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안전한 생활’ 교과서 분석

’안전한 생활’ 교과는 초등학교 1·2학년 학생들의 안전 의식 함양을 위하여 64시간의 시수로 2015개정 교육과 정에서 처음 등장했다. 이 연구에서는 표준 교재에 해당하는 교육부 ‘안전한 생활’ 교과서에 제시되는 키워드에 대하 여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했다.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은 ‘안전한 생활’ 교과서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개념과 개념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빈도와 중요도를 객관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연구 결과 ‘안전한 생활’ 교과서는 주제 측면에서 ‘생활안전’, ‘교통안전’, ‘재난안전’ 영역이 강조되고 있다. 방법 측면에서는...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Vol. 9; no. 3; pp. 103 - 109
Main Authors 장덕진, 공하성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31.05.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384-0358
2384-0366

Cover

Abstract ’안전한 생활’ 교과는 초등학교 1·2학년 학생들의 안전 의식 함양을 위하여 64시간의 시수로 2015개정 교육과 정에서 처음 등장했다. 이 연구에서는 표준 교재에 해당하는 교육부 ‘안전한 생활’ 교과서에 제시되는 키워드에 대하 여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했다.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은 ‘안전한 생활’ 교과서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개념과 개념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빈도와 중요도를 객관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연구 결과 ‘안전한 생활’ 교과서는 주제 측면에서 ‘생활안전’, ‘교통안전’, ‘재난안전’ 영역이 강조되고 있다. 방법 측면에서는 ‘체험’ 및 ‘연습’ 등이 많이 나오고 있으며, 교구 측면에서는 ‘카드놀이’ 및 ‘붙임딱지’가 많이 나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체험중심의 안 전교육의 기조를 유지하되 다양한 안전교육 영역 반영과 교수학습자료·방법의 다양화를 시사점으로 제언한다.
AbstractList The Safe Life is an essential subject of education introduc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r first and second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to cultivate safety awarenes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cepts and concepts that are important in the Safe Life textbook using a keyword network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areas of life safety, traffic safety, and disaster safety are emphasized in terms of topics in the textbook.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the Safe Life education are mainly based on "experience" and "practice," and the most common teaching materials are card games and sticky stickers. Based on the findings, we suggest maintaining the experience-oriented safety education approach and diversify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and methods to incorporate various safety education areas. '안전한 생활' 교과는 초등학교 1·2학년 학생들의 안전 의식 함양을 위하여 64시간의 시수로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 처음 등장했다. 이 연구에서는 표준 교재에 해당하는 교육부 '안전한 생활' 교과서에 제시되는 키워드에 대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했다.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은 '안전한 생활' 교과서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개념과 개념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빈도와 중요도를 객관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연구 결과 '안전한 생활' 교과서는 주제 측면에서 '생활안전', '교통안전', '재난안전' 영역이 강조되고 있다. 방법 측면에서는 '체험' 및 '연습' 등이 많이 나오고 있으며, 교구 측면에서는 '카드놀이' 및 '붙임딱지'가 많이 나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체험중심의 안전교육의 기조를 유지하되 다양한 안전교육 영역 반영과 교수학습자료·방법의 다양화를 시사점으로 제언한다.
’안전한 생활’ 교과는 초등학교 1·2학년 학생들의 안전 의식 함양을 위하여 64시간의 시수로 2015개정 교육과 정에서 처음 등장했다. 이 연구에서는 표준 교재에 해당하는 교육부 ‘안전한 생활’ 교과서에 제시되는 키워드에 대하 여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했다.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은 ‘안전한 생활’ 교과서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개념과 개념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빈도와 중요도를 객관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연구 결과 ‘안전한 생활’ 교과서는 주제 측면에서 ‘생활안전’, ‘교통안전’, ‘재난안전’ 영역이 강조되고 있다. 방법 측면에서는 ‘체험’ 및 ‘연습’ 등이 많이 나오고 있으며, 교구 측면에서는 ‘카드놀이’ 및 ‘붙임딱지’가 많이 나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체험중심의 안 전교육의 기조를 유지하되 다양한 안전교육 영역 반영과 교수학습자료·방법의 다양화를 시사점으로 제언한다.
Author 공하성
장덕진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장덕진
– sequence: 2
  fullname: 공하성
BookMark eNo9jD9Lw0AAxQ-pYK39CpLFMXC5f7mMpfi_UJDu4dLcQTBGSbq4Vb1BxEGQgtUEHLoIbqI4-Gk6NpfvYKTF6b3H7723CRrJeSLXQBNhTmyIGWv8e8o3QDvLogAS4hLqOU4TnFTXM_NyXz7mVqln1d13Haqrd6v80kYXptBWNc3N81s1ya35-MlMbs2r_gvmpqjJfDy1Fp8Pi48fo_PVaAusKxFnsr3SFhjs7Q66B3avv3_Y7fRsSTG1XRxgoQJXQgiDMEQsIF5IlRw6rlIuFUgJL3AIIsRjCitEBKmhkJIoj0POcAvsLG9Po2wU-UmYxf5R57iPIMIOg8yhnCJO6972sidFOoqGsfQv0uhMpJc-wZC6CP8CUopv4g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M1Z
JDI
DEWEY 306
DatabaseName e-articles
KoreaScience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Social Sciences (General)
EISSN 2384-0366
EndPage 109
ExternalDocumentID JAKO202316061585285
430572
GroupedDBID M1Z
.UV
JDI
ID FETCH-LOGICAL-e535-73b3afb7e000bdd26b49d5fec17ff75a2fa9b1424496f3f24a4fecaee4f980863
ISSN 2384-0358
IngestDate Fri Dec 22 12:01:05 EST 2023
Tue Apr 22 16:20:53 EDT 2025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Issue 3
Keywords Safe Life
Keyword Analysis
Elementary Safety Education
안전한 생활
키워드 분석
안전 교육과정
Safety Curriculum
Safety Education
초등안전교육
안전교육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LOGICAL-e535-73b3afb7e000bdd26b49d5fec17ff75a2fa9b1424496f3f24a4fecaee4f980863
Notes KISTI1.1003/JNL.JAKO202316061585285
OpenAccessLink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316061585285&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PageCount 7
ParticipantIDs kisti_ndsl_JAKO202316061585285
earticle_primary_430572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30531
PublicationDateYYYYMMDD 2023-05-31
PublicationDate_xml – month: 05
  year: 2023
  text: 20230531
  day: 31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PublicationTitleAlternate 문화기술의 융합
PublicationYear 2023
SSID ssib044745911
ssib053376951
ssib023738654
ssib022005506
ssib023402271
Score 1.832415
Snippet ’안전한 생활’ 교과는 초등학교 1·2학년 학생들의 안전 의식 함양을 위하여 64시간의 시수로 2015개정 교육과 정에서 처음 등장했다. 이 연구에서는 표준 교재에 해당하는 교육부 ‘안전한 생활’ 교과서에 제시되는 키워드에 대하 여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했다.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은...
The Safe Life is an essential subject of education introduc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r first and second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to cultivate...
SourceID kisti
earticle
SourceType Open Access Repository
Publisher
StartPage 103
TableOfContents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 설계 1. 연구 문제 2. 연구 자료 3.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1. 키워드 빈도 분석 2. 키워드 토픽 클러스터링 빈도 분석 3. TF-IDF 분석 4. 중심성 분석 5. N-gram 분석 Ⅳ.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Title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안전한 생활’ 교과서 분석
URI https://www.earticle.net/Article/A430572
http://click.ndsl.kr/servlet/LinkingDetailView?cn=JAKO202316061585285&dbt=JAKO&org_code=O481&site_code=SS1481&service_code=01
Volume 9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i9QwFC_jnryI4tf6sfRgTkulbZI2ObbdyjKyCjLC3oZpm4C4zC7r7MWDrNqDiAdBFlydAQ97EbyJ4kH_mT3udP4HX5LptIcV1EvIx8vjJS-8_PL1Ylm3JKcZzEsS1iZ54BApmMOEN3CynPh5UYSs0PsdG_eC9Yeku0k3O51frVtLe6Psdv701Hcl_6NVyAO9qley_6DZBVPIgDjoF0LQMIR_pWOUriHmo4igNEE8RixBaYw4RjxZVTFGdBkQRShmLSLI8VBkiOJA0UEZhHxNE0ExWVVUnAMrnRWhiOscapibKxKGJ0VMRyJXc2qIgCfWPBecTDUOZSARULk6glGc1BKcJlQbQTdv2bbq-w2Jujm_a7yKwmA2XkJF69RAwehukvRa2x5a8BRFVPeTFlm1IESMNCRGNFo3ic0Fir32XomP62P-2qQCPiGOi42z-Nr-89Ywxy1b7rm4BQs8lzdT5uIio3KYFgICOIM9ZWQ3nqW1MfPVdh1tjrB9TJS3Rq9J6-9WF8aQkJBQ3hhbgOFhwPX3oQupFWCaDzZYS6kFxqMWGOqdt87N-9-ODNUFq_N4-6L1YPbiqPr4ZvpubE_Lo9nrH5CYPf9iT7-XVTmpJqU9OxxXHz7PDsb28f776uBV9alUierlBEqO9w_tk29vT77-rMrxvNIlq3cn7SXrzvzLDkdQ5fsUZ3ggs1DARJsVhR9khBdUitwLpQzpwJcDnum3lTyQWPpkANYhHwhBJGewuMaXraXh9lBcteyAsAK7AJYkEUTkkilfokCU-zgDlOsvW1fqvujvGMcsfaONZWtFd01_WDzZ6neju_fVUPACBd4Z9Rm99seq162zzbC5YS2NdvfETQCdo2xFK_c3fp5xAQ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D%82%A4%EC%9B%8C%EB%93%9C+%EB%84%A4%ED%8A%B8%EC%9B%8C%ED%81%AC+%EB%B6%84%EC%84%9D%EC%9D%84+%ED%99%9C%EC%9A%A9%ED%95%9C+%E2%80%98%EC%95%88%EC%A0%84%ED%95%9C+%EC%83%9D%ED%99%9C%E2%80%99+%EA%B5%90%EA%B3%BC%EC%84%9C+%EB%B6%84%EC%84%9D&rft.jtitle=The+Journal+of+the+Convergence+on+Culture+Technology+%28JCCT%29&rft.au=%EC%9E%A5%EB%8D%95%EC%A7%84&rft.au=%EA%B3%B5%ED%95%98%EC%84%B1&rft.date=2023-05-31&rft.issn=2384-0358&rft.volume=9&rft.issue=3&rft.spage=103&rft.epage=109&rft.externalDocID=430572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384-0358&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384-0358&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384-0358&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