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R을 이용한 시각차단효과가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목적: 이 연구는 단순히 신체의 무게 중심이동과 흔들림만을 측정하여 시각적 변화에 대한 대응 및 변수에 대한 차단기능이 전무한 일반적인 균형능력 측정 장비의 단점을 보완하여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신체분절의 변화와 압력의 변화량을 이용해 신체의 평형성을 측정하는 신규장비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최근 6개월간 하지에 정형외과적 부상 및 신경계 손상이 없는 신체 건강한 성인 남/여 43명을 대상으로 균형능력을 측정하였다. 모든 대상자들은 VR gear를 이용하여 인체의 시각정보를 제한한 상황에서 신규장...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대한통합의학회지, 8(3) pp. 33 - 41
Main Authors 윤상철, 안호원, 안택원, 최해성, 이병권, 서동권, 이규환, 정상우, 이재훈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통합의학회 01.09.202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88-1174
2383-9651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목적: 이 연구는 단순히 신체의 무게 중심이동과 흔들림만을 측정하여 시각적 변화에 대한 대응 및 변수에 대한 차단기능이 전무한 일반적인 균형능력 측정 장비의 단점을 보완하여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신체분절의 변화와 압력의 변화량을 이용해 신체의 평형성을 측정하는 신규장비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최근 6개월간 하지에 정형외과적 부상 및 신경계 손상이 없는 신체 건강한 성인 남/여 43명을 대상으로 균형능력을 측정하였다. 모든 대상자들은 VR gear를 이용하여 인체의 시각정보를 제한한 상황에서 신규장비와 국내에서 안정성 측정 활용도가 높은 장비를 이용하여 대상자들의 균형능력을 측정하고 평가하였다. 대상자들의 균형능력 측정을 위해 Balance Measurement(Prime Medilab, Korea)와 Wii fit(Nintendo, Japan)을 사용하였으며, 자료획득을 위해 각각의 장비를 이용하여 4개의 자세에서 균형능력 검사를 시행하였고 각각의 자세에 대한 검사는 30초가 소요되었다. 자료획득을 위해 모든 대상자들은 각각의 장비를 이용하여 측정된 3회의 측정치의 평균값을 분석하였고 통계적 검정은 독립표본 및 대응표본 t-test를 이용하였으며, 이때의 유의 수준은 α=.05로 하였다. 결과: VR gear를 이용하여 시각적 정보를 차단한 결과 CoP의 평균속도, 최고 속도 및 이동면적은 두 가지 장비를 활용하여 균형능력을 측정한 결과 동일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가지 장비를 이용하여 획득된 결과 값의 절대적 크기는 BM에 비하여 Wii가 다소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보다 명확한 비교를 위해 향후 연구에서는 영상분석 등을 통한 신체의 무게중심 변화를 측정하고 이를 비교 평가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Purpose : Conventional Balance Measurement can only measure the center of gravity and the shaking movement of the body. As a result, it has the disadvantages of not responding to visual changes and blocking functions ofr variabl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new equipment that measures the balance of the body using changes in body segment and pressure using the acceleration sensor to compensate for the disadvantages of the existing equipment. Methods : To this end, balance ability was measured in 43 healthy male/female adults without orthopedic injuries and nervous system damage in the last 6 months. in a situation where the visual information was restricted by VR gear, all subjects measured and evaluated the balance ability utilizing the new equipment. Balance measurement(Prime Medilab, Korea) and Wii fit(Nintendo, Japan) were used to measure the balance ability of the subjects, and the balance ability test was performed in 4 postures using each device for data acquisition. The test duration for each posture was 30 seconds. For data acquisition, the average value of three experiments measured using each equipment was analyzed, and the statistical test was performed using the independent sample and the corresponding sample t-test, and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to α=.05. Results :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balance ability using individual equipment, blocking visual information using VR gear, the average speed, maximum speed, and moving area of the CoP increased equally. It was found that the obtained absolute size of the result in Wii was somewhat larger than that of BM. Conclusion : It is considered that in the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measure changes in the body’s center of gravity through image analysis, etc., to make clear comparison and evaluation of the usability. KCI Citation Count: 0
ISSN:2288-1174
2383-96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