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의 제품 성과 평가 과정에 대한 점포 내 기분 상태의 역할
본 연구는 소비자의 제품성과 평가에 대한 선행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기존의 연구 결과에서는 제품성과에 대한 소비자의 사전 기대 신념 수준이 제품 성과 평가에 주 요한 원인임을 밝히고 있다. 1980년대부터 소비자행동 및 심리학 분야에서 감정의 역할 및 기타 심리요소와의 관계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제품 평가 과정에 있어서 감정이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음이 밝혀 졌다. 즉, 제품성과 평가에 있어서 소비자의 일시적 측 면과 감정적 측면에 모두 영흔t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감정에 관련된 인구에 있어서 항상 문제가...
Saved in:
Published in | Journal of global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 Make'ting gwahag yeon'gu Vol. 3; no. 1; pp. 173 - 193 |
---|---|
Main Authors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Taylor & Francis Group
01.02.1999
한국마케팅과학회 Korean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9-7119 1229-7119 |
DOI | 10.1080/12297119.1999.9707448 |
Cover
Summary: | 본 연구는 소비자의 제품성과 평가에 대한 선행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기존의 연구 결과에서는 제품성과에 대한 소비자의 사전 기대 신념 수준이 제품 성과 평가에 주 요한 원인임을 밝히고 있다. 1980년대부터 소비자행동 및 심리학 분야에서 감정의 역할 및 기타 심리요소와의 관계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제품 평가 과정에 있어서 감정이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음이 밝혀 졌다. 즉, 제품성과 평가에 있어서 소비자의 일시적 측 면과 감정적 측면에 모두 영흔t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감정에 관련된 인구에 있어서 항상 문제가 되어왔던 부분이 감정의 개념 규정과 특성이다. 현재까지도 이 문제 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것이 많지만 이에 대한 새로운 연구 결과가 많이 제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소비자 감정 반음의 유형을 구분하고 제품 평가 과정에서 발견되는 감정 반L응은 주로 기분 상태의 섬질을 띠고 있옴을 설명한다. 효변 본 연구와 관련하여 주목할 만한 이론이 감정의 인지적 평가 이론이다. 이 이론의 필자는 개 인의 복지에 영향을 미치는 사건에 대한 인지적 평가가 감정에 선행한다는 것이다. 본 연 구에서는 감정의 인지적 점포 내 기분 상태의 인지적 평가 요소로 사전적 기대와 점포 평 가를 제시하고, 점포 내 기분 상태의 결과로 제품 성과 평가를 제시하는 연구 모형을 수 립하였다. 이 연구 모형에 대해 공분산 구조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점포 평가가 점포 내 기 분 상태의 중요한 인지적 평가 요인이 되었으며, 점포 내 기분 상태의 유쾌 차원이 소비 자의 제품 성과 평가에 유의적인 명효t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녔다. |
---|---|
ISSN: | 1229-7119 1229-7119 |
DOI: | 10.1080/12297119.1999.970744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