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pronominal reference on the integration of syntactic and semantic information in second language processing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pronominal reference on the integration of syntactic and semantic information in second language (L2) processing. We conducted a self‐paced reading task involving 60 adult Korean‐speaking learners of English and 44 native English speakers. The experiment manipul...
Saved in:
Published in |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linguistics Vol. 34; no. 3; pp. 1108 - 1122 |
---|---|
Main Authors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English |
Published |
Oxford
Blackwell Publishing Ltd
01.08.2024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Cover
Loading…
Summary: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pronominal reference on the integration of syntactic and semantic information in second language (L2) processing. We conducted a self‐paced reading task involving 60 adult Korean‐speaking learners of English and 44 native English speakers. The experiment manipulated the semantic congruity between a subject and its adjectival predicate, as well as the reference type (pronoun vs. full noun) within the intervening relative claus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ative speaker group consistently displayed sensitivity to the incongruity between the subject and the predicate, regardless of the reference type. Similarly, the nonnative speakers exhibited sensitivity to the mismatch in the critical region. However, this effect did not persist in subsequent regions including the spill‐over and wrap‐up regions. Instead, in the wrap‐up region, the L2 learners’ processing patterns were affected by the reference type, with sensitivity exclusively observed in the pronoun condition. The L2 learners’ processing pattern remained consistent across varying levels of English proficiency. These findings provide insights into the role of pronominal reference in L2 sentence processing.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제 2 언어(L2) 처리 과정에서 통사와 의미 정보의 결합에 있어 대명사가 가지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 대상으로는 한국인 성인 영어 학습자 60명과 영어 모어 화자 44명을 선정하여 자가 속도 읽기 과제를 실시하였다. 실험에서는 문장 내 주어와 형용사 술어 사이의 의미적 일치를 조작하고, 중간에 삽입된 관계절 내 지칭어 유형(대명사 vs. 완전 명사)을 조작하였다. 실험 결과, 영어 모어 그룹은 지칭어 유형과 관계없이 주어와 술어 사이의 불일치에 일관되게 민감함을 보였다. 마찬가지로 영어 학습자들도 주요 영역에서 이러한 민감성을 보였다. 그러나 이 효과는 지연 효과 영역 및 문장 마지막 영역을 포함한 후속 영역에서는 유지되지 않았다. 대신, 문장 마지막 영역에서는 영어 학습자들의 문장 처리 패턴이 지칭어 유형에 따라 영향을 받았는데, 민감성은 대명사 조건에서만 나타났다. 이러한 영어 학습자들의 처리 패턴은 영어 능숙도와 상관없이 일관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제 2 언어 문장 처리에서 대명사의 역할에 대한 통찰을 제공한다. |
---|---|
Bibliography: | ObjectType-Article-1 SourceType-Scholarly Journals-1 ObjectType-Feature-2 content type line 14 |
ISSN: | 0802-6106 1473-4192 |
DOI: | 10.1111/ijal.1254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