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육교사를 위한 아동 건강관리 프로토콜 개발 및 평가

본 연구는 아동 건강관리의 주요한 요소로 이를 10 Kid Keys (건강검진/성장발달, 건강생활실천, 전염성 질환관리, 안전사고 및 재해, 응급상황 대처 및 연계, 아동학대, 영양/비만, 교사의 질, 부모교육, 보육시설 지도/감독)로 명명하고 10개의 영역으로 구분된 <영유아 건강관리 프로토콜>을 개발한 연구로, 연구의 목적은 보육시설 현장에서 영유아 건강관리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함이다. 영유아 건강관리 프로토콜을 개발하기 위해 2009년 3월부터 8월까지 이론적 기틀 개발, 프로토콜 개발 및 평가를 수행하였다. 프로토...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pp. 74 - 83
Main Authors 김신정, 양순옥, 이승희, 이정은, 김성희, 강경아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한국아동간호학회 01.04.2011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2287-9110
2287-9129

Cover

Abstract 본 연구는 아동 건강관리의 주요한 요소로 이를 10 Kid Keys (건강검진/성장발달, 건강생활실천, 전염성 질환관리, 안전사고 및 재해, 응급상황 대처 및 연계, 아동학대, 영양/비만, 교사의 질, 부모교육, 보육시설 지도/감독)로 명명하고 10개의 영역으로 구분된 <영유아 건강관리 프로토콜>을 개발한 연구로, 연구의 목적은 보육시설 현장에서 영유아 건강관리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함이다. 영유아 건강관리 프로토콜을 개발하기 위해 2009년 3월부터 8월까지 이론적 기틀 개발, 프로토콜 개발 및 평가를 수행하였다. 프로토콜 개발은 교수설계 모형 중 하나인 ADDIE 모형을 이용하였다. ADDIE 모형은 분석(analysis), 설계(design), 개발(development),실행(implement) 및 평가(evaluation)의 교수체제 개발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단계를 거쳐 개발된 본 아동 건강관리 프로토콜은 우리나라의 보육시설 어느 곳이든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실제적으로 일선 현장에서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아동 건강전문가로 이루어진 자문팀을 통한 평가와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전반적인 평가를 통해 어느 정도의 신뢰성과 타당성이 입증되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앞으로 본 프로토콜에 대한 계속적인 수정과 보완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본 프로토콜은 영유아 보육시설에 맞는 다양한 보육 프로그램들을 개발하고 적용할 수 있는 계기로 삼을 수 있을 것이며, 영유아들의 특성과 요구에 부응하는 다양한 변수를 고려하여 보육 프로그램에 반영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hild health care protocol for teachers in child day care centers. Methods:The ADDIE model with 10 Kid Keys was applied to develop this child health care protocol. All contents were developed through content validity test by 7 professionals and need assessment and evaluation by child day care center teachers. Results:This protocol consisted of 10 keys, as follows:「Health Examination/Growth & Development」,「Practice of Health Life」, 「Management of Communicable Disease」, 「Negligent Accident」,「Coping with Emergency and Transference」,「Child Abuse 」,「Nutrition/Obesity」,「Quality Assurance of Staff」,「Parent Education」,「Guidance & Supervision of Child Day Care Centers」. The contents contained goals, objectives, teaching content, suggested activities for children, writing forms related to each subject, and self-evaluation sheet. Conclusion: This protocol can be practical and effective for child health care in child day care centers and it is hoped that it will be utilized in more child day care centers. KCI Citation Count: 13
AbstractList 본 연구는 아동 건강관리의 주요한 요소로 이를 10 Kid Keys (건강검진/성장발달, 건강생활실천, 전염성 질환관리, 안전사고 및 재해, 응급상황 대처 및 연계, 아동학대, 영양/비만, 교사의 질, 부모교육, 보육시설 지도/감독)로 명명하고 10개의 영역으로 구분된 <영유아 건강관리 프로토콜>을 개발한 연구로, 연구의 목적은 보육시설 현장에서 영유아 건강관리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함이다. 영유아 건강관리 프로토콜을 개발하기 위해 2009년 3월부터 8월까지 이론적 기틀 개발, 프로토콜 개발 및 평가를 수행하였다. 프로토콜 개발은 교수설계 모형 중 하나인 ADDIE 모형을 이용하였다. ADDIE 모형은 분석(analysis), 설계(design), 개발(development),실행(implement) 및 평가(evaluation)의 교수체제 개발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단계를 거쳐 개발된 본 아동 건강관리 프로토콜은 우리나라의 보육시설 어느 곳이든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실제적으로 일선 현장에서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아동 건강전문가로 이루어진 자문팀을 통한 평가와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전반적인 평가를 통해 어느 정도의 신뢰성과 타당성이 입증되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앞으로 본 프로토콜에 대한 계속적인 수정과 보완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본 프로토콜은 영유아 보육시설에 맞는 다양한 보육 프로그램들을 개발하고 적용할 수 있는 계기로 삼을 수 있을 것이며, 영유아들의 특성과 요구에 부응하는 다양한 변수를 고려하여 보육 프로그램에 반영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hild health care protocol for teachers in child day care centers. Methods:The ADDIE model with 10 Kid Keys was applied to develop this child health care protocol. All contents were developed through content validity test by 7 professionals and need assessment and evaluation by child day care center teachers. Results:This protocol consisted of 10 keys, as follows:「Health Examination/Growth & Development」,「Practice of Health Life」, 「Management of Communicable Disease」, 「Negligent Accident」,「Coping with Emergency and Transference」,「Child Abuse 」,「Nutrition/Obesity」,「Quality Assurance of Staff」,「Parent Education」,「Guidance & Supervision of Child Day Care Centers」. The contents contained goals, objectives, teaching content, suggested activities for children, writing forms related to each subject, and self-evaluation sheet. Conclusion: This protocol can be practical and effective for child health care in child day care centers and it is hoped that it will be utilized in more child day care centers. KCI Citation Count: 13
Author 이승희
김신정
양순옥
강경아
이정은
김성희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김신정
  organization: (한림대학교)
– sequence: 2
  fullname: 양순옥
  organization: (한림대학교)
– sequence: 3
  fullname: 이승희
  organization: (가톨릭상지대학교)
– sequence: 4
  fullname: 이정은
  organization: (동남보건대학교)
– sequence: 5
  fullname: 김성희
  organization: (적십자간호대학)
– sequence: 6
  fullname: 강경아
  organization: (삼육대학교)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546162$$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rjYmDJy89LZWLgNDKyMNe1NDSyZIGzDQ04GHiLi7MMgMDCwsTQwoSTwfP15i1v5ix8tXXCm6Y1r5fuUXgzp-Xt1DkKb6a2vO6fqfBq45ZXG6a-2tLwetkahbdTWl4vnPO2bcGbvXMUXm2Y83rDHIXXG_oV3vZ3vtrQwMPAmpaYU5zKC6W5GTTcXEOcPXTzitLis5Mz4_MTM8F0en58dlG8Y1CIZ7yphaGBgbExCUoBsGpY3A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ACYCR
DatabaseNam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Child Health Care Protocol for Child Day Care Center Teachers
EISSN 2287-9129
EndPage 83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581003
GroupedDBID .UV
04C
5-W
8JR
8XY
9ZL
AAWTL
ACYCR
ADBBV
ALMA_UNASSIGNED_HOLDINGS
BAWUL
BCNDV
BMSDO
DIK
ECF
ECT
EF.
EIHBH
GROUPED_DOAJ
KVFHK
OK1
RPM
ID FETCH-nrf_kci_oai_kci_go_kr_ARTI_5810033
ISSN 2287-9110
IngestDate Tue Nov 21 21:40:37 EST 2023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true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nrf_kci_oai_kci_go_kr_ARTI_5810033
Notes G704-001009.2011.17.2.009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581003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1-04
PublicationDateYYYYMMDD 2011-04-01
PublicationDate_xml – month: 04
  year: 2011
  text: 2011-04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PublicationYear 2011
Publisher 한국아동간호학회
Publisher_xml – name: 한국아동간호학회
SSID ssj0000884184
ssib050730083
Score 3.5119708
Snippet 본 연구는 아동 건강관리의 주요한 요소로 이를 10 Kid Keys (건강검진/성장발달, 건강생활실천, 전염성 질환관리, 안전사고 및 재해, 응급상황 대처 및 연계, 아동학대, 영양/비만, 교사의 질, 부모교육, 보육시설 지도/감독)로 명명하고 10개의 영역으로 구분된 <영유아...
SourceID nrf
SourceType Open Website
StartPage 74
SubjectTerms 간호학
Title 보육교사를 위한 아동 건강관리 프로토콜 개발 및 평가
UR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546162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11, 17(2), , pp.74-83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V1LixNBEG529-RFXFR8rYxggxAimed2e5tHwq6gpxX2FjLJjEgggZC9eFokCJ7iwRyEObgHPe1hxHjTPzQz-Q9WV3dmJj5w9TJpaqq_qq6adFc33dWE3GdOaBu9AW863Daalg6-YD3bbEZR34hDK44MzHjz5Klz8Mx6fGwfb20_qu1aOpmGD_svf3uu5H-8CjTwqzgl-w-eLUGBAGXwLzzBw_C8kI9p26OeST2Ltn3KferqtO1Sz6a8JSjMoK4veFyben5DMTHgDigHJkWykeRR1qGcNxBBR0wotMRrUbDElggB5QBmAxEsVQ-kAixQGLxDwV4gwSUAqoCFhiqxDiKAQMYVl7xoqcyZII6YqzOa5e4ElZeoXL_Gmhz1glZ5SrYrVK5YoH0O5TqyMNQFKAwsssESKBsyRBSNC2iVlHKDxZUmQYpSelCtAlv1RZPSzsorbvCrvdfNl05h1GPrWlIPlzK_6qwNmHmKgUPKjeo0taIjBwh5JdE61DCrUXi98-CnwXkjDfiw_6L7fNwdTrow2Tns2kzHRLfbpl5fTICe1MZrCFTgiDEJY_A_FFssSkUhmBpN4lowdXSFXFazIM2Vn_Qu2RqOr5LD_MuySM6yr2-LV-f5x29akcxWi0QrFrN8_l7LPi-zdJEtT_NP59rq3Sw_S1avPxTfEy1LkzxNtDyda6v5myw9vUYedNpH_kETRGNz_tgs8zrZGY1H0Q2i7TtRKx7sG3Ev5tYgjkP4aZmiJ-nrzDGdm-TeX-FuXYDnNrlUfSt3yM50chLtQcg5De-idX8A1pJtxw
linkProvider Directory of Open Access Journals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B3%B4%EC%9C%A1%EA%B5%90%EC%82%AC%EB%A5%BC+%EC%9C%84%ED%95%9C+%EC%95%84%EB%8F%99+%EA%B1%B4%EA%B0%95%EA%B4%80%EB%A6%AC+%ED%94%84%EB%A1%9C%ED%86%A0%EC%BD%9C+%EA%B0%9C%EB%B0%9C+%EB%B0%8F+%ED%8F%89%EA%B0%80&rft.jtitle=Child+health+nursing+research&rft.au=%EA%B9%80%EC%8B%A0%EC%A0%95&rft.au=%EC%96%91%EC%88%9C%EC%98%A5&rft.au=%EC%9D%B4%EC%8A%B9%ED%9D%AC&rft.au=%EC%9D%B4%EC%A0%95%EC%9D%80&rft.date=2011-04-01&rft.pub=%ED%95%9C%EA%B5%AD%EC%95%84%EB%8F%99%EA%B0%84%ED%98%B8%ED%95%99%ED%9A%8C&rft.issn=2287-9110&rft.eissn=2287-9129&rft.spage=74&rft.epage=83&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581003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2287-9110&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2287-9110&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2287-9110&client=summ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