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및 VR 기술과 창의적 사고를 결합한 초등 영어과 창의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본 연구는 창의적 인재 육성을 목표로 한 2015 개정 교육과정 중 초등 영어과에서 학습자의 창의력 신장을 위한 창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디자인 씽킹과 flipped learning 모형에 기초하여 미래 교육에 필요한‘모바일 기술’과 ‘창의적 사고’를 결합하여 초등학교 4학년 영어과의 4차시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참여 학생들의 교과 흥미, 교과 가치, 교과 학습 자기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점수가 높아졌으며, 창의 역량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Saved in:
Published in |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Vol. 23; no. 2; pp. 147 - 161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01.04.2019
교과교육연구소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975-3217 2671-8324 |
DOI | 10.24231/rici.2019.23.2.147 |
Cover
Loading…
Summary: | 본 연구는 창의적 인재 육성을 목표로 한 2015 개정 교육과정 중 초등 영어과에서 학습자의 창의력 신장을 위한 창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디자인 씽킹과 flipped learning 모형에 기초하여 미래 교육에 필요한‘모바일 기술’과 ‘창의적 사고’를 결합하여 초등학교 4학년 영어과의 4차시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참여 학생들의 교과 흥미, 교과 가치, 교과 학습 자기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점수가 높아졌으며, 창의 역량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은 초등 영어과에서 창의적인 정보 수집과 해결방안, 아이디어 생성 등 학습자들의 창의 역량을 높이는데 효과적이었다. 초등 영어과에서 창의 교육의 확산적 실천을 위해 서는 모바일 기술 활용 등의 학습 기회 확대 및 교실 환경 구축, 교사 연수 등이 필요하며, 동시에 보다 다양한 초등 영어 창의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필요성을 제안한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apply a program to improve elementary students’ creativity in the English subject reflecting the revised 2015 version of national curriculum, in order to foster creativity and talents persons. Four lessons of lessons for 4th grade students were developed, and assisted with mobile technology and creative thinking methods based on the design thinking and flipped learning models, and analyzed the effec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cores in the areas of interest of subject, value of subject, and learning self-efficacy showed positive increase,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ough, whereas the score in competency for creativit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results showed the program was effective to improve competency for creativity in terms of creative information collection and solution, and idea generation. It is needed to provide mor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utilize mobile technology and to adapt into classroom, and to expand creativity education further in the English subject in elementary schools. KCI Citation Count: 0 |
---|---|
ISSN: | 1975-3217 2671-8324 |
DOI: | 10.24231/rici.2019.23.2.14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