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G 시스템에서 저지연 통신을 위한 효율적인 세션 관리 기법

본 논문에서는 5G 시스템에서 저지연 통신들을 위한 효율적인 세션 관리 기법을 제안한다. 본논문에서의 효율적인 세션 관리 기법은 저지연 통신들을 위한 세션 설정 실패 시 불필요한 재시도 제어 오버헤드를 방지, 단말의 배터리 소모를 막고 네트워크 리소스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만약 단말이 네트워크 실패 혹은 리소스 부족으로 인하여 5G 시스템과의 저전력 통신을 위한 Always-on PDU 세션 설정이 실패했을 때, 5G 네트워크로부터 실패 관련 특정 정보를 포함한 NAS 메시지에 의하여 단말의 Always...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25(2) pp. 83 - 92
Main Authors 김재현, 김석규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컴퓨터정보학회 01.02.2020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598-849X
2383-9945
DOI10.9708/jksci.2020.25.02.083

Cover

More Information
Summary:본 논문에서는 5G 시스템에서 저지연 통신들을 위한 효율적인 세션 관리 기법을 제안한다. 본논문에서의 효율적인 세션 관리 기법은 저지연 통신들을 위한 세션 설정 실패 시 불필요한 재시도 제어 오버헤드를 방지, 단말의 배터리 소모를 막고 네트워크 리소스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만약 단말이 네트워크 실패 혹은 리소스 부족으로 인하여 5G 시스템과의 저전력 통신을 위한 Always-on PDU 세션 설정이 실패했을 때, 5G 네트워크로부터 실패 관련 특정 정보를 포함한 NAS 메시지에 의하여 단말의 Always-on PDU 세션 재설정을 제한한다. 실험 결과, 현재 3GPP 5G 시스템에서의 세션 관리 방안과 비교하여 제안하는 ESMS는 불필요한 제어 오버헤드를 최소화하고, 단말의 배터리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session management scheme for low-latency communications in 5G systems. The main idea of the proposed scheme is to prevent unnecessary reattempt signalling overhead when the session establishment for low-latency communications fails. Also, this method avoids network resource waste and battery drain of mobile devices. If a UE(User Equipment) fails to establish an Always-on PDU session for low-latency communications with the 5G systems because of network failure or resource unavailability, the proposed method prevents the UE’s re-establishment of the Always-on PDU session by the specific information in the NAS(Non-Stratum) message from the 5G systems. Through simulation, we show that the proposed efficient session management scheme (ESMS) minimizes unnecessary signalling overhead and improves battery efficiency of mobile devices compared to existing legacy mechanism in 5G systems. KCI Citation Count: 0
ISSN:1598-849X
2383-9945
DOI:10.9708/jksci.2020.25.02.0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