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욕서비스 제공자를 위한 이동형 목욕보조기기 개발 및 효과성 검증

목적 : 본 연구는 목욕서비스 제공자의 편의성, 업무효율성, 안전성 증진을 통한 근골격계질환 발생 위험성예방 및 감소시킬 수 있는 이동형 목욕보조기기 개발과 이의 효과성 검증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 목욕서비스 제공자는 광역시 소재 요양병원에서 근무하는 간병인, 요양보호사 24명을 대상으로하였다. 연구도구는 목욕서비스 제공자와 전문가집단의 의견수렴을 거쳐 개발한 이동형 목욕보조기기 프로토타입을 사용하였다. 사전평가로 Rapid Entire Body Assessment(REBA), Visual AnalogueScale(VAS)를...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 27; no. 2; pp. 93 - 106
Main Authors 손영효, 정현애, 박제모, 김희동, 황도연, 이지훈, 정화식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작업치료학회 30.06.2019
The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0134
2671-4450
DOI10.14519/kjot.2019.27.2.08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 본 연구는 목욕서비스 제공자의 편의성, 업무효율성, 안전성 증진을 통한 근골격계질환 발생 위험성예방 및 감소시킬 수 있는 이동형 목욕보조기기 개발과 이의 효과성 검증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 목욕서비스 제공자는 광역시 소재 요양병원에서 근무하는 간병인, 요양보호사 24명을 대상으로하였다. 연구도구는 목욕서비스 제공자와 전문가집단의 의견수렴을 거쳐 개발한 이동형 목욕보조기기 프로토타입을 사용하였다. 사전평가로 Rapid Entire Body Assessment(REBA), Visual AnalogueScale(VAS)를 하였으며, 사후평가로 REBA, VAS, Korean version of Quebec User Evaluation ofSatisfaction Assistive Technology(K-QUEST 2.0), 사용자의 주관적 의견을 설문조사하였다. 사용전후의 REBA와 VAS를 비교하기 위해 t-test로 분석하였으며,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하였다. 일반적 특성과 종속변수 간의 분석을 위해 ANOVA를 실시하였다. 결과 : 이동형 목욕보조기기 프로토타입을 사용 후 평가결과, 2가지 자세(목욕용품 사용, 샤워기 사용)에서 측정되었던 REBA 조치수준이 ‘높음’에서 ‘낮음’으로 변경되었다. 통증 정도는 보조기기 사용 후 팔을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감소되었으며 전체 평균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사용 후 만족도에서는 규격과 무게를 제외한 6개 항목에서 ‘보통’으로 나타났다. 사용 전·후에 따른 종속변수들 간의상관관계 분석 결과에서는 높은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일반적 특성과 종속변수 간의 통계적 유의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최종 개발한 이동형 목욕보조기기는 목욕서비스 제공자의 신체적 부담을 줄일 수 있을뿐만 아니라 편의성, 효율성, 안전성도 증진시킬 수 있는 보조기기로서의 역할이 가능하다고 예상된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prototype portable bathing assistivedevice for the bathing service provider that can reduce the physical burden and increase their convenience andsafety. Methods: The prototype of portable bathing assistive device was developed after collecting opinions from thebathing service providers and experts. The subjects were 24 caregivers and nursing care workers in rehabilitationhospitals. The research tools used were the prototype portable bathing assistive device developed in this study. REBA, VAS, K-QUEST 2.0 were used as evaluation tools as well as subjective opinions of users after usingprototype portable bathing assistive device. Results: The result of REBA scores measured before and after using prototype portable bathing assistive devicerevealed that the action level was reduced from ‘high’ to ‘low’. Pain levels were lower in all items excepts forarms. There showed a significance in mean scores. K-QUEST score was found to be ‘normal’ in 6 items exceptdimension and weight. There showed no higher correlation between dependent variables and subjects’ generalcharacteristics. The final design of portable bathing assistive device presented after adopting subjects’ opinions. Conclusion: It is expected that portable bathing assistive device developed in this study can serve as an valuabledevice to reduce the physical burden of the bath service providers and increase their convenience, taskperformance, and safety as well. KCI Citation Count: 0
ISSN:1226-0134
2671-4450
DOI:10.14519/kjot.2019.27.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