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0년대 일본의 고미술 수용과 감상의 변화 : 『부인공론』(婦人公論)의 표지사진을 중심으로
이 논문은 1960년대 중반 일본의 여성잡지 『부인공론(婦人公論)』의 표지가 동시대의 고미술 수용과감상 방식의 변화를 어떻게 담아내고 있는지 살펴본다. 구체적으로는 사진가 도몬 겐(土門拳)이 기획한 ‘국보와 여배우’라는 제목의 표지사진 시리즈를 분석의 대상으로 삼는다. 도몬은 1964년 1월부터1965년 12월까지 2년간 유명 여성 배우와 주요문화재를 하나의 프레임 속에서 연출하는 이색적인 형식으로 표지를 구성하였다. 이러한 기획은 첫째, 친밀성과 직접 체험을 토대로 고미술을 감상하는 진취적 여성상을 그려 냄으로써, 『부인공론』의...
Saved in:
Published in | Korean Journal of Japanese Dtudies Vol. 23; pp. 254 - 293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English Korean |
Published |
일본연구소
15.08.2020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이 논문은 1960년대 중반 일본의 여성잡지 『부인공론(婦人公論)』의 표지가 동시대의 고미술 수용과감상 방식의 변화를 어떻게 담아내고 있는지 살펴본다. 구체적으로는 사진가 도몬 겐(土門拳)이 기획한 ‘국보와 여배우’라는 제목의 표지사진 시리즈를 분석의 대상으로 삼는다. 도몬은 1964년 1월부터1965년 12월까지 2년간 유명 여성 배우와 주요문화재를 하나의 프레임 속에서 연출하는 이색적인 형식으로 표지를 구성하였다. 이러한 기획은 첫째, 친밀성과 직접 체험을 토대로 고미술을 감상하는 진취적 여성상을 그려 냄으로써, 『부인공론』의 독자층인 ‘지식여성대중’에 어필할 수 있었다. 둘째, 표지가 그려내는 ‘진보적’ 여성 관객은 당시의 사회적 상황, 즉 1960년대 고미술 여성 관객의 증가와 대중문화 속 전통의 차용이라는 사회적 변화를 빠르게 포착한 결과이기도 했다. 셋째, ‘국보와 여배우’는고도성장기 고미술의 관광자원화와 여성 여행객의 증가 속에서, 고미술 여행을 통한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구체적 이미지로 독자에게 제공하는 기획으로 파악될 수 있다. 이상의 세 가지 관점에서 볼 때‘국보와 여배우’는 1960년대 일본의 고미술 수용의 변화와 감상 주체의 다변화라는 사회적 현상을 포착하여 『부인공론』의 독자층에 공감과 동일시의 지대를 제공하였다. This essay aims to address how the cover photos of Fujin Kōron (婦人公論), one of popular women’s magazines in Japan, shows the changing mode of perceiving and appreciating ancient Japanese art (kobijutsu) in the middle of the 1960s. Particular attention is paid to the series entitled ‘The National Treasure and the Actress,’ initiated in January 1964 and continued for two years. Domon Ken took a role of photographer, while writing short comments on each cover image he pictured every month. Interestingly, he put together a national treasure and a top-level actress within a same photographic frame; and went further to allow the actress to stand just beside, or make a physical contact with, the national treasure. Such a new and unconventional mode of direction, however, squared with the marketing strategy of Fujin Kōron. The main target of this magazine was a newly emerging group of ‘intellectual female masses,’ who identified themselves with a promising image of the active viewers looking at and touching on the national treasures. During the 1960s, ancient Japanese art came to be transformed into a popular form of knowledge, approachable to the diverse female groups from different regions, classes, and generations. The increasing mobility of women was another factor to explain the proliferation of female travelers, who left for historic sites and national treasures as their leisure time activity. The cover photos of Fujin Kōron deliberately captured this changing mode of perception and appreciation of ancient Japanese art, visualizing the iconic image of active female subjectivity, and thereby providing its readers an attractive site of sympathy and identification. KCI Citation Count: 2 |
---|---|
ISSN: | 2092-6863 2713-721X |
DOI: | 10.29154/ILBI.2020.23.25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