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유학생의 그릿과 학업지속의향의 관계에서 친숙도와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본 연구는 몽골유학생을 대상으로 그릿과 학업지속의향의 관계에서 친숙도와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규명하 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전국 대학의 몽골유학생 124명을 대상으로 구글설문지를 활용하여 2021년 5월 1 일부터 6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그릿은 한국문화에 대한 친숙도와 사회적지지에 유의한 영향 을 미쳤다. 학업지속의향은 그릿, 한국문화에 대한 친숙도, 사회적지지에 유의한 영향을 받았다. 그릿은 학업지속의향 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한국문화에 대한 친숙도와 사회적지지는 그릿과 학업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Vol. 8; no. 6; pp. 199 - 205
Main Authors 제남주, 박미라, 윤지원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30.11.202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몽골유학생을 대상으로 그릿과 학업지속의향의 관계에서 친숙도와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규명하 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전국 대학의 몽골유학생 124명을 대상으로 구글설문지를 활용하여 2021년 5월 1 일부터 6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그릿은 한국문화에 대한 친숙도와 사회적지지에 유의한 영향 을 미쳤다. 학업지속의향은 그릿, 한국문화에 대한 친숙도, 사회적지지에 유의한 영향을 받았다. 그릿은 학업지속의향 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한국문화에 대한 친숙도와 사회적지지는 그릿과 학업지속의향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업지속의향을 높이기 위해 그릿을 높이고, 한국문화 친숙도와 사회적 지지체계를 활용한 돕는 상담 및 교육프로그램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Bibliography:KISTI1.1003/JNL.JAKO202234257505832
ISSN:2384-0358
2384-03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