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X 종목별 변동성완화장치의 특징과 가격안정화 및 가격발견 효과: 동적 가격변동범위를 중심으로
2014년 9월 1일 한국거래소(KRX)는 기존의 가격제한폭제도와는 별도로 변동성완화장치(VI) 라는 개별종목 가격안정화장치를 “동적 가격변동범위”에만 국한하여 새로이 채택하였다. 본 논문은KRX가 신규 도입한 개별종목 VI의 특징과 가격안정화 및 가격발견 효과를 고찰한다. 2014년 9월부터 11월까지 3개월간, KRX 전체 상장종목의 접속매매와 종가 단일가매매에서 발생한 모든 VI 발동을 분석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VI는 기본적으로 변동성이 큰 종목에서 발동하여KOSPI 시장보다는 KOSDAQ 시장에서, 보통주보...
Saved in:
Published in | 한국증권학회지, 44(5) pp. 1065 - 1090 |
---|---|
Main Authors | , , , |
Format | Journal Article |
Language | Korean |
Published |
한국증권학회
01.12.2015
|
Subjects | |
Online Access | Get full text |
ISSN | 2005-8187 2713-5543 |
Cover
Summary: | 2014년 9월 1일 한국거래소(KRX)는 기존의 가격제한폭제도와는 별도로 변동성완화장치(VI) 라는 개별종목 가격안정화장치를 “동적 가격변동범위”에만 국한하여 새로이 채택하였다. 본 논문은KRX가 신규 도입한 개별종목 VI의 특징과 가격안정화 및 가격발견 효과를 고찰한다. 2014년 9월부터 11월까지 3개월간, KRX 전체 상장종목의 접속매매와 종가 단일가매매에서 발생한 모든 VI 발동을 분석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VI는 기본적으로 변동성이 큰 종목에서 발동하여KOSPI 시장보다는 KOSDAQ 시장에서, 보통주보다는 우선주, 부동산투자회사, 선박투자회사, 투자회사 등 특수종목에서 자주 발동한다. 또한, 소기업, 고변동성, 저유동성, 저주가 종목 등 시장의질적 수준이 비교적 취약한 종목일수록 보다 자주 발동한다. 둘째, VI는 하루 중 역 J-자형 패턴으로 발동한다. 한편, KOSDAQ 시장에서는 도입 이후 상․하한가 발생일이 오히려 증가하여 VI의가격안정화 효과가 제한적으로 나타난다. 셋째, 접속매매 시 직전체결가와 잠정체결가, 잠정체결가와 단일가매매 체결가 간 괴리율에 역전 현상이 나타나 VI가 가격안정화에 일정 수준 기여함을시사한다. 하지만, 이런 공헌이 종가 단일가매매에서는 접속매매만큼 뚜렷하지는 않다. 넷째, VI 기간 동안 가격발견 및 안정화 효과는 상당하다. 그러나 VI 발동 직전 10분간 주가가 심하게오버슈팅 하여 VI 기간 직후 10분간 균형가격을 발견하는 데에는 그 효과가 약하다 할 수 있다. 이상을 종합해보면, KRX가 부분 도입이라는 형태로 행한 제도 실험은 일부 중요 성과에도 불구하고, 완전 도입의 필요성을 더욱 강조하는 촉매 역할 정도를 했다고 볼 수 있다. A volatility interruption (VI) is a sophisticated microstructure mechanism providing coolingoff periods and effective price discovery in brief periods of abnormal volatility for an individual stock. On September 1, 2014, the KRX adopted an experimental VI confined to a dynamic price range, in addition to the existing ±15% daily price limits. We study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specific VI that the KRX experiment employed in the continuous trading session and the closing call auction, and its effects on price stabilization and discovery. We analyze all VI events in the three months following the adoption. First, we find that VI occurs more frequently among the smaller, more volatile, lower priced, and less liquid stocks. Second, VI shows an inverse J-shaped diurnal pattern. The number of days when the stock prices hit the upper or lower price limits has increased (not decreased) since the introduction of VI to KOSDAQ (KOSPI) market, suggesting that VI does not contribute meaningfully to market stabilization. Third, during the continuous trading session, the signs of disparity ratios between the last execution price right before VI triggering and the potential execution price, and between the potential execution price and the VI call auction price, are reversed, suggesting VI makes some contribution to price stabilization. Fourth, the price discovery and stabilization during the VI call auction are considerable. However, due to overshooting right before VI triggering, the price changes considerably in the ten minutes following the VI call auction. Taken all together, the VI that the KRX introduced on September 1, 2014 produced a positive but limited improvement. KRX adopted a more sophisticated VI on June 15, 2015. KCI Citation Count: 4 |
---|---|
Bibliography: | http://www.iksa.or.kr/ G704-SER000000670.2015.44.5.002 |
ISSN: | 2005-8187 2713-554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