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불’의 사회 문화적 논쟁 분석

본 논문은 영화 ‘불’의 논쟁에 대해 인도의 사회 문화적 맥락에서 면밀하게 분석하는 것이다. 공동가족 제도에서 가부장제와 그 관습을 경험해온 기혼의 두 여성 주인공은 소외감 속에 내면의 갈등과 고통을 겪다가 마침내 동성애 관계로 발전하였고 드디어 가출을 단행한다. 이들은전통 윤리, 낡은 관습, 불합리한 현실 질서와 타협하기보다는 자립의 길을 택한 것이다. 새로운젠더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하는 메흐따 감독에게 가부장제가 강제한 젠더 이데올로기는 여성의섹슈얼리티 문제를 숙명으로 받아들일 여지가 없다. 여성의 섹슈얼리티와 가부장제, 전통주...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남아시아연구, 27(4) pp. 28 - 48
Main Author 이은구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인도연구소 01.02.202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1061
2508-8114
DOI10.21587/jsas.2022.27.4.002

Cover

Abstract 본 논문은 영화 ‘불’의 논쟁에 대해 인도의 사회 문화적 맥락에서 면밀하게 분석하는 것이다. 공동가족 제도에서 가부장제와 그 관습을 경험해온 기혼의 두 여성 주인공은 소외감 속에 내면의 갈등과 고통을 겪다가 마침내 동성애 관계로 발전하였고 드디어 가출을 단행한다. 이들은전통 윤리, 낡은 관습, 불합리한 현실 질서와 타협하기보다는 자립의 길을 택한 것이다. 새로운젠더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하는 메흐따 감독에게 가부장제가 강제한 젠더 이데올로기는 여성의섹슈얼리티 문제를 숙명으로 받아들일 여지가 없다. 여성의 섹슈얼리티와 가부장제, 전통주의와 개인주의. 민족주의와 남성 중심의 가부장제 비판, 이들이 서로 양립하기 어렵다고 판단한메흐따 감독은 순수한 욕망의 섹슈얼리티, 주체적인 섹슈얼리티를 선택함으로써 남편의 아내에대한 성적인 지배가 용인되는 가부장제 이데올로기를 비판했다. 1980년대 이후 인도에서 이미 힌두 정체성 논의가 본격화되었고, 1996년에 발표된 영화 ‘불’ 은 힌두 근본주의자들에게 심각한 도전으로 인식되었다. 여기에서 제기된 성(性)문화의 정체성, 전통과 현대성 논쟁에 이어 디아스포라의 지위와 정체성 논란은 지금까지 열렬히 진행되고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영화 ‘불’을 둘러싼 핵심 논쟁의 쟁점에 대해 성(性)평등 인식, 고전『라마야나』의 힌두주의적 해석에 대한 사고방식, 전근대적인 여러 사회제도와 관행에 대한인식 개선 등의 주제를 인도의 사회 문화적 맥락에서 세심하게 관찰 분석하는 영화비평이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controversy of the movie 'Fire' in detail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India. Two married female protagonists, who have experienced patriarchy and its customs in the joint family system, suffered internal conflicts and pains in a sense of alienation, eventually developed into a homosexual relationship and finally decided to run away. Rather than compromise with traditional ethics, outdated customs, and unreasonable reality, they have chosen the path of independence. The gender ideology imposed by the patriarchy on director Mehta, who wants to establish a new gender identity, leaves no room for accepting the issue of women's sexuality as fate. Female sexuality and patriarchy, traditionalism and individualism, nationalism and male-centered critique of patriarchy were incompatible with each other. Deepa Mehta criticized the patriarchal ideology in which her husband's sexual domination over his wife was tolerated by choosing the sexuality of pure desire and subjective sexuality. Since the 1980s, discussion of Hindu identity or Hindutva has already begun in earnest in India, and the movie 'Fire', released in 1996, was recognized as a serious challenge for Hindu fundamentalists. Following the debate over the identity, tradition and modernity of gender culture raised here, the controversy over the status and identity of the diaspora continues to be intense. Therefore, this article focuses on the topic of recognition of gender equality, a way of thinking about the Hindu interpretation of the classic 『Ramayana』, and improvement of awareness of various pre-modern social systems and practices on the issues of core controversy surrounding the movie 'Fire'. It is a film criticism that meticulously observes and analyzes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India. KCI Citation Count: 0
AbstractList 본 논문은 영화 ‘불’의 논쟁에 대해 인도의 사회 문화적 맥락에서 면밀하게 분석하는 것이다. 공동가족 제도에서 가부장제와 그 관습을 경험해온 기혼의 두 여성 주인공은 소외감 속에 내면의 갈등과 고통을 겪다가 마침내 동성애 관계로 발전하였고 드디어 가출을 단행한다. 이들은전통 윤리, 낡은 관습, 불합리한 현실 질서와 타협하기보다는 자립의 길을 택한 것이다. 새로운젠더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하는 메흐따 감독에게 가부장제가 강제한 젠더 이데올로기는 여성의섹슈얼리티 문제를 숙명으로 받아들일 여지가 없다. 여성의 섹슈얼리티와 가부장제, 전통주의와 개인주의. 민족주의와 남성 중심의 가부장제 비판, 이들이 서로 양립하기 어렵다고 판단한메흐따 감독은 순수한 욕망의 섹슈얼리티, 주체적인 섹슈얼리티를 선택함으로써 남편의 아내에대한 성적인 지배가 용인되는 가부장제 이데올로기를 비판했다. 1980년대 이후 인도에서 이미 힌두 정체성 논의가 본격화되었고, 1996년에 발표된 영화 ‘불’ 은 힌두 근본주의자들에게 심각한 도전으로 인식되었다. 여기에서 제기된 성(性)문화의 정체성, 전통과 현대성 논쟁에 이어 디아스포라의 지위와 정체성 논란은 지금까지 열렬히 진행되고있다. 따라서 이 논문은 영화 ‘불’을 둘러싼 핵심 논쟁의 쟁점에 대해 성(性)평등 인식, 고전『라마야나』의 힌두주의적 해석에 대한 사고방식, 전근대적인 여러 사회제도와 관행에 대한인식 개선 등의 주제를 인도의 사회 문화적 맥락에서 세심하게 관찰 분석하는 영화비평이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controversy of the movie 'Fire' in detail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India. Two married female protagonists, who have experienced patriarchy and its customs in the joint family system, suffered internal conflicts and pains in a sense of alienation, eventually developed into a homosexual relationship and finally decided to run away. Rather than compromise with traditional ethics, outdated customs, and unreasonable reality, they have chosen the path of independence. The gender ideology imposed by the patriarchy on director Mehta, who wants to establish a new gender identity, leaves no room for accepting the issue of women's sexuality as fate. Female sexuality and patriarchy, traditionalism and individualism, nationalism and male-centered critique of patriarchy were incompatible with each other. Deepa Mehta criticized the patriarchal ideology in which her husband's sexual domination over his wife was tolerated by choosing the sexuality of pure desire and subjective sexuality. Since the 1980s, discussion of Hindu identity or Hindutva has already begun in earnest in India, and the movie 'Fire', released in 1996, was recognized as a serious challenge for Hindu fundamentalists. Following the debate over the identity, tradition and modernity of gender culture raised here, the controversy over the status and identity of the diaspora continues to be intense. Therefore, this article focuses on the topic of recognition of gender equality, a way of thinking about the Hindu interpretation of the classic 『Ramayana』, and improvement of awareness of various pre-modern social systems and practices on the issues of core controversy surrounding the movie 'Fire'. It is a film criticism that meticulously observes and analyzes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India. KCI Citation Count: 0
Author 이은구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이은구
  organization: (한국외국어대학교)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819889$$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rjYmDJy89LZWCQNjTQMzI0tTDXzypOLNYzMjAy0jMy1zPRMzAwYmLgNDI1sNC1MDQ0YWHgNDS1tNA1NDAz5GDgLS7OTDIwNDMxMzI3NeVkMHozo_HtzCkKjxpmvN7W8ahh5pu5MxTeNK15O6tH4fWaHUCpNwsaFV637nkzH0hta3nTMpeHgTUtMac4lRdKczNourmGOHvo5hWlxWcnZ8bnJ2aC6fT8-OyieMegEM94S0tjS2MjE2NS1AIAdvNPgA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ACYCR
DOI 10.21587/jsas.2022.27.4.002
DatabaseNam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A Socio-Cultural Study on the Controversy of the Film ‘Fire
EISSN 2508-8114
EndPage 48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9939324
GroupedDBID ACYCR
ALMA_UNASSIGNED_HOLDINGS
M~E
ID FETCH-nrf_kci_oai_kci_go_kr_ARTI_99393243
ISSN 1598-1061
IngestDate Tue Nov 21 21:03:32 EST 2023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nrf_kci_oai_kci_go_kr_ARTI_99393243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9939324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2-02
PublicationDateYYYYMMDD 2022-02-01
PublicationDate_xml – month: 02
  year: 2022
  text: 2022-02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남아시아연구, 27(4)
PublicationYear 2022
Publisher 인도연구소
Publisher_xml – name: 인도연구소
SSID ssib016462755
ssib023393662
ssib044753975
Score 3.5663266
Snippet 본 논문은 영화 ‘불’의 논쟁에 대해 인도의 사회 문화적 맥락에서 면밀하게 분석하는 것이다. 공동가족 제도에서 가부장제와 그 관습을 경험해온 기혼의 두 여성 주인공은 소외감 속에 내면의 갈등과 고통을 겪다가 마침내 동성애 관계로 발전하였고 드디어 가출을 단행한다. 이들은전통 윤리,...
SourceID nrf
SourceType Open Website
StartPage 28
SubjectTerms 지역학
Title 영화 ‘불’의 사회 문화적 논쟁 분석
UR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819889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남아시아연구, 2022, 27(4), , pp.28-48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xPT9swFLc6dtllGoJpfxiKED5MVbvUdeLnYxJSARI7MYlb1fTPtFVqpVIuOyCYmMSBI4eChOADcEYc-AR8DK4N34H33IakjGlsF8d5eX628xL7Z8vvx9hi1CL-R9vGX7ykC1IptxC1ZI3otYk6RkQ1QQHOa5_d5S9ydcPZyOWuM6eWtvpRsf7j0biS__EqytCvFCX7D569N4oCzKN_MUUPY_okH_Mw4BoQDPJwiWvNtcwnhxeAhz73XQ6QSLTRRj3IUw4E9wJTzuMQ5Ekd7324N0VKno3GzTNwuB8YC5VERNaNFqZ6KYtyTQG0D6aAk6j5XAcTEq24b_PQ475DlaO3hULEKzPbE-NG-3KcgVQ_u2GBa1174vBHUs68B6g8XiE1CjsRZEdmTTy0I-b2YtPIEL5BAUolmR2BITOXj0g8H84SiHJoo6XyfbNGhO1CFIUqEom6SCfF5CDAg7lygpW7Xf9W_dqttntVXHusVBHpIRiWz9hzoZQ5MrC2HSZjG9G4CZXGAIsyKrspVSPxLiI0dAy977inI5Is09pPv7cVwVCn18qAofVX7OV4FWN5o09ymuXa3Rkm4sHu7dGhdbMzGF7s3-wcxScDK_55fnt8YA3PL_FRfLZrDX9dxad4udiL905m2cdKuB4sF7AO09E_d7j8mk11up3mG2ZFjiqVa65UkdOUTrkB0lbKbjTAjeoUEPaWLfzd3runKL1nL9Jva45N9XtbzQ8ID_vRvHnvd5nqS0g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C%98%81%ED%99%94+%E2%80%98%EB%B6%88%E2%80%99%EC%9D%98+%EC%82%AC%ED%9A%8C+%EB%AC%B8%ED%99%94%EC%A0%81+%EB%85%BC%EC%9F%81+%EB%B6%84%EC%84%9D&rft.jtitle=%EB%82%A8%EC%95%84%EC%8B%9C%EC%95%84%EC%97%B0%EA%B5%AC%2C+27%284%29&rft.au=%EC%9D%B4%EC%9D%80%EA%B5%AC&rft.date=2022-02-01&rft.pub=%EC%9D%B8%EB%8F%84%EC%97%B0%EA%B5%AC%EC%86%8C&rft.issn=1598-1061&rft.eissn=2508-8114&rft.spage=28&rft.epage=48&rft_id=info:doi/10.21587%2Fjsas.2022.27.4.002&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9939324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598-1061&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598-1061&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598-1061&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