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가자 간 상관분석을 활용한 ASMR 자극에 대한 개인 간 정서 반응 일관성

최근 인지신경과학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참가자 간 상관분석은(intersubject correlation; ISC) 참가자들의 개인차를 고려하는데 적합하고 기존의 일반선형모델 분석(예: 변량분석)의 한계를 보상하는 분석으로 알려져 있다(Hasson et al., 2004; Nastase et al., 2019). 본 연구에서는 정서적으로 구별되는 ASMR 자극들에 대해 참가자들의 정서 반응 일관성을 측정하고 정서 유형 및 감각 양상의 조건 별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Kim과 Kim(2020)의 청각적 ASMR 자극과...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34(2) pp. 121 - 133
Main Authors 김인익, 장준혁, 김현중, 김종완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01.04.202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9654
2733-466X
DOI10.22172/cogbio.2022.34.2.007

Cover

Abstract 최근 인지신경과학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참가자 간 상관분석은(intersubject correlation; ISC) 참가자들의 개인차를 고려하는데 적합하고 기존의 일반선형모델 분석(예: 변량분석)의 한계를 보상하는 분석으로 알려져 있다(Hasson et al., 2004; Nastase et al., 2019). 본 연구에서는 정서적으로 구별되는 ASMR 자극들에 대해 참가자들의 정서 반응 일관성을 측정하고 정서 유형 및 감각 양상의 조건 별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Kim과 Kim(2020)의 청각적 ASMR 자극과 의미적으로 부합하는 시청각적 ASMR 자극을 사용하였다. 정서 평정 측정을 위해 10개의 정서 형용사 문항 5점 리커트 척도로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모든 자극들 쌍을 조합하여 참가자 간 상관 분석한 결과, 참가자들의 자극에 대한 정서 반응 일관성을 ISC 행렬을 통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주로, 정서적 혹은 감각 양상으로 유사한 자극들끼리 참가자 간 상관이 더 높은 모습을 보였다. 통계적 검증을 위해, 이 행렬의 요소 값들을 추출하여 동일 자극 쌍, 상이 자극 쌍 정서 내, 상이 자극 쌍 정서 간 데이터셋을 구성했다. 이들을 반복측정 변량분석한 결과, 정서 유형 및 감각 양상 조건 별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참가자들의 정서 평정 일관성이 ASMR이 긍정적일수록 혹은 ASMR이 시각적 장면과 제시될 때, 유사해짐을 나타낸다. 그러나 참가자들의 부정적 ASMR 자극에 대한 ISC는 시각적 장면의 제시 유무와 관련이 없었다. 부정적 ASMR의 시각적 장면이 부정적 AMSR의 청각적 요소와 의미적으로 부합할지라도, 참가자들 간 유사한 정서 경험을 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부정적 AMSR이 참가자 간 정서 경험에 갖는 특수한 영향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In recent years of neuroscience area, intersubject correlation (ISC) has been regarded as a suitable method for considering individuals' differences.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individual's affective responses on the distinctive ASMR stimuli and investigated if there are differences of intersubject correlation values between the experimental conditions. We used Kim and Kim (2020)'s data of the participants' affective responses to ASMR stimuli. We were able to find the consistency of affective responses across subjects by computing the ISC matrix. The participants tended to respond similarly when they watched emotionally similar stimuli. For follow-up analyses, the elements of the matrix were processed to make three different data sets, which consist of the same stimulus pairs set, different stimulus pairs within same emotion sets, and different stimulus pairs between emotion sets. Those data were analyzed using 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 to test the effects of affective valence and sensory modalities on ISCs. Results showed that when ASMR was positive or audiovisual, the participants tended to respond more similarly to the stimulus. The subjects did not respond similarly in audiovisual condition when they watched negative ASMR stimuli. Although the negative scenes were semantically corresponded to the negative auditory stimuli, the subjects reponses were not consistent. KCI Citation Count: 0
AbstractList 최근 인지신경과학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참가자 간 상관분석은(intersubject correlation; ISC) 참가자들의 개인차를 고려하는데 적합하고 기존의 일반선형모델 분석(예: 변량분석)의 한계를 보상하는 분석으로 알려져 있다(Hasson et al., 2004; Nastase et al., 2019). 본 연구에서는 정서적으로 구별되는 ASMR 자극들에 대해 참가자들의 정서 반응 일관성을 측정하고 정서 유형 및 감각 양상의 조건 별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Kim과 Kim(2020)의 청각적 ASMR 자극과 의미적으로 부합하는 시청각적 ASMR 자극을 사용하였다. 정서 평정 측정을 위해 10개의 정서 형용사 문항 5점 리커트 척도로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모든 자극들 쌍을 조합하여 참가자 간 상관 분석한 결과, 참가자들의 자극에 대한 정서 반응 일관성을 ISC 행렬을 통해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주로, 정서적 혹은 감각 양상으로 유사한 자극들끼리 참가자 간 상관이 더 높은 모습을 보였다. 통계적 검증을 위해, 이 행렬의 요소 값들을 추출하여 동일 자극 쌍, 상이 자극 쌍 정서 내, 상이 자극 쌍 정서 간 데이터셋을 구성했다. 이들을 반복측정 변량분석한 결과, 정서 유형 및 감각 양상 조건 별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가 관찰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참가자들의 정서 평정 일관성이 ASMR이 긍정적일수록 혹은 ASMR이 시각적 장면과 제시될 때, 유사해짐을 나타낸다. 그러나 참가자들의 부정적 ASMR 자극에 대한 ISC는 시각적 장면의 제시 유무와 관련이 없었다. 부정적 ASMR의 시각적 장면이 부정적 AMSR의 청각적 요소와 의미적으로 부합할지라도, 참가자들 간 유사한 정서 경험을 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부정적 AMSR이 참가자 간 정서 경험에 갖는 특수한 영향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In recent years of neuroscience area, intersubject correlation (ISC) has been regarded as a suitable method for considering individuals' differences.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individual's affective responses on the distinctive ASMR stimuli and investigated if there are differences of intersubject correlation values between the experimental conditions. We used Kim and Kim (2020)'s data of the participants' affective responses to ASMR stimuli. We were able to find the consistency of affective responses across subjects by computing the ISC matrix. The participants tended to respond similarly when they watched emotionally similar stimuli. For follow-up analyses, the elements of the matrix were processed to make three different data sets, which consist of the same stimulus pairs set, different stimulus pairs within same emotion sets, and different stimulus pairs between emotion sets. Those data were analyzed using 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 to test the effects of affective valence and sensory modalities on ISCs. Results showed that when ASMR was positive or audiovisual, the participants tended to respond more similarly to the stimulus. The subjects did not respond similarly in audiovisual condition when they watched negative ASMR stimuli. Although the negative scenes were semantically corresponded to the negative auditory stimuli, the subjects reponses were not consistent. KCI Citation Count: 0
Author 장준혁
김현중
김종완
김인익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김인익
  organization: (전북대학교)
– sequence: 2
  fullname: 장준혁
  organization: (전북대학교 심리학과)
– sequence: 3
  fullname: 김현중
  organization: (전북대학교 심리학과)
– sequence: 4
  fullname: 김종완
  organization: (전북대학교 심리학과)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836420$$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rjYmDJy89LZWCQNTTQMzIyNDfST85PT8rM1zMyMDLSMzbRM9IzMDBnYuA0Mjc21jUxM4tgYeA0NDIy07U0MzXhYOAtLs5MMjAxMTe2MLIw52RIeLNhx6sNDW_mTVB4taFF4U1z46stDa-3tbxpmftmbovC25lz3sxa-XbqHAXHYN8gBaCyV9t3vpk-QeF1TwNI9NWGOW_m7oBoXTD1TcschdcbZryZO1Hhzdw9QIPetGzkYWBNS8wpTuWF0twMmm6uIc4eunlFafHZyZnx-YmZYDo9Pz67KN4xKMQz3tLSzMzAwtCYFLUA_lRsuA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ACYCR
DOI 10.22172/cogbio.2022.34.2.007
DatabaseNam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Measuring consistency of affective responses to ASMR stimuli across individuals using intersubject correlation
EISSN 2733-466X
EndPage 133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9966081
GroupedDBID ACYCR
ALMA_UNASSIGNED_HOLDINGS
M~E
ID FETCH-nrf_kci_oai_kci_go_kr_ARTI_99660813
ISSN 1226-9654
IngestDate Tue Nov 21 21:39:35 EST 2023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nrf_kci_oai_kci_go_kr_ARTI_99660813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9966081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2-04
PublicationDateYYYYMMDD 2022-04-01
PublicationDate_xml – month: 04
  year: 2022
  text: 2022-04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34(2)
PublicationYear 2022
Publisher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인지및생물심리학회
SSID ssib044738287
ssib022564931
ssib023393906
ssib016108131
Score 3.577953
Snippet 최근 인지신경과학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참가자 간 상관분석은(intersubject correlation; ISC) 참가자들의 개인차를 고려하는데 적합하고 기존의 일반선형모델 분석(예: 변량분석)의 한계를 보상하는 분석으로 알려져 있다(Hasson et al., 2004;...
SourceID nrf
SourceType Open Website
StartPage 121
SubjectTerms 심리과학
Title 참가자 간 상관분석을 활용한 ASMR 자극에 대한 개인 간 정서 반응 일관성
UR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836420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2022, 34(2), , pp.121-133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3NixMxFB-W9eJFFBU_Vh3EHKS0zmTSmeSYmXZZhXrQFfZW22m7LIUWSvfiQSr26GE9LH7QildvFURX8C9qZ_8HX14m7WypWL0M6S8vL-9jMnlJ82FZ95xGLWaBw_PFGjwYbbI8r_ksX48bruoRWg7uW6s89neesUd7xb2NzTuZVUuH_XohfrFyX8n_eBUw8KvaJfsPnp0zBQDS4F94gofhuZaPSTkioUNCTspSJbijEFEmwskZiOUUxj0IGRFiSBWS0Ic8zGJElLBcSVOXiBBERAhJIgUiRUBy8mnlSW5eBbILSCgQCXSlIeER1mDKpHKk_Eog7JJo0lGUqSARslD0PKUXbs6UjDIKIHnoZmPreZ1IViQSteIhkZFiKn1MaBqtlFTCKhECxdOT85r4HDXy8G1jR2Us5AnywPvpMYjRaWZCBWsXxheGmUoUFyRoQolqS2bsxQl3V3DROSylFatIIIcSjuxANX0bnpnLoTSzBEi1vtV2Oqv2XOsVSq9h1ExXB4F3Xvj6CO9CEzGIZb0803dLmi7N1TvY0-jI1ceWLHe8VN1zBs0l7u7XD9SeWkoLHiuow3CDRaRhVlcsBSBnjjpvxwfV_W613avCgO5hVQ3HHXW0wjkaBLgOo_KybDoMGK1A3uJvbOibfCYyvz1PeJnrDBgLPHXBg5qEMdrrXX0o_4NV0kPM2em1MjHn7kXrQjpYtKVu-ZesjXb3svU8mZxMJ4Pk05E9nQzt5PWr6bfB7PswGY6T8dA-_TBKPn45PR7ZqrXaQDb98TN5d2TP3gwUOp2MkvGJLvr5OBmO7NnkfTJ-ayfjX8AoGX69Yt3fLu9GO3mQCA31Z4N5V63NTrfTvGbZ9UaRx17NiTl8lmsB5bUW8-tU0MBtOkFMr1t3_87vxjpEN63zi7d6y9rs9w6btyBm79dvo99-A9rCtyA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B0%B8%EA%B0%80%EC%9E%90+%EA%B0%84+%EC%83%81%EA%B4%80%EB%B6%84%EC%84%9D%EC%9D%84+%ED%99%9C%EC%9A%A9%ED%95%9C+ASMR+%EC%9E%90%EA%B7%B9%EC%97%90+%EB%8C%80%ED%95%9C+%EA%B0%9C%EC%9D%B8+%EA%B0%84+%EC%A0%95%EC%84%9C+%EB%B0%98%EC%9D%91+%EC%9D%BC%EA%B4%80%EC%84%B1&rft.jtitle=%ED%95%9C%EA%B5%AD%EC%8B%AC%EB%A6%AC%ED%95%99%ED%9A%8C%EC%A7%80%3A+%EC%9D%B8%EC%A7%80+%EB%B0%8F+%EC%83%9D%EB%AC%BC%2C+34%282%29&rft.au=%EA%B9%80%EC%9D%B8%EC%9D%B5&rft.au=%EC%9E%A5%EC%A4%80%ED%98%81&rft.au=%EA%B9%80%ED%98%84%EC%A4%91&rft.au=%EA%B9%80%EC%A2%85%EC%99%84&rft.date=2022-04-01&rft.pub=%ED%95%9C%EA%B5%AD%EC%9D%B8%EC%A7%80%EB%B0%8F%EC%83%9D%EB%AC%BC%EC%8B%AC%EB%A6%AC%ED%95%99%ED%9A%8C&rft.issn=1226-9654&rft.eissn=2733-466X&rft.spage=121&rft.epage=133&rft_id=info:doi/10.22172%2Fcogbio.2022.34.2.007&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9966081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6-9654&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6-9654&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6-9654&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