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 현상에 따른 곡선의 조형원리에 관한 업스타일 연구

본 연구는 헤어분야에 다양하고 역동적인 업스타일을 연출하고, 새로운 예술성을 자연현상에서 찾아 국한되어 있는 헤어스타일에 다양한 장르를 접목시키기 위한 목적이 있다. 자연 현상에서 업스타일의 토대가 되는 기본적인 모티브를 찾아 업스타일에 응용해 보았다. 뷰티산업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되어지는 것은 개성적 연출과 더불어 헤어분야의 독창성과 창조적인 형태를 만드는 것이겠다. 일상생활에서 다양하게 접하고 볼 수 있는 자연 현상을 관찰함으로서 업스타일의 독창적이고 새로운 면모를 연구 할 수 있었다. 조형적 사고를 통해 자연 현상을 관찰하고...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미용예술경영연구 Vol. 10; no. 1; pp. 1 - 17
Main Authors 정민화, Min-hwa Jung, 최유희, Yu-hee Choi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미용예술경영학회 31.05.2016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508-219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연구는 헤어분야에 다양하고 역동적인 업스타일을 연출하고, 새로운 예술성을 자연현상에서 찾아 국한되어 있는 헤어스타일에 다양한 장르를 접목시키기 위한 목적이 있다. 자연 현상에서 업스타일의 토대가 되는 기본적인 모티브를 찾아 업스타일에 응용해 보았다. 뷰티산업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되어지는 것은 개성적 연출과 더불어 헤어분야의 독창성과 창조적인 형태를 만드는 것이겠다. 일상생활에서 다양하게 접하고 볼 수 있는 자연 현상을 관찰함으로서 업스타일의 독창적이고 새로운 면모를 연구 할 수 있었다. 조형적 사고를 통해 자연 현상을 관찰하고 이를 통해 얻은 영감으로 업스타일 기술을 더욱 다채롭고 조화롭게 표현하고자 했다. 작품 제작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참고, 업스타일의 이론적 고찰을 위한 선행논문, 인터넷 자료검색 등을 활용하여 이론적 배경을 정리하였고 이를 통해 자연현상을 모티브로 한 업스타일 총 4작품을 제작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작품은 도심 속의 장미넝쿨을 보고 영감을 얻어 장미에서 나오는 향기처럼 업스타일에서도 장미향을 느낄 수 있게 업스타일 기법을 응용하였다. 장미의 독창적인 생동감을 표현하기 위해 꼬기와 땋기 기법을 사용하였다. 두 번째 작품은 꽃에 앉은 나비를 보고 역동적인 느낌을 살린 업스타일의 표현하기 위해 땋기와 고리기법을 사용하였다. 세 번째 작품은 탐스러운 포도를 보고 포도송이의 먹음직스럽고 싱그러움을 표현한 업스타일을 표현하기 위해 고리기법을 사용하였다. 네 번째 작품은 활짝 웃는 해바라기를 보고 독특한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업스타일이 되기 위해 말기 기법을 사용하였다. 결론적으로 헤어디자인의 감성과 기술을 세심하게 표현하기 위해 자연이란 모티브를 활용하였으며 자연을 재해석 하는 작업을 통해 사물에 대한 관점의 폭을 넓힐 수 있었다. 작품 제작과정에서 색다른 장르의 접근으로 창작 업스타일의 무한한 가능성을 보여주었고, 자연이란 모티브가 새로운 살롱의 메뉴에 업스타일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하며 제작하였다. 자연 현상을 사진으로 찍어 이미지를 분석하고 특성을 파악하여 작품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앞으로도 업스타일의 기법 개발과 디자인 개발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이번 작품 제작이 소비자와 헤어아티스트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는 매개체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더 나아가 인간의 다양한 사고와 견해를 자연현상에서 찾아 창의적이고 다양한 표현기법을 통해 심도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multifarious and dynamic up style in hair field and combine various genres to limited hairstyles by identifying new artisticity from natural phenomenon. For artwork creation, theoretical backgrounds were summarized based on literatures, preceding studies, materials available on the internet, etc., Four up styles were created with motifs adopted from natural phenomen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first work, inspired by rose bush in cities, was created by twisting and knotting to express rose fragrance. The second work was created by knotting and hooking to express dynamicity of butterfly sitting on flower. The third work was created by hooking to express chubbiness of appetizing grapes. The fourth work was created by rolling with its motif adopted from smiling sunflower. In conclusion, motif of nature was used for careful rendering of emotion and techniques in hair design. Perspectives towards objects could be broadened through interpretation of the nature. Unlimited potentials of creative up style were manifested through approach to distinctive genres in production process. Works were created with anticipation that motif of the mature could find application to menu of new salons. Images were analyzed by photographing natural phenomenon, and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in research on works. Those works would help provide basis for development of up style techniques and design in the period ahead.
Bibliography:The Korea Beauty Art Management Association
ISSN:2508-2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