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A 및 FGI 분석을 통한 자율주행차량 핸디캡과 발생원인 분석
자율주행차량의 상용화를 앞당기기 위해서는 현재 자율주행자동차의 주행안전성을 저하시 키는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자율 주행을 연구하는 전문가를 대상으로 중요도-만족도(IPA)와 포커스그룹 인터뷰(FGI)를 수행하 여 자율주행차량의 주행안전성에 문제가 발생하는 원인과 국내의 자율주행 기술 수준 등을 파 악하였다. 설문 결과 현재 자율주행 핸디캡 중에 공사 구간, 폭우/폭설 상황, 미세먼지 상황, 포트홀 존재 상황이 중요도보다 현재 기술 수준에 대한 만족도가 낮아 우선적인 연구개발이...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ITS학회 논문지, 20(3) Vol. 20; no. 2; pp. 34 - 46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ITS학회
30.06.2021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738-0774 2384-1729 |
DOI | 10.12815/kits.2021.20.3.34 |
Cover
Loading…
Summary: | 자율주행차량의 상용화를 앞당기기 위해서는 현재 자율주행자동차의 주행안전성을 저하시 키는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자율 주행을 연구하는 전문가를 대상으로 중요도-만족도(IPA)와 포커스그룹 인터뷰(FGI)를 수행하 여 자율주행차량의 주행안전성에 문제가 발생하는 원인과 국내의 자율주행 기술 수준 등을 파 악하였다. 설문 결과 현재 자율주행 핸디캡 중에 공사 구간, 폭우/폭설 상황, 미세먼지 상황, 포트홀 존재 상황이 중요도보다 현재 기술 수준에 대한 만족도가 낮아 우선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공사 구간과 포트홀은 도로/도로 시설물의 불량과 센서 자체 의 성능이, 날씨와 연결된 상황은 센서의 성능과 알고리즘 부재 등이 가장 큰 원인으로 분석되 었다. 안전한 자율주행의 조속한 실현을 위해서는 자율주행차량의 주행안전성을 저해하는 원 인에 대한 명확한 파악과 해결이 지속해서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
---|---|
Bibliography: | http://journal.kits.or.kr/ |
ISSN: | 1738-0774 2384-1729 |
DOI: | 10.12815/kits.2021.20.3.3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