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가면을 활용한 화상상담에 대한 상담자들의 상담 경험 연구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가면을 화상상담에 활용한 가면화상상담을 진행한 상담자들의 경험을 탐색하는데 그 목 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총 10사례에 대한 가면화상상담을 경험한 4명의 상담사와의 초점집단면접 자료가 주제분석방 법을 활용하여 분석되었다. 상담사들은 가면화상상담에 대한 우려가 있었으나 점차 적응해나갔으며 편안함과 재미를 느꼈다. 그러나 화상상담에서보다 더 큰 피로와 부담감을 느껴 가면화상상담을 위한 추가적인 교육훈련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또한 내담자들의 신속한 자기개방과 상담과정을 관찰하면서 디지털가면이 상담매체로 활용될 가능성...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Vol. 8; no. 6; pp. 67 - 77
Main Authors 조은숙, 장은희, 오윤석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30.11.202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384-0358
2384-0366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에서는 디지털가면을 화상상담에 활용한 가면화상상담을 진행한 상담자들의 경험을 탐색하는데 그 목 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총 10사례에 대한 가면화상상담을 경험한 4명의 상담사와의 초점집단면접 자료가 주제분석방 법을 활용하여 분석되었다. 상담사들은 가면화상상담에 대한 우려가 있었으나 점차 적응해나갔으며 편안함과 재미를 느꼈다. 그러나 화상상담에서보다 더 큰 피로와 부담감을 느껴 가면화상상담을 위한 추가적인 교육훈련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또한 내담자들의 신속한 자기개방과 상담과정을 관찰하면서 디지털가면이 상담매체로 활용될 가능성을 긍정 적으로 전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우리는 온라인 상담매체 활용을 위한 상담자 지원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234257591849
ISSN:2384-0358
2384-03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