天皇과 日本의 교착과 분열 - 초국가주의자 4인의 <현실> <비전> <천황>
이 논문은 오카와 슈메이, 기타 잇키, 곤도 세이쿄, 미노다 무네키의 현실인식, 이 현실인식과 관계된 비전, 이 비전에 내재된 천황의 위상을 검토하는 것이다. 오카와, 기타, 곤도는 메이지유신 그 자체를 제외한 메이지유신 이후의 일련의 일본의 정치사에 부정적이다. 이 문제를 타개하기 위해 제각각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공통적으로 천황이라는 존재가 부정적인 현실과 장밋빛 미래를 동시에 체현하고 있으며, 그들의 사상에 내재되어 있다. 예외적으로 미노다는 메이지유신 및 메이지 헌법 체제하의 천황・천황제의 절대성을 한층 고양시켜...
Saved in:
Published in | 日本學硏究, 44(0) Vol. 44; pp. 79 - 102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일본연구소
15.01.201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598-737X 2465-8448 |
Cover
Table of Contents:
- <要旨> Ⅰ. 머리말 Ⅱ. 근대 일본의 <현실> 1. 오카와 슈메이 2. 기타 잇키 3. 곤도 세이쿄 4. 미노다 무네키 Ⅲ. <비전>의 교착과 분열 1. 유동적인 천황의 지위와 일본의 절대화 2. 복고적인 국체론 비판 3. 국고 의식자 비판 4. 체제 비판에 대한 ‘성전’ Ⅳ. <비전>의 실현과 <천황>의 위상 1. 내적인 천황과 외적인 천황 2. 혁명의 동지로서의 천황 3. 사직 관념과 천황 4. 천황이라는 신앙 Ⅴ. 결론을 대신하여 參考文獻 <要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