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철학의 차원에서 본 朱謙之의 唯情철학과 文化空間說 - 민족주의적 發展史觀에 착안하여
주겸지의 唯情철학은 문화철학적 성격을 지닌다. 그것은 현재의 생명력으로 작동하는 보편적 공감성에 입각하여 문화를 재창조하는 데에 중점을 둔다. 그는 인간의 삶에서 끊임없이 창조되면서 진화하는 “진정한 情의 흐름”을 중시한다. 이는 중국의 자아가 자신과 구분된 타자로서의 서구를 올바로 인식하고 지속가능한 보편적 공존의 가치를 추구하고자 한 것이다. 여기에는 문화학과 지리학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문화공간설의 투사면이 있다. 문화공간설에 따르면, 세계의 문화사에서 특히 예술의 궁극적 문화라야 인류의 보편성을 지닌 大同사회의 이상향을 추구할...
Saved in:
Published in | 중국학보, 0(99) pp. 245 - 268 |
---|---|
Main Author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중국학회
01.02.2022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1226-850X 2671-8286 |
DOI | 10.35982/jcs.99.10 |
Cover
Summary: | 주겸지의 唯情철학은 문화철학적 성격을 지닌다. 그것은 현재의 생명력으로 작동하는 보편적 공감성에 입각하여 문화를 재창조하는 데에 중점을 둔다. 그는 인간의 삶에서 끊임없이 창조되면서 진화하는 “진정한 情의 흐름”을 중시한다. 이는 중국의 자아가 자신과 구분된 타자로서의 서구를 올바로 인식하고 지속가능한 보편적 공존의 가치를 추구하고자 한 것이다. 여기에는 문화학과 지리학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문화공간설의 투사면이 있다. 문화공간설에 따르면, 세계의 문화사에서 특히 예술의 궁극적 문화라야 인류의 보편성을 지닌 大同사회의 이상향을 추구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각은 근대의 시점에서 남방지역의 과학문화에 기반하면서 미래의 예술문화를 달성하는 文化救國論으로 귀결된다. 여기에는 문화의 다원주의와 문명의 보편주의가 결합된 근대적 발전사관이 반영되어 있다. 즉 식민지의 지역성과 제국주의적 국가관 사이에 적용되는 양단논법을 부정하고 서구 열강의 植民史觀을 넘어서 민족주의적 發展史觀을 지향한 것이다. 그러므로 그의 唯情철학의 문화철학적 성격은 오리엔탈리즘으로 대변되는 제국주의적인 식민사관을 넘어서 포스트오리엔탈리즘의 특징을 지닌 문화인류학적 담론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문화철학적 구상은 근대의 중국을 中華主義의 틀 안에 가두어놓는 한계성을 지닌다. The essay has a scheme to excavate Zhu Qian-zhi’s position of cultural philosophy to try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modern Chinese geoplotical space in the traditional consciousness of Chinese history. His cultural philosophy is based upon “the stream of true Qing” incessantly creating and evolving in human life. So-called culture, as a experience of life, is an appearance of going incessantly changing and orienting toward, but never completing a sustainable process of self-realization. He recognized the other separating from the self to grope for an existen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n a certain value of ‘sustainable universal co-existence.’ In this philosophical recognition, particularly, his doctrine’s cultural space projected a social engineering process of social evolution theory moderately adapting to China. Here is an integral horizon of historical diachronicity and geographical synchronicity in China. It is characteristic of sinocentrism of combining the pluralism of culture and the universalism of civilization. He rejected such a modern dichotomy such as colonial locality and imperial nationalism, and, in prism of civilization, overcome Western powers’ view of colonization history to orient toward China’s nationalistic view of development history. In conclusion, Zhu Qian-zhi’s Wei-qing philosophy searches for the recreation of culture of having universal sympathy of vitality and presentness from the perspective of national salvation. It is said to conclude that his modern conception oriented toward the sustainable horizon of locality in Area Study, but consequently confine sinocentrism to a limited frame of nation-state. KCI Citation Count: 1 |
---|---|
ISSN: | 1226-850X 2671-8286 |
DOI: | 10.35982/jcs.9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