문화의 차이로 설명하고자 한다. 영어의 -er 파생명사는 그 생산성과 활용 면에서 이와 가장 유사하다고 할 수 있는 한국어 명사파생어미 ‘-자’와 현저한 차이를 보임을 실제 예들을 바탕으로 논의할 것이다. 구조적으로 영어는 명사의 출현빈도와 기능이 매우 높은 명사중심언어라는 점과 영어 문화의 특성인 개인주의가 이러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통번역학연구, 16(3) pp. 183 - 209
Main Author 이영옥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English
Published 통번역연구소 30.08.201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975-6321
2713-8372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영어에서 매우 다양한 환경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er 파생명사의 통사적 구조와 문장구성사의 기능을 한국어의 대응 사례들과 비교하여 분석하고 영어와 한국어의 언어구조의 차이 뿐 만 아니라 양언어의 배경이 되는 문화의 차이로 설명하고자 한다. 영어의 -er 파생명사는 그 생산성과 활용 면에서 이와 가장 유사하다고 할 수 있는 한국어 명사파생어미 ‘-자’와 현저한 차이를 보임을 실제 예들을 바탕으로 논의할 것이다. 구조적으로 영어는 명사의 출현빈도와 기능이 매우 높은 명사중심언어라는 점과 영어 문화의 특성인 개인주의가 이러한 특이한 구조의 발달에 기여했다 는 사실을 동사가 문장의 말미에 출현하며 다양한 통사적 기능을 담당하는 동사 중심적 한국어의 특성과 한국어의 배경문화로서 집단주의적 성격을 대비하여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영어 -er 파생명사의 다양한 기능 중 무생물을 지칭하는 의인화의 기능에관하여 한국어의 경우와 비교하여 논의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영어 구문들을 동일한 구조와 기능의 파생명사가 부재하는 한국어로 번역하고자 할 때 나타나는 문제점과 그 해결방법을 제시할 것이다. 이로써 영어와 한국어 간의 차이를 좀 더 세밀하게 규정할 수 있고 이와 함께 영어와 한국어간의 상호 번역 및 통역과정에서 이러한 결과를 활용하여 보다 완성도 높은 번역과 통역의 결과물을 생산해 낼 수 있는 초석을 마련하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G704-002016.2012.16.3.006
ISSN:1975-6321
2713-83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