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의 올림픽 : 1964 도쿄 올림픽의 디자인 프로젝트 다시보기

1964년 도쿄 올림픽은 일본의 전후 재건과 부흥을 국내외에 알린 국가적 행사였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도쿄 올림픽을 위해 진행된 디자인 프로젝트가 어떻게 제국주의, 군국주의의 과거와 단절된 평화국가, 경제대국, 문화국가라는 전후 일본의 새로운 국가 정체성을 확립하고 국제사회에 일본의 존재감을 각인시키는 데 시각적으로 기여했는지 검토하였다. 당시 도쿄 올림픽의 디자인 프로젝트에 참여한 디자이너들이 중요하게 인식한 것은 국제적인 동시대성을 획득하는 동시에 일본적 정체성을 드러내는 일본적 모더니즘의 성취였다. 이러한 인식이 반영된 대표...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Korean Journal of Japanese Dtudies Vol. 23; pp. 110 - 143
Main Author Park, Seyeon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English
Korean
Published 일본연구소 15.08.202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Cover

Loading…
More Information
Summary:1964년 도쿄 올림픽은 일본의 전후 재건과 부흥을 국내외에 알린 국가적 행사였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도쿄 올림픽을 위해 진행된 디자인 프로젝트가 어떻게 제국주의, 군국주의의 과거와 단절된 평화국가, 경제대국, 문화국가라는 전후 일본의 새로운 국가 정체성을 확립하고 국제사회에 일본의 존재감을 각인시키는 데 시각적으로 기여했는지 검토하였다. 당시 도쿄 올림픽의 디자인 프로젝트에 참여한 디자이너들이 중요하게 인식한 것은 국제적인 동시대성을 획득하는 동시에 일본적 정체성을 드러내는 일본적 모더니즘의 성취였다. 이러한 인식이 반영된 대표적인 결과물이 가메쿠라 유사쿠의 올림픽 심벌마크와 1호 포스터라 할 수 있다. 가메쿠라는 일장기로만 여겨졌던 히노마루를 모던한 디자인으로 시각화하는 데 있어 히노마루가 일본의 국기를 상징하는 것이긴 하지만 태양의 이미지 같은 보다 보편적인 성격을 추구했음을 강조했다. 즉 일본 특수적인 것을 보편적인 것으로 확장시키며 해석하는 방식을 전략적으로 사용한 것이라 볼 수 있다. 가메쿠라를 비롯하여 프로젝트에 참가한 디자이너들은 그들이 전전(戰前)부터 축적해 온 디자인 문법을 선택적으로 전용하면서 전후의 새로운 국가이미지 창출이라는 국가적 차원의 과제에 부응하고자 했다 The 1964 Tokyo Olympics was a national event that announced to the world the reconstruction and revival of Japan after the war. This paper investigated how the design project for the Tokyo Olympics established a new national identity for Japan after the war as a peace-loving nation, economic powerhouse, and cultured country, disconnected from its imperialist past, and visually contributed in impressing the presence of Japan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t the time, the designers participating in the Tokyo Olympics design project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achievement of Japanese modernism, which revealed the identity of Japan while simultaneously attaining international contemporaneity. Representative products that reflect this recognition were the Olympic Symbol Mark and Official Poster No. 1 by Yusaku Kamekura. In visualizing the Hinomaru that was only considered as the Japanese national flag into a modern design, Kamekura emphasized that he sought after a more universal element like the image of the sun even though the Hinomaru symbolizes the national flag of Japan. Thus, the method of expansive interpretation of a Japan specific notion into a universal one was used strategically. The designers participating in the project including Kamekura aimed to fulfill the national mission of creating a new post-war national image by selectively redirecting the design language they accumulated since before the war KCI Citation Count: 2
ISSN:2092-6863
2713-721X
DOI:10.29154/ILBI.2020.23.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