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안전한 생활’ 교과서 분석

’안전한 생활’ 교과는 초등학교 1·2학년 학생들의 안전 의식 함양을 위하여 64시간의 시수로 2015개정 교육과 정에서 처음 등장했다. 이 연구에서는 표준 교재에 해당하는 교육부 ‘안전한 생활’ 교과서에 제시되는 키워드에 대하 여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했다.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은 ‘안전한 생활’ 교과서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개념과 개념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빈도와 중요도를 객관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연구 결과 ‘안전한 생활’ 교과서는 주제 측면에서 ‘생활안전’, ‘교통안전’, ‘재난안전’ 영역이 강조되고 있다. 방법 측면에서는...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Vol. 9; no. 3; pp. 103 - 109
Main Authors 장덕진, 공하성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31.05.2023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384-0358
2384-0366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안전한 생활’ 교과는 초등학교 1·2학년 학생들의 안전 의식 함양을 위하여 64시간의 시수로 2015개정 교육과 정에서 처음 등장했다. 이 연구에서는 표준 교재에 해당하는 교육부 ‘안전한 생활’ 교과서에 제시되는 키워드에 대하 여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했다.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은 ‘안전한 생활’ 교과서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개념과 개념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빈도와 중요도를 객관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연구 결과 ‘안전한 생활’ 교과서는 주제 측면에서 ‘생활안전’, ‘교통안전’, ‘재난안전’ 영역이 강조되고 있다. 방법 측면에서는 ‘체험’ 및 ‘연습’ 등이 많이 나오고 있으며, 교구 측면에서는 ‘카드놀이’ 및 ‘붙임딱지’가 많이 나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체험중심의 안 전교육의 기조를 유지하되 다양한 안전교육 영역 반영과 교수학습자료·방법의 다양화를 시사점으로 제언한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316061585285
ISSN:2384-0358
2384-03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