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기 시어의 일면 - 정지용과 조지훈 시의 경우

이 논문은 정지용과 조지훈의 시를 대상으로 해방기 시어의 일면을 살핀시도이다. 1935년 개척된 시어의 영역은 반봉건․반외세․민족국가 설립이라는 시대정신의 자장 안에서 축소되었다. 고어나 한자어는 새로움에 위배되는 것으로, 방언은 규정에 어긋나는 것으로 ‘표준어’와 대치되고 있었다. 정지용이 개척했던 여러 개성적인 시어, 고어와 한자어에 관심이 컸던 조지훈의 시어, 두 시인의 시어가 시대정신의 압력에 어떠한 반응을 했는지 파악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한자어와 고유어의 대결에서 한자어가 밀려나는모습이 해방 이후 정지용의 시에는...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시학연구, 0(42) pp. 45 - 67
Main Author 김종훈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시학회 01.04.2015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1943
2733-9440
DOI10.15705/kopoet..42.201504.002

Cover

Abstract 이 논문은 정지용과 조지훈의 시를 대상으로 해방기 시어의 일면을 살핀시도이다. 1935년 개척된 시어의 영역은 반봉건․반외세․민족국가 설립이라는 시대정신의 자장 안에서 축소되었다. 고어나 한자어는 새로움에 위배되는 것으로, 방언은 규정에 어긋나는 것으로 ‘표준어’와 대치되고 있었다. 정지용이 개척했던 여러 개성적인 시어, 고어와 한자어에 관심이 컸던 조지훈의 시어, 두 시인의 시어가 시대정신의 압력에 어떠한 반응을 했는지 파악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한자어와 고유어의 대결에서 한자어가 밀려나는모습이 해방 이후 정지용의 시에는 담겨 있다. 보편성을 기반으로 한 고어나방언이나 조어가 주류 시에 포함될 기회가 지연되었던 것이다. 조지훈은 해방 전 창작한 시에서 유서 깊은 대상의 고유명사를 한자어에 담았다. 그의한자어는 고어와 밀착했다. 해방 이후 조지훈 시에는 특정 대상을 지칭하는데 쓰이는 한자어가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쓰이는 한자어가 등장했다. 조지훈의 시는 스승인 정지용과 걸었던 길과 교차하며 갈라졌다. 정지용은 시대 현실과 유리된 동시에서 고유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시적 이력을 마감했고조지훈은 시대현실이 투영된 관념적 추상어들을 보여주며 남한 시단의 일반적인 흐름에 동참하였다.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review the trends of the poetic words in thetime of Koream Liberation focusing on poems by Jeong Ji Yong and ChoJi Hoon. In 1935, the scope of pioneered poetic words was reduced into thefield of to build an anti-feudal, against-foreign, and national country. Old orwords in Chinese letters were considered as new ones while dialects wereregarded as violation of the regulation to the standard language. This articleaims at figuring out how poetic words by Jeong Ji Yong who pioneereddiverse original words for poetry and by Cho Ji Hoon, who had greatinterest in old words and one in Chinese letters, have reacted by suppressof the ethos of the time. Jeong Ji Yong’s poems after the liberation containsdefeat of words in Chinese letters in the competition between originalKorean words and it. After Jeong Ji Yong, the possibilities of universal oldwords, dialects, and coined words were gone. Cho Ji Hoon included theproper nouns of the old objects consisting of Chinese-derived words in hispoems before the Liberation. His use of words in Chinese letters wereclosely tied to old words. Since the Liberation, Cho Ji Hoon's poems showed daily-used words in Chinese letters not one designating a specificobject. Cho Ji Hoon's poems separated from those of Jeong Ji Yong,intersecting with them. Jeong Ji Yong used original Korean words activelyin the situation isolated from the reality at that time and finished his careeras a poet while Cho Ji Hoon showed idealistic abstract words reflecting thereality of the time, participating in general flow of poetry in South Korea. KCI Citation Count: 2
AbstractList 이 논문은 정지용과 조지훈의 시를 대상으로 해방기 시어의 일면을 살핀시도이다. 1935년 개척된 시어의 영역은 반봉건․반외세․민족국가 설립이라는 시대정신의 자장 안에서 축소되었다. 고어나 한자어는 새로움에 위배되는 것으로, 방언은 규정에 어긋나는 것으로 ‘표준어’와 대치되고 있었다. 정지용이 개척했던 여러 개성적인 시어, 고어와 한자어에 관심이 컸던 조지훈의 시어, 두 시인의 시어가 시대정신의 압력에 어떠한 반응을 했는지 파악하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이다. 한자어와 고유어의 대결에서 한자어가 밀려나는모습이 해방 이후 정지용의 시에는 담겨 있다. 보편성을 기반으로 한 고어나방언이나 조어가 주류 시에 포함될 기회가 지연되었던 것이다. 조지훈은 해방 전 창작한 시에서 유서 깊은 대상의 고유명사를 한자어에 담았다. 그의한자어는 고어와 밀착했다. 해방 이후 조지훈 시에는 특정 대상을 지칭하는데 쓰이는 한자어가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쓰이는 한자어가 등장했다. 조지훈의 시는 스승인 정지용과 걸었던 길과 교차하며 갈라졌다. 정지용은 시대 현실과 유리된 동시에서 고유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시적 이력을 마감했고조지훈은 시대현실이 투영된 관념적 추상어들을 보여주며 남한 시단의 일반적인 흐름에 동참하였다.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review the trends of the poetic words in thetime of Koream Liberation focusing on poems by Jeong Ji Yong and ChoJi Hoon. In 1935, the scope of pioneered poetic words was reduced into thefield of to build an anti-feudal, against-foreign, and national country. Old orwords in Chinese letters were considered as new ones while dialects wereregarded as violation of the regulation to the standard language. This articleaims at figuring out how poetic words by Jeong Ji Yong who pioneereddiverse original words for poetry and by Cho Ji Hoon, who had greatinterest in old words and one in Chinese letters, have reacted by suppressof the ethos of the time. Jeong Ji Yong’s poems after the liberation containsdefeat of words in Chinese letters in the competition between originalKorean words and it. After Jeong Ji Yong, the possibilities of universal oldwords, dialects, and coined words were gone. Cho Ji Hoon included theproper nouns of the old objects consisting of Chinese-derived words in hispoems before the Liberation. His use of words in Chinese letters wereclosely tied to old words. Since the Liberation, Cho Ji Hoon's poems showed daily-used words in Chinese letters not one designating a specificobject. Cho Ji Hoon's poems separated from those of Jeong Ji Yong,intersecting with them. Jeong Ji Yong used original Korean words activelyin the situation isolated from the reality at that time and finished his careeras a poet while Cho Ji Hoon showed idealistic abstract words reflecting thereality of the time, participating in general flow of poetry in South Korea. KCI Citation Count: 2
Author 김종훈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김종훈
  organization: (상명대학교)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82015$$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rjYmDJy89LZWCQMzTQMzQ1NzDVz84vyE8t0dMzMdIzMjA0NTDRMzAwYmLgNDI3Nta1NDExYGHgNDQystQ1tDQx5mDgLS7OTDIwMDO3MDQwNuBkcHw7dcvrDStf7dig8KZ7zptpW97MnaHwZu6e1yu3KOgqvFkw9c3yhjezVr7avEfhzcINQM7b2R1glUBlrzbtfTNrAw8Da1piTnEqL5TmZtBwcw1x9tDNK0qLz07OjM9PzATT6fnx2UXxjkEhnvGWJoaWhsbGJCgFAFwMWr8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ACYCR
DOI 10.15705/kopoet..42.201504.002
DatabaseNam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The Trends of the Poetic Words in the Time of Korean Liberation - Focusing on Poems by Jeong Ji Yong and Cho Ji Hoon
EISSN 2733-9440
EndPage 67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941913
GroupedDBID ACYCR
ALMA_UNASSIGNED_HOLDINGS
M~E
ID FETCH-nrf_kci_oai_kci_go_kr_ARTI_9419133
ISSN 1229-1943
IngestDate Tue Jun 10 03:11:07 EDT 2025
IsDoiOpenAccess true
IsOpenAccess true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nrf_kci_oai_kci_go_kr_ARTI_9419133
Notes http://www.kopoetics.or.kr
G704-001014.2015..42.003
OpenAccess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82015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941913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5-04
PublicationDateYYYYMMDD 2015-04-01
PublicationDate_xml – month: 04
  year: 2015
  text: 2015-04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한국시학연구, 0(42)
PublicationYear 2015
Publisher 한국시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시학회
SSID ssib006781030
ssib044738283
ssib001151696
Score 3.1160426
Snippet 이 논문은 정지용과 조지훈의 시를 대상으로 해방기 시어의 일면을 살핀시도이다. 1935년 개척된 시어의 영역은 반봉건․반외세․민족국가 설립이라는 시대정신의 자장 안에서 축소되었다. 고어나 한자어는 새로움에 위배되는 것으로, 방언은 규정에 어긋나는 것으로 ‘표준어’와 대치되고 있었다....
SourceID nrf
SourceType Open Website
StartPage 45
SubjectTerms 한국어와문학
Title 해방기 시어의 일면 - 정지용과 조지훈 시의 경우
UR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82015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한국시학연구, 2015, 0(42), 42, pp.45-67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1Pb9MwFLfKuHBBIED8V5CwhFSlOInT2Mc4DRpI4zSk3aq2JAhVaqaqu3BAHJE4D6HBJDih3irogcP4Qp134gvwnuMuYQxRuEQv9nvPz31O3s-u_ULI3X4m8RnDJy0IXf40kK70BXPzMM_zDPABy3FBf-Nxe_0Jf7QVbjUaP2q7lnYm_dbgxannSv7Hq1AGfsVTsv_g2WOlUAA0-Beu4GG4ruRjmnaoDKniNFVUMRpLmsZUCaCbNE2oUFQmSMi2YQICBETTUipBORBSvOmawpihPiQi3AKBbPFSawD8JZOHbVVMoFJRIU60aBsCQZ-qjlWlWB0MW_NRAKpCGndqKsoqaQQj02DJk-CgYICLuV9bxTC10toc-1SEx3bV1zW8sLYdBkfiaiZ00HaR1F7gvi9dT5apn1qZKQOEFriSl2mh7Iu6zGFpQ375QZDfgkkYMUy8MSy2i2zSanE8twf4GdOt-1X4XG4ZOBFVf8nfPRw87z4rusNxF2YpD7uSwyw5OEPO-lFk9hZsvEwrDOvhX5cVRgQ0YT8FZ-45jwKYJZuDI8u-2pPvaO_9U60F4DQa5zXgtHmBnLczHicuh-9F0hgWl0h8tDs_nE0X32aOfvNBv53r_XeO3j84nM4d19Efd_XnV3pvuvh64OhPM7g5ev_acALb4st3vTe7TO49SDeTdReaND3_4y8QXCFro2KUXSXOgIsMu9bugaM83gfUzlgP4HUAMTtjvWvkzl_VXV-B5wY5Vw22m2RtMt7JbgGsnPRvGzf8BNGSX9I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D%95%B4%EB%B0%A9%EA%B8%B0+%EC%8B%9C%EC%96%B4%EC%9D%98+%EC%9D%BC%EB%A9%B4+-+%EC%A0%95%EC%A7%80%EC%9A%A9%EA%B3%BC+%EC%A1%B0%EC%A7%80%ED%9B%88+%EC%8B%9C%EC%9D%98+%EA%B2%BD%EC%9A%B0&rft.jtitle=%ED%95%9C%EA%B5%AD%EC%8B%9C%ED%95%99%EC%97%B0%EA%B5%AC%2C+0%2842%29&rft.au=%EA%B9%80%EC%A2%85%ED%9B%88&rft.date=2015-04-01&rft.pub=%ED%95%9C%EA%B5%AD%EC%8B%9C%ED%95%99%ED%9A%8C&rft.issn=1229-1943&rft.eissn=2733-9440&rft.spage=45&rft.epage=67&rft_id=info:doi/10.15705%2Fkopoet..42.201504.002&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941913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9-1943&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9-1943&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9-1943&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