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 환자를 위한 노인여가참여 평가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목적 : 본 연구는 여가 참여, 여가 탐색 및 방해요인에 대한 다면적 측정이 가능한 노인여가참여 평가도구가 뇌졸중 환자의 여가 평가도구로써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연구이다. 연구방법 : 신뢰도 검증을 위해 뇌졸중 환자 64명이 참여하였으며, 노인여가참여 평가도구를 시행하여 내적 일치도를 분석하였다. 공인 타당도는 단축형 노팅햄 여가 설문지(The shortened version of theNottingham Leisure Questionnaire)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판별 타당도 검...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 29; no. 1; pp. 13 - 25
Main Author 정은화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작업치료학회 31.03.2021
The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 본 연구는 여가 참여, 여가 탐색 및 방해요인에 대한 다면적 측정이 가능한 노인여가참여 평가도구가 뇌졸중 환자의 여가 평가도구로써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연구이다. 연구방법 : 신뢰도 검증을 위해 뇌졸중 환자 64명이 참여하였으며, 노인여가참여 평가도구를 시행하여 내적 일치도를 분석하였다. 공인 타당도는 단축형 노팅햄 여가 설문지(The shortened version of theNottingham Leisure Questionnaire)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판별 타당도 검증을 위해 건강한 대학생 55명이 참여하였고, 두 군간 노인여가참여 평가도구의 평가 결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 내적 일치도는 전체 문항에 대한 크론바흐 알파 값은 .749로 높은 신뢰도를 나타냈고, 공인 타당도결과는 단축형 노팅햄 여가 설문지 총점과 노인여가참여 평가도구의 여가 참여 문항 점수 간 상관계수가 .851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 < .01). 판별 타당도 결과는 두 그룹 간 여가 활동 수, 여가 탐색의 활동 수, 방해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1)결론 : 노인여가참여 평가도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평가가 가능하다는 것을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통해 확인하였다. 여가 참여에 대한 다면적 측정이 이루어지는 노인여가참여 평가도구를 통해 뇌졸중환자의 여가 중재 계획 및 실행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leisure participation assessment tool for theelderly, which can be used as a leisure assessment tool for stroke patients, and can measure the leisureparticipation, leisure exploration, and interference factors in multiple dimensions. Methods: A total of 64 stroke patients participated in the reliability verification, and the internal consistency wasanalyzed by conducting a leisure participation assessment tool for the elderly. The concurrent validity wasanalyzed for correlation with the shortened version of the Nottingham Leisure Questionnaire. To verify thediscriminant validity, 55 healthy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and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leisure participationassessment tool for the elderly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In terms of internal consistency, the Cronbach alpha value for all items was .749, indicating a highreliability. The result of the concurrent validity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851between the total score of the shortened Nottingham Leisure Questionnaire and the leisure participation item scoreof the leisure participation assessment tool for the elderly (p < .01). The discriminant validity result showed that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mbers of leisure activities and leisure exploration activities,and in the interference factors between the two groups (p < .01). Conclusion: It was confirmed through a reliability and validity verification that the leisure participation assessmenttool for the eldery can be evaluated for stroke patients. It is expected that the leisure participation assessmenttool for the elderly, which is a multi-dimensional measure of leisure participation, can be usefully applied to theplanning and intervention of leisure interventions for stroke patients. KCI Citation Count: 0
ISSN:1226-0134
2671-44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