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출판물의 해외진출 활성화 방안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출판물의 해외진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국내 출판물의 해외진출 현황과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번역출판 산업은 주로 국내에서 발행되는 번역물 위주로 구성되어 해외로 수출되는 번역물의 비중은 낮았다. 둘째, 국내 출판물의 해외진출은 중국을 비롯한 동남아국가에 집중되어 미국 등 서구 지역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셋째, 해외로 수출되는 국내 출판물은 특정 장르, 즉 아동서, 만화, 문학서 등에 한정되어서 문학, 경영, 경제 등의 영역은 활발하지 않았다. 넷째, 중국 독자들이 선호한 장르는...
Saved in:
Published in | 서지학연구, 0(65) pp. 331 - 355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서지학회
31.03.2016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5-5246 2671-8758 |
DOI | 10.17258/jib.2016..65.331 |
Cover
Summary: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출판물의 해외진출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국내 출판물의 해외진출 현황과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번역출판 산업은 주로 국내에서 발행되는 번역물 위주로 구성되어 해외로 수출되는 번역물의 비중은 낮았다. 둘째, 국내 출판물의 해외진출은 중국을 비롯한 동남아국가에 집중되어 미국 등 서구 지역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셋째, 해외로 수출되는 국내 출판물은 특정 장르, 즉 아동서, 만화, 문학서 등에 한정되어서 문학, 경영, 경제 등의 영역은 활발하지 않았다. 넷째, 중국 독자들이 선호한 장르는 아동도서, 학습만화, 실용서, 에세이, 자기계발서 등이었다. 다섯째, 콘텐츠 및 디자인의 질이 높은 출판물이 해외진출에 성공했다. 한편 국내 출판물의 해외진출 활성화를 위해서는 ‘수준 있는 번역가 확보’, ‘공동제작 시스템 구축’, ‘콘텐츠의 다양성 확보’, ‘한류의 적극적인 활용’, ‘체계적인 정책분석(독자욕구, 홍보마케팅, 타이밍전략 등)’, ‘효율적 정보채널 활용’ 등과 관련된 전략을 세워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trategies needed for exporting Korean books to foreign markets. The current status and features of Korean books exported to foreign countries are as followings. First, the share of exporting books was very low. The absolute majority were published for the domestic market. Second, the target of exporting books was mainly focused on the markets of Far East Asian countries including China. Only a marginal share was exported to Western countries such as America, European nations, and others. Third, a very narrow spectrum of genres like cartoon, children’s book, and literature were aiming at foreign markets, Most of publishers did not take foreign markets as their target when they were printing books regarding management, economics, and other classical readings. Fourth, Chinese readers liked books in a narrow range of genres such as children’s books, educational cartoons, essays, pragmatic books, and self-education. Last but not the least, the books well designed and having excellent contents, without exception, led the way in their expor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 order to make a success in foreign markets, we have to break the current predicament. More than anything else, we need to secure qualified translators, establish collaborating work-systems, diversify content materials, take advantage of Han-ryoo, analyze target groups (readers’ needs, ad-marketings, trend changes, etc.) and share the information networks. KCI Citation Count: 7 |
---|---|
Bibliography: | G704-000060.2016..65.009 |
ISSN: | 1225-5246 2671-8758 |
DOI: | 10.17258/jib.2016..65.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