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대만 여대생의 화장품 구매결정요인이 한국화장품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목적: 한국과 대만의 20대 여대생을 대상으로 화장품 구매결정요인의 차이를 분석하고, 구매결정요인에 따른 한국화장품의 만족도와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한국화장품 제품개발 및 소비자 마케팅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한국과 대만의 20대 여대생을 대상으로 2019년 12월 10일부터 2020년 3월 20일까지 설문지 법에 의한 자료수집을 실시하였다. 조사문항은 화장품 구매결정요인, 화장품 만족도,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화장품 사용특성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지는 총 297부가 수집되었고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18(4) pp. 619 - 628
Main Author 오윤경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피부과학연구원 01.12.202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466-2046
2466-2054
DOI10.20402/ajbc.2020.0086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한국과 대만의 20대 여대생을 대상으로 화장품 구매결정요인의 차이를 분석하고, 구매결정요인에 따른 한국화장품의 만족도와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한국화장품 제품개발 및 소비자 마케팅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한국과 대만의 20대 여대생을 대상으로 2019년 12월 10일부터 2020년 3월 20일까지 설문지 법에 의한 자료수집을 실시하였다. 조사문항은 화장품 구매결정요인, 화장품 만족도,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화장품 사용특성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지는 총 297부가 수집되었고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요인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화장품 구매의 주요 정보원은 한국과 대만 모두 인터넷•SNS를 통해서 얻는 경우가 많았고 화장품 구매 장소의 경우 로드샵, 인터넷 쇼핑몰이 많았다. 둘째, 한국과 대만 여대생의 구매결정요인은 품질, 디자인, 가격, 브랜드, 사용정보 5가지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구매 평가차이를 알아본 결과 대만이 한국보다 디자인과 가격을 더 고려하는 반면 한국이 대만보다 사용정보를 더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과 대만 여대생의 한국화장품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 이상의 만족도를 나타냈으며 품질과 화장품 재구매 항목에 대한 만족도는 한국 여대생이 더높았다. 넷째, 화장품 구매결정요인이 한국화장품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한 결과 화장품 구매 시 한국은 화장품의 품질과 사용정보를, 대만은 품질, 브랜드, 사용정보를 중요하게 고려한 경우 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결론: 한국 화장품에 대한 만족도를높이기 위해서 화장품 구매 시 한국과 대만 여대생이 제품의 품질과 사용정보를 구체적이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있으며, 대만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 경우에는 화장품 브랜드를 적극적으로 홍보하는 전략을 세울 필요가 있다. Purpose: The study analyzes and compares the factors of cosmetic purchase decision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South Korea (“Korea” hereafter) and Taiwan and elucidates their relationship with satisfaction in terms of Korean cosmetic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via a questionnaire survey conducted from December 10, 2019 to March 20, 2020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twenties in Korea and Taiwan. The survey items focused on the factors of cosmetic purchase decision, satisfaction with cosmetics,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ubjects, and characteristics of cosmetic use. A total of 297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SPSS 18.0. Results: First, the main sources of information for purchasing cosmetics were obtained through the Internet and social networking sites (SNSs) in Korea and Taiwan. Second, five factors of purchase decision were identified, namely, quality, design, price, brand, and usage information. Third, the satisfaction of Korean and Taiwanese female university students with Korean cosmetics was higher than average, whereas satisfaction with quality and cosmetic repurchase items was high for only the Korean students. Fourth, when purchasing cosmetics, the satisfaction rate was higher when the Korean students considered the quality and usage information of the cosmetics, whereas the Taiwanese considered quality, brand, and usage information. Conclusion: To increase satisfaction with Korean cosmetics, ensuring that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and Taiwan can accurately identify product quality and usage information when purchasing cosmetics is necessary. Alternatively, the Taiwanese students should develop strategies to actively promote cosmetic brands. KCI Citation Count: 5
Bibliography:http://dx.doi.org/10.20402/ajbc.2020.0086
ISSN:2466-2046
2466-2054
DOI:10.20402/ajbc.2020.00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