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이미지 연구 방법론 ― 시 텍스트의 ‘내부로부터 외부로의 전개’를 위하여

이 논문의 의도는 시 텍스트 연구에 있어 텍스트 중심의 형식주의적 접근법과 문화· 제도 연구에 기반한 접근법을 접속시킬 수 있는 장소를 텍스트 내부에 지정하고 이를 통해 시 텍스트를 ‘내부로터의 외부로 전개’시키기 위한 방법론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시 이미지에 대해 새롭게 주목하고자 한다. 시 연구에 있어 각별히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이미지 연구는 한동안 새로운 관점과 방법을 얻지 못하고 정체되어 있는 형편이다. 이는 한편으로는 시 이미지를 읽는 데 있어 감각적 분절에 따른 이미지론의 자장 안에머물거나 질...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시학연구, 0(42) pp. 265 - 306
Main Author 조강석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시학회 01.04.201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1943
2733-9440
DOI10.15705/kopoet..42.201504.010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이 논문의 의도는 시 텍스트 연구에 있어 텍스트 중심의 형식주의적 접근법과 문화· 제도 연구에 기반한 접근법을 접속시킬 수 있는 장소를 텍스트 내부에 지정하고 이를 통해 시 텍스트를 ‘내부로터의 외부로 전개’시키기 위한 방법론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시 이미지에 대해 새롭게 주목하고자 한다. 시 연구에 있어 각별히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이미지 연구는 한동안 새로운 관점과 방법을 얻지 못하고 정체되어 있는 형편이다. 이는 한편으로는 시 이미지를 읽는 데 있어 감각적 분절에 따른 이미지론의 자장 안에머물거나 질료적 상상력을 협소하게 적용하여 시에 나타난 이미지를 분류하는 것 이상으로 이미지 연구가 진전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한편으로는 재현과 표상의 맥락에서 문학 이미지를 특정 시대의 사회․역사적 환경의증거로서 활용하는 것 이상으로 논의가 진행되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다. 만약, 형식주의적 완고함과 (시)문학에 대한 표상적 이해 모두를 지양하고 문학텍스트를 내적 정합성 속에서 읽어내고 그 내부로부터 발원하여 텍스트를 사회, 문화, 역사적 맥락에 접속시키고자 한다면 그 유력한 장소로서 이미지가지목되어야 할 까닭이 여기에 있다. 조르주 디디-위베르만의 말처럼 우리가상상하는 방식 속에 근본적으로 정치하는 방식을 위한 조건이 놓여 있다고한다면 텍스트와 사회 그리고 이념과 가치의 문제 등과 두루 관련된 텍스트내재적 요청과 외재적 요청에 동시에 부응해야 한다. 그리고 이를 위하여 시이미지 연구 방법론은 새롭게 정립되어야 한다. 본고에서는 이를 위해 이미지에 대한 다양한 논의들을 표상과 증언, 물질과 운동, 정동적 동요라는 관점에서 분류하고 이미지의 의미에 대해 다각적으로 검토한다. 또한 시 이미지를 풍부하게 활용하기 위해 아비바르부르크,파노프스키 등의 도상해석학에서 이미지를 연구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자세히 살펴보고 이를 시 이미지 연구에 접합시킬 수 있는 가능성과 그것의 한계조건을 검토한다. 나아가 이미지와 언어가 교섭하는 방식을 검토하기 위해‘문장-이미지’론을 펼친 자크 랑시에르의 논의와, 이미지와 텍스트의 혼융으로서의 아이코놀로지론을 주창한 W.J.T. 미첼의 논의를 경유하여 이미지의사회적 성격이 무엇인지를 검토한다. 최종적으로 이런 논의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종합하여 마지막 장에서는 시 이미지 연구 방법론 정립을 위한 제언을 제시한다. This paper intends to suggest a new methodology of studying poeticimages. In a formalistic view, studying poetry means investigating formalfeatures in the text, such as metaphors, tones, structures, irony, etc. On theother hand, there is a tendency to research poems to get some social andhistorical informations, as in cultural studies and social system researches. However, these two ways of viewing poetry are not mutually exclusive. This paper strongly argues that a poetic image can be a clue to make thosetwo views meet. That’s why a new methodology of studying poetic imageis to be developed. As Georges Didi-Huberman said, the way how weimagine determines basic conditions of politics. Likewise, poetic images areboth specific and general, both individual and social. To make a new suggestion, this paper examines various studies onimages. Especially, the iconological approach established by Aby Warburgand Erwin Panofsky is closely examined in this paper. W.J.T. Mitchell’siconology, which gives a helpful idea of ‘text-image’ is also reviewed withan importance. Consequently, this paper suggests a new methodology ofstudying poetic images. KCI Citation Count: 25
Bibliography:G704-001014.2015..42.004
http://www.kopoetics.or.kr
ISSN:1229-1943
2733-9440
DOI:10.15705/kopoet..42.201504.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