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현장의 폐기물 관리 성과 평가 툴 개발: 2단계 - 폐기물 관리 성과 요인의 정량화 및 평가 툴 구축

1997년 교토의정서 체결과 같은 국제적 차원의 환경관련 규제와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많은 연구들이 효과적으로 친환경성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나 기술의 필요성을 강조해왔다. 본 연구는 건설 프로젝트의 친환경성을 평가하는 도구의 일환으로 건설현장의 폐기물 관리 성과 평가 툴을 구축하고자 한다. 이 평가 툴의 목적은 폐기물 저감 및 재활용 확대 측면에서 건설현장의 폐기물 관리 성과가 어느 정도 수준인지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평가 툴을 구축하기 위한 기반으로서, 선행연구에서 파악된 폐기물 관리 성과 요인의 성과 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8(4) pp. 128 - 136
Main Authors 신동우, 차희성, 김지혜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건설관리학회 01.08.2007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005-6095
2465-9703

Cover

Abstract 1997년 교토의정서 체결과 같은 국제적 차원의 환경관련 규제와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많은 연구들이 효과적으로 친환경성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나 기술의 필요성을 강조해왔다. 본 연구는 건설 프로젝트의 친환경성을 평가하는 도구의 일환으로 건설현장의 폐기물 관리 성과 평가 툴을 구축하고자 한다. 이 평가 툴의 목적은 폐기물 저감 및 재활용 확대 측면에서 건설현장의 폐기물 관리 성과가 어느 정도 수준인지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평가 툴을 구축하기 위한 기반으로서, 선행연구에서 파악된 폐기물 관리 성과 요인의 성과 수준을 정량적으로 산정하기 위해 전문가 면담 및 설문을 통해 각 요인별 관리 행위 수준과 이들의 중요도를 파악하였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평가 툴 구축 개념을 기반으로 실질적으로 전산화된 평가 툴을 개발하여 개별 건설현장 차원에서의 평가가 용이하도록 했다. 특히, 평가의 결과로서 제시되는 최종지표(TI) 및 지표등급(IR)은 건설현장의 폐기물 관리 수준을 정량적으로 비교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이 될 수 있다. 폐기물 관리 성과 평가 툴은 건설현장의 폐기물 관리효과를 증진시키기 원하는 시공자 측면뿐만 아니라, 발주자 측면에서도 일정정도의 폐기물 관리수준을 객관적으로 요구할 수 있으므로 그 활용범위가 넓을 것으로 판단된다. 실제 현장에서의 적용가능성과 신뢰도를 검증하는 등의 세부적인 연구가 뒤따른다면 보다 효과적인 건설폐기물 관리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As the international-level concern has been focused on the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 recent years, many researches emphasized the needs for methods and techniques that would facilitate sustainability assessment at the various project level interfaces. As part of methods and techniques to facilitate sustainability assessment, this paper provides 'Computerized Waste Management Performance Evaluation Tool' for the purpose of assessing the level of management system in dealing with the on-site construction wastes. This tool applies twenty-three waste management performance factors for the purpose of evaluating the level of waste management performance by scoring those factors which were identified in the previous research. These twenty-three factors a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manpower, material, method, and management based on their characteristics. In order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waste management performance, the levels of actions executed in a site by each waste management performance factor were identified and their weight were analyzed throughout the expert interview and survey. Furthermore, an excel-based computerized tool was developed in order to facilitate the evaluation process. If this tool can be developed in more detail and be used as the method to control waste management at a project level for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is tool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body of knowledge of environmental management in construction industry. KCI Citation Count: 1
AbstractList 1997년 교토의정서 체결과 같은 국제적 차원의 환경관련 규제와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많은 연구들이 효과적으로 친환경성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나 기술의 필요성을 강조해왔다. 본 연구는 건설 프로젝트의 친환경성을 평가하는 도구의 일환으로 건설현장의 폐기물 관리 성과 평가 툴을 구축하고자 한다. 이 평가 툴의 목적은 폐기물 저감 및 재활용 확대 측면에서 건설현장의 폐기물 관리 성과가 어느 정도 수준인지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평가 툴을 구축하기 위한 기반으로서, 선행연구에서 파악된 폐기물 관리 성과 요인의 성과 수준을 정량적으로 산정하기 위해 전문가 면담 및 설문을 통해 각 요인별 관리 행위 수준과 이들의 중요도를 파악하였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평가 툴 구축 개념을 기반으로 실질적으로 전산화된 평가 툴을 개발하여 개별 건설현장 차원에서의 평가가 용이하도록 했다. 특히, 평가의 결과로서 제시되는 최종지표(TI) 및 지표등급(IR)은 건설현장의 폐기물 관리 수준을 정량적으로 비교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이 될 수 있다. 폐기물 관리 성과 평가 툴은 건설현장의 폐기물 관리효과를 증진시키기 원하는 시공자 측면뿐만 아니라, 발주자 측면에서도 일정정도의 폐기물 관리수준을 객관적으로 요구할 수 있으므로 그 활용범위가 넓을 것으로 판단된다. 실제 현장에서의 적용가능성과 신뢰도를 검증하는 등의 세부적인 연구가 뒤따른다면 보다 효과적인 건설폐기물 관리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As the international-level concern has been focused on the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 recent years, many researches emphasized the needs for methods and techniques that would facilitate sustainability assessment at the various project level interfaces. As part of methods and techniques to facilitate sustainability assessment, this paper provides 'Computerized Waste Management Performance Evaluation Tool' for the purpose of assessing the level of management system in dealing with the on-site construction wastes. This tool applies twenty-three waste management performance factors for the purpose of evaluating the level of waste management performance by scoring those factors which were identified in the previous research. These twenty-three factors a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manpower, material, method, and management based on their characteristics. In order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waste management performance, the levels of actions executed in a site by each waste management performance factor were identified and their weight were analyzed throughout the expert interview and survey. Furthermore, an excel-based computerized tool was developed in order to facilitate the evaluation process. If this tool can be developed in more detail and be used as the method to control waste management at a project level for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is tool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body of knowledge of environmental management in construction industry. KCI Citation Count: 1
Author 차희성
신동우
김지혜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신동우
  organization: (아주대학교)
– sequence: 2
  fullname: 차희성
  organization: (아주대학교)
– sequence: 3
  fullname: 김지혜
  organization: (아주대학교)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090405$$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rjYmDJy89LZWLgNDIxM9W1NDcwZgGyDQxMdc0MLE05GHiLizOTDIzNjMwtDQwtOBnaXm3c8qZlydsZLW_mLX0zd4bC2_4Jr3ZseL1mj8KrLQ2vl61ReNOy8dXmPUDxzlcbGhTedmxReLVhzusNc6wUjF53r3i1uUVBF6emN7OmvJm7A2TsmwVTX8_vfDtzisLrDf0ohm1d82bbVB4G1rTEnOJUXijNzaDh5hri7KGbV5QWn52cGZ-fmAmm0_Pjs4viHYNCPOPNDID-MjMmQSkAmaF-LQ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ACYCR
DatabaseNam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Development of the Construction Waste Management Performance Evaluation Tool (WMPET)
EISSN 2465-9703
EndPage 136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602006
GroupedDBID .UV
ACYCR
ID FETCH-nrf_kci_oai_kci_go_kr_ARTI_6020063
ISSN 2005-6095
IngestDate Wed Dec 20 03:38:54 EST 2023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nrf_kci_oai_kci_go_kr_ARTI_6020063
Notes http://www.auric.or.kr/user/rdoc/doc_rdoc_kci.asp?catvalue=3&returnVal=RD_R&page=1&dn=207760
G704-001084.2007.8.4.001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602006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07-08
PublicationDateYYYYMMDD 2007-08-01
PublicationDate_xml – month: 08
  year: 2007
  text: 2007-08
PublicationDecade 2000
PublicationTitle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8(4)
PublicationYear 2007
Publisher 한국건설관리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건설관리학회
SSID ssib036279018
ssib044750969
ssib008451774
ssib053377154
Score 2.759904
Snippet 1997년 교토의정서 체결과 같은 국제적 차원의 환경관련 규제와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많은 연구들이 효과적으로 친환경성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나 기술의 필요성을 강조해왔다. 본 연구는 건설 프로젝트의 친환경성을 평가하는 도구의 일환으로 건설현장의 폐기물 관리 성과 평가 툴을...
SourceID nrf
SourceType Open Website
StartPage 128
SubjectTerms 건축공학
Title 건설현장의 폐기물 관리 성과 평가 툴 개발: 2단계 - 폐기물 관리 성과 요인의 정량화 및 평가 툴 구축
UR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090405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2007, 8(4), , pp.128-136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rV3Ni9NAFB_WnvQgiorfRHBACJGkmWRmvCVpyyqspxX2VvqRFSm0ULoXD7KHIi4e1sMurLKrHlQ89NBlq-xh_6Ik_R98M5Om6dLFKnsJry9vfn2_eTOZN2Eyg9BD6ro1M6y5Rh3GU4MUmwS6FA0N6qzTGvQ-tyjPT1l57i6_IM_WnLWlwqXcqqWNXv1x4_Xc70r-J6qgg7iKr2T_IbIZKChAhvjCFSIM14VijMse9i3sE1wOMCPYA6GEORMyaHgZe44UhFIX91gFc1MWY9gHwcdegP1Alyoilj0IlQtaPcUEfHHPVlYSgXGpMsFcqQCL6KmOBwJCCbanF8UvBpgshWFEN87FFaDlYU5SfgCSIxpgDxxwBAJX_sINDtZ66hyrLEDGER4Blu9idUTnJIuXcI6kqsxK8yJxmsaklPLGwyyQ3jAH-EzoSxYexdwSbZ9B-k9y72okuC-4iXIVCSWrwTfzJkBGVHdJVIdiICtvagIFuPRM_pcQZKvhwcw7IJqtQFS99rxYT8ceuUGt2ItQpQlKR1zH4NS0c-OdlX7Zr1Iny56zq_mpbGNmX_NW41X1Zafa6lZh9va06ppq-_wLtiWGrJU35WxoYMSxcjMVSLsoZLLZ0CG2rYTJeJaZwySGUkuegZhRgeyx3V3PZY-rV9DldNqneaoPX0VLrc419DY6HCX9b-O9fvL5e3Kwp423P0THw3hwokWjzfjHQEv6h9HRCei3ouGmNn430qLhfjzcf6IV4_c_o6O-ZpxZKPm0kxwcC9jk6278ZWv8cUeLh9szYL8Gye_d6-hRpbwaLBvgt6yrM-vMvoEK7U47vIk0twFTPJuYTUKaJGyQetN1xIPYJHWbhsS8hR78Fe72AjZ30MVpU7yLCr3uRngPEvRe_b4M3R9rRL4x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A%B1%B4%EC%84%A4%ED%98%84%EC%9E%A5%EC%9D%98+%ED%8F%90%EA%B8%B0%EB%AC%BC+%EA%B4%80%EB%A6%AC+%EC%84%B1%EA%B3%BC+%ED%8F%89%EA%B0%80+%ED%88%B4+%EA%B0%9C%EB%B0%9C%3A+2%EB%8B%A8%EA%B3%84+-+%ED%8F%90%EA%B8%B0%EB%AC%BC+%EA%B4%80%EB%A6%AC+%EC%84%B1%EA%B3%BC+%EC%9A%94%EC%9D%B8%EC%9D%98+%EC%A0%95%EB%9F%89%ED%99%94+%EB%B0%8F+%ED%8F%89%EA%B0%80+%ED%88%B4+%EA%B5%AC%EC%B6%95&rft.jtitle=%ED%95%9C%EA%B5%AD%EA%B1%B4%EC%84%A4%EA%B4%80%EB%A6%AC%ED%95%99%ED%9A%8C+%EB%85%BC%EB%AC%B8%EC%A7%91%2C+8%284%29&rft.au=%EC%8B%A0%EB%8F%99%EC%9A%B0&rft.au=%EC%B0%A8%ED%9D%AC%EC%84%B1&rft.au=%EA%B9%80%EC%A7%80%ED%98%9C&rft.date=2007-08-01&rft.pub=%ED%95%9C%EA%B5%AD%EA%B1%B4%EC%84%A4%EA%B4%80%EB%A6%AC%ED%95%99%ED%9A%8C&rft.issn=2005-6095&rft.eissn=2465-9703&rft.spage=128&rft.epage=136&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602006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005-6095&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005-6095&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005-6095&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