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라쿼트 중독환자에서 Hart 생존률 곡선의 중요성과 예후인자

배 경 : 파라쿼트 (paraquat)는 제초제로 사용되는 맹독성 농약으로 소량의 섭취로도 사망할 수 있으며, 환자나 보호자의 진술에 의한 섭취량, 검사실 소견, 소변 dithionite 검사 등의 결과만으로 중독의 정도 및 예후를 간접적으로 판정하여 치료의 지표로 삼고 있다.방 법 : 저자들은 파라쿼트 중독 환자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조사하고, Hart 등이 제시한 생존곡선을 이용한 예후 판정이 가능한지, 그리고 어떤 지표를 이용하여 치료 방침을 결정할지를 알아보기 위해, 음독 후 24시간 이내에 환자의 혈중 파라쿼트...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pp. 270 - 277
Main Authors 김정화, 이영희, 신성혜, 김바울, 이재규, 이지은, 이진규, 이광영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신장학회 01.03.200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11-9132
2211-9140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배 경 : 파라쿼트 (paraquat)는 제초제로 사용되는 맹독성 농약으로 소량의 섭취로도 사망할 수 있으며, 환자나 보호자의 진술에 의한 섭취량, 검사실 소견, 소변 dithionite 검사 등의 결과만으로 중독의 정도 및 예후를 간접적으로 판정하여 치료의 지표로 삼고 있다.방 법 : 저자들은 파라쿼트 중독 환자의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조사하고, Hart 등이 제시한 생존곡선을 이용한 예후 판정이 가능한지, 그리고 어떤 지표를 이용하여 치료 방침을 결정할지를 알아보기 위해, 음독 후 24시간 이내에 환자의 혈중 파라쿼트 농도를 측정하여, Hart 등이 제시한 생존곡선을 기준으로 90% 생존곡선 이하의 농도군을 A군, 90% 생존곡선과 70% 생존곡선 사이의 농도군을 B군, 70% 생존곡선과 50% 생존곡선 사이의 농도군을 C군, 50% 생존곡선과 30% 생존곡선 사이의 군을 D군, 30% 생존곡선과 20% 생존곡선 사이의 농도군을 E군, 20% 생존곡선과10% 생존곡선 사이의 농도군을 F군, 10% 생존곡선 보다 높은 농도 군을 G군으로 구분하여 각 군의 생존율과 사망률을 분석하였다.결 과 : 1998년 2월부터 2003년 2월까지 내원하여 치료받은 파라쿼트 중독 환자 516명 중 24시간 이내에 내원하여 치료받은 175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환자의 연령은 45.6±17.1세, 남자 101명 여자 74명, 전체 환자 사망률은 69.1%였다. 환자 수는 A군 27명, B군 15명, C군 8명, D군 9명, E군 11명, F군 12명, G군 93명이었으며, 각 군의 사망률은 A군 7.4%, B군 26.7%, C군 37.5%, D군 55.6%, E군 63.6%, F군 83.3%, G군 96.8%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p<0.0005), Hart의 생존 곡선을 이용하여 예후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었다.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인자로 24시간 이내의 혈장 파라쿼트 농도군이 가장 중요하여 odds ratio (95% confidence interval)가 B군 4.4 (0.7-27.5), C군 7.2 (0.9- 54.9), D군 15.0 (52.1-105.6), E군 21.0 (3.2-139.7), F군 60.0 (7.4-487.1), G군 359.9 (56.9- 2277.9)으로 음독양, 소변 dithionite test 보다 중요하였다. Background:Paraquat is highly toxic herbicide used in agriculture, and mortality of paraquat poisoning is very high. The predictions of severity of poisoning assessed with the amount of ingestion, results of urine dithionite test and laboratory findings are not accurate.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whether Hart's probability of survival curves are useful for predicting outcomes of paraquat-poisoned patients and which factors influence the outcomes of the patients. Methods:We grouped 175 patients with paraquat poisoning into seven groups using curves of probability of survival suggested by Hart, et al. Group A was patients with plasma paraquat concentration below 90% probability of survival curve, group B patients with paraquat levels between 90% and 70% probability of survival curves, group C patients with paraquat levels between 70 and 50% probability of survival curves, group D the ones with paraquat levels between 50% and 30% probability of survival curves, group E the ones with paraquat levels between 30 and 20% probability of survival curves, group F paraquat levels between 20 and 10% probability of survival curves, and group G patients with paraquat levels above 10% probability of survival curve. And we analyzed the survival and mortality rates of each groups. Results:The mortality rates of groups A, B, C, D, E, F and G were 7.4%, 26.7%, 37.5%, 55.6%, 63.6 %, 83.3% and 96.8% respectively (p<0.0005). The most important risk factor for death of patients was the paraquat concentration grouping with odds ratios (95% CI) of 4.4 (0.7-27.5, group B), 7.2 (0.9-54.9, group C), 15.0 (52.1-105.6, group D), 21.0 (3.2-139.7, group E), 60.0 (7.4-487.1, group F), and 359.9 (56.9- 2277.9, group G). Conclusion:In assessing prognosis of patients with paraquat poisoning, grouping of the patients using initial plasma paraquat concentrations is the most important, and the policy of treatment can be decided according the results. KCI Citation Count: 0
Bibliography:G704-000889.2004.23.2.008
ISSN:2211-9132
2211-9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