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gA 신병증에서 혈중 Vascular Endothelial GrowthFactor 농도의 임상적 의의

목 적: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VEGF)는 혈관 내피 세포의 증식과 혈관 신생, 혈관 투과도의 증가 등을 유발하는 특이한 성장인자로서 신장에서도 생성된다고 하나 아직 완전한 기능은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저자들은 원발성 사구체 질환 중에서 가장 흔한 IgA 신병증 환자를 대상으로 질병의 중증도와 관련된 여러 인자들과 혈청 VEGF 농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부산대학교병원 신장내과에 입원하여 신생검 시행결과 IgA 신병증으로 진단된 21명의 환자를...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pp. 553 - 559
Main Authors 이수봉, 이동원, 김용범, 곽임수, 나하연, 정현철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대한신장학회 01.08.2002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11-9132
2211-9140

Cover

Abstract 목 적: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VEGF)는 혈관 내피 세포의 증식과 혈관 신생, 혈관 투과도의 증가 등을 유발하는 특이한 성장인자로서 신장에서도 생성된다고 하나 아직 완전한 기능은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저자들은 원발성 사구체 질환 중에서 가장 흔한 IgA 신병증 환자를 대상으로 질병의 중증도와 관련된 여러 인자들과 혈청 VEGF 농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부산대학교병원 신장내과에 입원하여 신생검 시행결과 IgA 신병증으로 진단된 2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혈청 VEGF를 Sandwich ELISA 방법으로 정량 하였으며 조직학적 소견을 포함한 질환의 중증도를 반영하는 인자들과 혈청 VEGF 농도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결 과:조직학적 중증도, 조직 표본중의 반월(crescent)의 비율, 혈청 중의 크레아티닌, 알부민, IgA들의 각각의 농도와 24시간 요단백 배설량, 크레아티닌 청소율을 구하여 이들과 혈청 VEGF 농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조직학적 등급(r=0.471, p<0.05), 세포성 반월의 비율(r=0.485, p<0.05), 간질 섬유화의 정도(r=0.562, p<0.01), 24시간 요단백 배설량(r=0.439, p< 0.05), 그리고 혈청 알부민 농도(r=-0.594, p<0.01)가 각각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월이 관찰되지 않았던 17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는 혈청 알부민 농도만이 혈청 VEGF 농도와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보였다. 7명의 조직학적 등급 IV, V인 환자를 대상으로 혈청 VEGF의 농도를 조사한 결과 반월의 존재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 론:IgA 신병증에서 혈중 VEGF 농도는 조직학적 소견에서 사구체 경화와 같은 만성적인 변화보다는 급성 신손상을 반영하는 세포성 반월(cellular crescent)의 형성과 의미 있는 양(positive)의 상관 관계를 보인다. 따라서 혈청 VEGF 농도는 IgA 신병증 환자에서 급성 신 손상의 정도, 그 중에서도 특히 세포성 반월 형성을 반영하는 좋은 표지자로 판단된다. Background: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is a potent enhancer of microvascular permeability and a selective endothelial cell growth factor. In human kidney, VEGF is expressed mainly in glomerular visceral epithelial cells.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levels of VEGF and factors reflecting the severity of disease including histological patterns in order to elucidate the relevance of VEGF in the pathogenesis of IgA nephropathy. Methods:Serum VEGF was studied using a sandwich ELISA from 21 patients with IgA nephropathy. Histological patterns are classified to 5 grades by WHO classification and frequencies of crescent and glomerular sclerosis, degree of interstitial fibrosis were recorded. Serum concentrations of creatinine, albumin, IgA, amounts of 24 hour urine protein excretion, and creatinine clearances are also evaluated. Results:Serum VEGF level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histological grade(r=0.471, p<0.05), frequency of cellular crescent(r=0.485, p<0.05), degree of interstitial fibrosis(r=0.562, p<0.01), and 24 hour urine protein excretion(r=0.439, p<0.05), and inversely with serum albumin concentration(r=-0.594, p<0.01). Studies in 17 patients without crescent formation revealed that only serum albumin concentratio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erum VEGF level. Conclusion:Serum VEGF concentration is mainly correlated with cellular crescent formation reflecting activity of the disease rather than chronic structural changes such as glomerular sclerosis or interstitial fibrosis. Elevated serum VEGF concentration seems to be due to the release of relatively large amounts of stored VEGF from damaged visceral epithelial cells. Serum VEGF concentration may be a useful marker to evaluate the degree of acute renal injury, especially cellular crescent formation. KCI Citation Count: 0
AbstractList 목 적: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VEGF)는 혈관 내피 세포의 증식과 혈관 신생, 혈관 투과도의 증가 등을 유발하는 특이한 성장인자로서 신장에서도 생성된다고 하나 아직 완전한 기능은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저자들은 원발성 사구체 질환 중에서 가장 흔한 IgA 신병증 환자를 대상으로 질병의 중증도와 관련된 여러 인자들과 혈청 VEGF 농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부산대학교병원 신장내과에 입원하여 신생검 시행결과 IgA 신병증으로 진단된 2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혈청 VEGF를 Sandwich ELISA 방법으로 정량 하였으며 조직학적 소견을 포함한 질환의 중증도를 반영하는 인자들과 혈청 VEGF 농도와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결 과:조직학적 중증도, 조직 표본중의 반월(crescent)의 비율, 혈청 중의 크레아티닌, 알부민, IgA들의 각각의 농도와 24시간 요단백 배설량, 크레아티닌 청소율을 구하여 이들과 혈청 VEGF 농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조직학적 등급(r=0.471, p<0.05), 세포성 반월의 비율(r=0.485, p<0.05), 간질 섬유화의 정도(r=0.562, p<0.01), 24시간 요단백 배설량(r=0.439, p< 0.05), 그리고 혈청 알부민 농도(r=-0.594, p<0.01)가 각각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보였다. 반월이 관찰되지 않았던 17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는 혈청 알부민 농도만이 혈청 VEGF 농도와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보였다. 7명의 조직학적 등급 IV, V인 환자를 대상으로 혈청 VEGF의 농도를 조사한 결과 반월의 존재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 론:IgA 신병증에서 혈중 VEGF 농도는 조직학적 소견에서 사구체 경화와 같은 만성적인 변화보다는 급성 신손상을 반영하는 세포성 반월(cellular crescent)의 형성과 의미 있는 양(positive)의 상관 관계를 보인다. 따라서 혈청 VEGF 농도는 IgA 신병증 환자에서 급성 신 손상의 정도, 그 중에서도 특히 세포성 반월 형성을 반영하는 좋은 표지자로 판단된다. Background: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is a potent enhancer of microvascular permeability and a selective endothelial cell growth factor. In human kidney, VEGF is expressed mainly in glomerular visceral epithelial cells.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levels of VEGF and factors reflecting the severity of disease including histological patterns in order to elucidate the relevance of VEGF in the pathogenesis of IgA nephropathy. Methods:Serum VEGF was studied using a sandwich ELISA from 21 patients with IgA nephropathy. Histological patterns are classified to 5 grades by WHO classification and frequencies of crescent and glomerular sclerosis, degree of interstitial fibrosis were recorded. Serum concentrations of creatinine, albumin, IgA, amounts of 24 hour urine protein excretion, and creatinine clearances are also evaluated. Results:Serum VEGF level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histological grade(r=0.471, p<0.05), frequency of cellular crescent(r=0.485, p<0.05), degree of interstitial fibrosis(r=0.562, p<0.01), and 24 hour urine protein excretion(r=0.439, p<0.05), and inversely with serum albumin concentration(r=-0.594, p<0.01). Studies in 17 patients without crescent formation revealed that only serum albumin concentratio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erum VEGF level. Conclusion:Serum VEGF concentration is mainly correlated with cellular crescent formation reflecting activity of the disease rather than chronic structural changes such as glomerular sclerosis or interstitial fibrosis. Elevated serum VEGF concentration seems to be due to the release of relatively large amounts of stored VEGF from damaged visceral epithelial cells. Serum VEGF concentration may be a useful marker to evaluate the degree of acute renal injury, especially cellular crescent formation. KCI Citation Count: 0
Author 이수봉
나하연
곽임수
이동원
정현철
김용범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이수봉
  organization: (부산대학교)
– sequence: 2
  fullname: 이동원
  organization: (부산대학교)
– sequence: 3
  fullname: 김용범
  organization: (부산대학교)
– sequence: 4
  fullname: 곽임수
  organization: (부산대학교)
– sequence: 5
  fullname: 나하연
  organization: (부산대학교)
– sequence: 6
  fullname: 정현철
  organization: (울산대학교)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211326$$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rjYmDJy89LZWLgNDIyNNS1NDQxYIGzjY04GHiLizOTDEwNzI1NzCwsOBnCPdMdFd50L3i9eeKbZXPfTJ_wpmWOwtsZHW-WTFQISyxOLs1JLFJwzUvJL8lIzclMzFFwL8ovL8lwS0wuyS9SeN3W-7q_5c3cGQpv5rW8aW58s6BRAcgDIh4G1rTEnOJUXijNzaDh5hri7KGbV5QWn52cGZ-fmAmm0_Pjs4viHYNCPOPNzYwMLYyNSVAKANlBVnU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ACYCR
DatabaseNam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iscipline Medicine
DocumentTitleAlternate Serum Levels of VEGF inIgA Nephropathy
EISSN 2211-9140
EndPage 559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762183
GroupedDBID .~1
0SF
1~.
1~5
4.4
457
4G.
5VS
6I.
7-5
8JR
AACTN
AAEDT
AAEDW
AAFTH
AAIKJ
AALRI
AAXUO
ABBQC
ABMAC
ACGFS
ACYCR
ADBBV
ADEZE
ADMUD
ADRAZ
AEKER
AEXQZ
AGHFR
AGYEJ
AITUG
AJRQY
AKRWK
ALMA_UNASSIGNED_HOLDINGS
AMRAJ
AOIJS
BAWUL
BCNDV
DIK
EBS
EF.
EJD
FDB
FEDTE
FNPLU
GBLVA
GROUPED_DOAJ
HVGLF
HYE
HZB
HZ~
IPNFZ
KQ8
M41
M48
MO0
NCXOZ
O-L
OK1
P-8
P-9
PC.
Q38
RIG
ROL
RPM
SDF
SSZ
ID FETCH-nrf_kci_oai_kci_go_kr_ARTI_7621833
ISSN 2211-9132
IngestDate Tue Jun 25 21:12:58 EDT 2024
IsPeerReviewed true
IsScholarly true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nrf_kci_oai_kci_go_kr_ARTI_7621833
Notes G704-000889.2002.21.4.003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762183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02-08
PublicationDateYYYYMMDD 2002-08-01
PublicationDate_xml – month: 08
  year: 2002
  text: 2002-08
PublicationDecade 2000
PublicationTitle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PublicationYear 2002
Publisher 대한신장학회
Publisher_xml – name: 대한신장학회
SSID ssib050734688
ssj0000684936
Score 3.0141237
Snippet 목 적: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VEGF)는 혈관 내피 세포의 증식과 혈관 신생, 혈관 투과도의 증가 등을 유발하는 특이한 성장인자로서 신장에서도 생성된다고 하나 아직 완전한 기능은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저자들은 원발성 사구체 질환 중에서...
SourceID nrf
SourceType Open Website
StartPage 553
SubjectTerms 내과학
Title IgA 신병증에서 혈중 Vascular Endothelial GrowthFactor 농도의 임상적 의의
UR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211326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2002, 21(4), , pp.553-559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1Pa9RAFB-6PYgX8V_xT5URHBCWyCYz2cwcJ7tZW6Weqva2JNlsW1aysGwvvRUXEUS0J3uw0oP4BfxYO34H30wm2axUrEIIk5fHb2byHjPvDe-9IPQwHXo89QPPYV7qOyzwqJNwGjupG2Qsi-NBZrLStp63N16wpzv-zkpjrRa1dDBNHqeH5-aV_I9UgQZy1Vmy_yDZChQI0Ab5wh0kDPcLyXhzVzZJ1CE8JLJFopCElAhXU2SbiK5uiICIluFhRHSAu0sEJ5wbJiC5zZdlLGqUD3Q61mt9hv4EvPPpXs_8jKepkXmb8K5p9DSURtZIpnsRWRKnYJga5BY0mhVX1aibws_2BzksSLbakE2wK_M0y-StUh8sQlh0ww1mqB-5OIfFjFIIQwmJaC1YJAmFDu7QbySRwqB4RLAlFkrC7vLEeDn48oDEq8LzCpU2nXYMNEzUh29dE4xBkn75SpiGBP7FMuyBi6zjE4o9I6vTikJTdun3i6LH1orwbZ3zpQLfv228SyW-R-l-f3fcH0364Mhs9mGPgsW2gRrUrR8UwCoJBjxlbVtkrrA3OBPmX5jVUMFQyifDmqG0fRVdsR4OloW6XkMro_F1dGnLxnDcQK9Aa7F6fzb_cay-n6rPn9TsC_558k59O8alLuKaLuK6LuL52w_zjzN1eoLV15l6c6TOjjA8wXUTPepF250NB8Zk5vnH-dI1tJqP8-wWwlnsMu3L0yQJ2MCnSUY5mJLCHYKPEGfxbfTgr3B3LsBzF11eKM06Wp1ODrJ7YGdOk_vms_8CnWZtwg
linkProvider Directory of Open Access Journals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IgA+%EC%8B%A0%EB%B3%91%EC%A6%9D%EC%97%90%EC%84%9C+%ED%98%88%EC%A4%91+Vascular+Endothelial+GrowthFactor+%EB%86%8D%EB%8F%84%EC%9D%98+%EC%9E%84%EC%83%81%EC%A0%81+%EC%9D%98%EC%9D%98&rft.jtitle=Kidney+research+and+clinical+practice&rft.au=%EC%9D%B4%EC%88%98%EB%B4%89&rft.au=%EC%9D%B4%EB%8F%99%EC%9B%90&rft.au=%EA%B9%80%EC%9A%A9%EB%B2%94&rft.au=%EA%B3%BD%EC%9E%84%EC%88%98&rft.date=2002-08-01&rft.pub=%EB%8C%80%ED%95%9C%EC%8B%A0%EC%9E%A5%ED%95%99%ED%9A%8C&rft.issn=2211-9132&rft.eissn=2211-9140&rft.spage=553&rft.epage=559&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762183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211-9132&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211-9132&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211-9132&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