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三韓 개념에 대한 고찰

三韓개념은 한반도에서 일어난 문화변동에 따라 변화하였다. 그래서우리나라 고문헌에 등장하는 삼한은 다양한 개념을 갖는다. 고문헌에 등장하는 삼한에 대한 분석은 삼한 개념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 필요한 작업이라고 본다. 이 논문은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삼한 개념을조사하고 분석하는 연구이다. 『조선왕조실록』은 500여 년에 걸쳐 순차적으로 만들어진 사료로서 삼한 개념의 다의성을 고찰하는 데 매우 적절하고 유용한 고문헌이라고 판단한다. 『조선왕조실록』에는 三韓이 345번이나 등장한다. 그중에 삼한이 마한・진한・변한의 국호를 분명하게...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史叢(사총), 0(100) pp. 1 - 32
Main Author 이전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역사연구소 01.05.202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9-4446
2671-583X
DOI10.16957/sa..100.202005.1

Cover

Abstract 三韓개념은 한반도에서 일어난 문화변동에 따라 변화하였다. 그래서우리나라 고문헌에 등장하는 삼한은 다양한 개념을 갖는다. 고문헌에 등장하는 삼한에 대한 분석은 삼한 개념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 필요한 작업이라고 본다. 이 논문은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삼한 개념을조사하고 분석하는 연구이다. 『조선왕조실록』은 500여 년에 걸쳐 순차적으로 만들어진 사료로서 삼한 개념의 다의성을 고찰하는 데 매우 적절하고 유용한 고문헌이라고 판단한다. 『조선왕조실록』에는 三韓이 345번이나 등장한다. 그중에 삼한이 마한・진한・변한의 국호를 분명하게 가리키는 경우는 단지 1번뿐이고, 삼한이 삼국보다 앞선 실체임을 분명하게 명시하는 경우는 겨우 4번뿐이다. 조선왕조실록에서 삼한이 우리나라라는 뜻을 갖는 경우가 215번이나되고, 다른 나라 사람들이 조선을 삼한이라고 칭한 경우는 30번이나 된다. 또한 삼한을 직위・공신・화폐・서적 명칭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60번이나 된다. 그리고 『조선왕조실록』에는 삼한이 가리키는 시대가 불분명한기사가 33번 등장하고, 고려 태조 왕건이 마한・진한・변한의 삼한을 통합하였다는 잘못된 기사도 2번 등장한다. 고문헌 자료에서 최초로 언급되는 한반도 종족들은 마한・진한・변한의삼한이다. 그런데 마한・진한・변한이라는 세 종족이 한반도에서 일어난문화변동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였는가에 대한 논의는 한반도 고대사 이해의 중요한 과제라고 본다. 이 논문에서는 『조선왕조실록』에 등장하는 삼한이 매우 다양한 개념을 갖고 있음을 밝히고 있는데, 『조선왕조실록』 의 삼한 개념이 이처럼 다양한 것은 한반도에서 일어난 문화변동으로 인하여 삼한 개념이 점차 변화하였기 때문이고, 그러한 삼한 개념의 변화가 『조선왕조실록』에 투영되었기 때문이라고 판단한다. The Samhan concept has changed along with the cultural changes that might have taken place in the Korean Peninsula. Accordingly, diverse meanings of Samhan may appear in the historical documents of Korea. Therefore, the meanings of Samhan in the historical documents need to be analyzed carefully in order to understand the Samhan concepts correctly. This study deals with the Samhan concepts that appear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he Annals, recorded for about five hundred consecutive years, may be one of the most highly valuable source of information for studying the diversity of Samhan concepts. In the Annals, the term Samhan appears three-hundred-and-forty-five times: just once as the name of the three countries(Mahan, Jinhan, and Byunhan); four occurrences as the three countries that come just before the three states(Goguryeo, Baekje, and Shilla). In the Annals Samhan is named as our country two-hundred-and-fifteen times, while Samhan is called as Joseon country by foreigners thirty times. Samhan is also used as an official title(name) for position, founding member, money, and book sixty times in the Annals. Furthermore, in the articles of Annals the age of Samhan is unclear for thirty-three times, and is not correct for two occurrences. It has been found in this study that the Samhan concepts are very diverse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KCI Citation Count: 1
AbstractList 三韓개념은 한반도에서 일어난 문화변동에 따라 변화하였다. 그래서우리나라 고문헌에 등장하는 삼한은 다양한 개념을 갖는다. 고문헌에 등장하는 삼한에 대한 분석은 삼한 개념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 필요한 작업이라고 본다. 이 논문은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삼한 개념을조사하고 분석하는 연구이다. 『조선왕조실록』은 500여 년에 걸쳐 순차적으로 만들어진 사료로서 삼한 개념의 다의성을 고찰하는 데 매우 적절하고 유용한 고문헌이라고 판단한다. 『조선왕조실록』에는 三韓이 345번이나 등장한다. 그중에 삼한이 마한・진한・변한의 국호를 분명하게 가리키는 경우는 단지 1번뿐이고, 삼한이 삼국보다 앞선 실체임을 분명하게 명시하는 경우는 겨우 4번뿐이다. 조선왕조실록에서 삼한이 우리나라라는 뜻을 갖는 경우가 215번이나되고, 다른 나라 사람들이 조선을 삼한이라고 칭한 경우는 30번이나 된다. 또한 삼한을 직위・공신・화폐・서적 명칭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60번이나 된다. 그리고 『조선왕조실록』에는 삼한이 가리키는 시대가 불분명한기사가 33번 등장하고, 고려 태조 왕건이 마한・진한・변한의 삼한을 통합하였다는 잘못된 기사도 2번 등장한다. 고문헌 자료에서 최초로 언급되는 한반도 종족들은 마한・진한・변한의삼한이다. 그런데 마한・진한・변한이라는 세 종족이 한반도에서 일어난문화변동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였는가에 대한 논의는 한반도 고대사 이해의 중요한 과제라고 본다. 이 논문에서는 『조선왕조실록』에 등장하는 삼한이 매우 다양한 개념을 갖고 있음을 밝히고 있는데, 『조선왕조실록』 의 삼한 개념이 이처럼 다양한 것은 한반도에서 일어난 문화변동으로 인하여 삼한 개념이 점차 변화하였기 때문이고, 그러한 삼한 개념의 변화가 『조선왕조실록』에 투영되었기 때문이라고 판단한다. The Samhan concept has changed along with the cultural changes that might have taken place in the Korean Peninsula. Accordingly, diverse meanings of Samhan may appear in the historical documents of Korea. Therefore, the meanings of Samhan in the historical documents need to be analyzed carefully in order to understand the Samhan concepts correctly. This study deals with the Samhan concepts that appear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he Annals, recorded for about five hundred consecutive years, may be one of the most highly valuable source of information for studying the diversity of Samhan concepts. In the Annals, the term Samhan appears three-hundred-and-forty-five times: just once as the name of the three countries(Mahan, Jinhan, and Byunhan); four occurrences as the three countries that come just before the three states(Goguryeo, Baekje, and Shilla). In the Annals Samhan is named as our country two-hundred-and-fifteen times, while Samhan is called as Joseon country by foreigners thirty times. Samhan is also used as an official title(name) for position, founding member, money, and book sixty times in the Annals. Furthermore, in the articles of Annals the age of Samhan is unclear for thirty-three times, and is not correct for two occurrences. It has been found in this study that the Samhan concepts are very diverse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KCI Citation Count: 1
Author 이전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이전
  organization: (경상대학교)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89727$$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rjYmDJy89LZWCQNDTQMzSzNDXXL07U0zM0MNAzMjAyMDDVM2Ri4DQyMzfUNbUwjmBh4DQ0MrLUNTExMeNg4C0uzkwyMDK0MLM0MzDhZHB53ND3ZuGGNy0L3sycCmJ0L3m9cO7jhv430ycovG6a8ba54XXTHIUnOzpfzp-s8GrDnNetE8BSPQ1vp85ReLV5wZsNG3gYWNMSc4pTeaE0N4Omm2uIs4duXlFafHZyZnx-YiaYTs-Pzy6KdwwK8Yy3NDY0MzM3NyZFLQDxTVty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ACYCR
DOI 10.16957/sa..100.202005.1
DatabaseNam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The Samhan Concepts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EISSN 2671-583X
EndPage 32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9316677
GroupedDBID ACYCR
ID FETCH-nrf_kci_oai_kci_go_kr_ARTI_93166773
ISSN 1229-4446
IngestDate Tue Nov 21 21:42:24 EST 2023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nrf_kci_oai_kci_go_kr_ARTI_93166773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9316677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20-05
PublicationDateYYYYMMDD 2020-05-01
PublicationDate_xml – month: 05
  year: 2020
  text: 2020-05
PublicationDecade 2020
PublicationTitle 史叢(사총), 0(100)
PublicationYear 2020
Publisher 역사연구소
Publisher_xml – name: 역사연구소
SSID ssib021869604
ssib030194366
ssib044760111
ssib052471820
ssib007556300
ssib010782664
Score 3.4400353
Snippet 三韓개념은 한반도에서 일어난 문화변동에 따라 변화하였다. 그래서우리나라 고문헌에 등장하는 삼한은 다양한 개념을 갖는다. 고문헌에 등장하는 삼한에 대한 분석은 삼한 개념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 필요한 작업이라고 본다. 이 논문은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삼한 개념을조사하고 분석하는...
SourceID nrf
SourceType Open Website
StartPage 1
SubjectTerms 역사학
Title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三韓 개념에 대한 고찰
UR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589727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史叢(사총), 2020, 0(100), , pp.1-32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NaxNBdIj14kUqKn5UWcQ5iGzcnZ3dmTnuV6hCPVXILezGjUgggZhePEioehBFC1JUiNiCPyDgxf9TL23S_-B70-3uJipWL8vw5s2b9-YNb97MvnlDyM0UNsYiU23TchPYoCSpY8q07ZkwdTossWSS6Dzba_e91Qf8XtNt1mr7lailjWFabz_97b2S_9EqwECveEv2HzRbEAUAlEG_8AUNw_dEOqaxg5EKMqZxSH2bBhYWJKe-LihFlTtfFVCf0zhAiIqOmzc0sqDKuo11klElaRxRqatzSAh1nAaSSkVjINygygGQj5RVqLFcoLBAKtQUIuRDUwB0J-cO2gVW1TemsYu8BCwv-Ay8X801o36om3DkmimcFxZmmMInpouTDN11hEgoMsjFq0cazCoDCPUkzDn1o7kuAIJDBXy6OUR6IEbFdjOmTM7zE81Mw5gnbLxY1qzYaLuy2B-drf6yjHhKP378JKljFEkdebTcul2umcdxAgtL6VzS7m77cetRv9UdtGBrcrelHNvzhDhFTjMhdETB2rO4MH1CJ2orTKeNnlsl8b9-OaySRgfMsuJO6YlzjrFNpal2GTodOilpMSz5P32U7c6iZOBZ9Qadime1vkzO5lsiwz-a3-dIrds_T6K90dvZ7mT2Ymf2aRsLr79Odz_vjd7NPmwZ082Ph89H082x8eP7q_0v742DyXj6cktXvRkdbo-Ng287s8nkArnViNfDVRN61QP15wFzLpKlXr-XXSIG-PbC5Xaa2uIhtxInsUUmPYe3O_hvw7Yukxt_p3flJEhXyZlyYq6QpeFgI7sG3ucwva719hPtZGe1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3%80%8E%EC%A1%B0%EC%84%A0%EC%99%95%EC%A1%B0%EC%8B%A4%EB%A1%9D%E3%80%8F%EC%97%90+%EB%82%98%ED%83%80%EB%82%9C+%E4%B8%89%E9%9F%93+%EA%B0%9C%EB%85%90%EC%97%90+%EB%8C%80%ED%95%9C+%EA%B3%A0%EC%B0%B0&rft.jtitle=%E5%8F%B2%E5%8F%A2%28%EC%82%AC%EC%B4%9D%29%2C+0%28100%29&rft.au=%EC%9D%B4%EC%A0%84&rft.date=2020-05-01&rft.pub=%EC%97%AD%EC%82%AC%EC%97%B0%EA%B5%AC%EC%86%8C&rft.issn=1229-4446&rft.eissn=2671-583X&rft.spage=1&rft.epage=32&rft_id=info:doi/10.16957%2Fsa..100.202005.1&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9316677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9-4446&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9-4446&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9-4446&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