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인류학적 관점에서 고찰하는 상하이 민족지(1)―『해상화열전』

이 글은 흔히 허구라고 인식된 소설 텍스트를 민족지 텍스트로 설정했다. 민족지학자가 현지에 들어가 일정 기간 참여관찰을 통해 조사하고 핵심인물을 인터뷰해서 민족지를 기록하듯이, 작가 또한 현지조사와 참여관찰 그리고 인터뷰를 하는데, 이런 과정을 거친 작품을 민족지로 설정한 것이다. 이를 위해 민족지와 문학 텍스트의 유사성을 이론적으로 점검해보았다. 이 연구의 기본적인 전제는 다음과 같다. 흔히 허구라고 인식된 근현대소설 텍스트를 인류학적 텍스트로 설정해보자는 것이다. 그리고 인류학자가 현지에 들어가 일정 기간 참여관찰을 통해 조사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Published in외국문학연구, 0(56) pp. 257 - 278
Main Author 임춘성
Format Journal Article
LanguageKorean
Published 외국문학연구소 01.11.2014
Subjects
Online AccessGet full text
ISSN1226-444X
2671-8308

Cover

Abstract 이 글은 흔히 허구라고 인식된 소설 텍스트를 민족지 텍스트로 설정했다. 민족지학자가 현지에 들어가 일정 기간 참여관찰을 통해 조사하고 핵심인물을 인터뷰해서 민족지를 기록하듯이, 작가 또한 현지조사와 참여관찰 그리고 인터뷰를 하는데, 이런 과정을 거친 작품을 민족지로 설정한 것이다. 이를 위해 민족지와 문학 텍스트의 유사성을 이론적으로 점검해보았다. 이 연구의 기본적인 전제는 다음과 같다. 흔히 허구라고 인식된 근현대소설 텍스트를 인류학적 텍스트로 설정해보자는 것이다. 그리고 인류학자가 현지에 들어가 일정 기간 참여관찰을 통해 조사하고 핵심인물을 인터뷰해서 민족지를 기록하듯이, 작가 또한 현지조사와 참여관찰 그리고 인터뷰를 하는데, 이런 과정을 거친 작품을 민족지로 설정해 보자는 것이다. 전기를 생애사로, 소설가를 현지 조사하는 인류학자로, 소설 텍스트를 민족지로, 작중 인물을 정보제공자로 설정하는 것이다. 물론 모든 텍스트와 작가를 민족지와 인류학자로 볼 수는 없다. 가장 중요한 것은 ‘참여 관찰 participant observation’의 자세를 취하는 관찰자 화자와 시점이라 할 수 있다. 이 글은 최근 중국 근현대문학의 효시로 각광받고 있는 『해상화열전(海上花列傳)』을 상하이 민족지로 가정하고, 19세기 말 상하이 조계와 기루, 상하이의 새로운 주체 상인과 기녀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해상화열전』의 민족지 성격을 고찰했다. 그리고 『해상화열전』을 성찰과 개탄의 다성적 텍스트로 파악하는 동시에 그것을 잘 구현하고 있는 천삽(穿揷)과 장섬(藏閃)의 문학 장치의 효용성을 점검했다. This article take a novel text which have been recognized as a fiction as a ethnography text. As an ethnographist went into the field, investigated it for a definite period of time through the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terviewing key persons, lastly wrote a ethnography, an author did a field work,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terview. In order to first examine the possibility of considering a literary work as an ethnography, the research looks into the role of imagination and the mechanism of fictionalization. History of Shanghai literature is in fact a significant part of China’s modern and contemporary literary history, so much that it is difficult to consider it as an independent realm. On the other hand, ‘literary Shanghai,’ a term designating Shanghai found within the literature and also the literal text which represents Shanghai, is an approach similar to the notion of ‘Shanghai ethnography,’ which is why the research has reviewed several related texts. After theoretically examining the similarity between the ethnography and the literature text, this article analyzed Shanghai Flowers(海上花列傳) by HAN Bangqing(韓邦慶) which was spotlighted as the beginning of Chinese modern literature. This study supposed that Shanghai Flowers is a good Shanghai ethnography and analyzed its ethnographic aspect from the concession and the geisha house, the merchant and the geisha of Shanghai in nineteenth century. Finally this article took Shanghai Flowers as a polyphonic text and made an inspection of the virtue of its literature apparatus, which HAN called it ‘chuancha(穿揷)’ and ‘cangshan(藏閃)’. KCI Citation Count: 1
AbstractList 이 글은 흔히 허구라고 인식된 소설 텍스트를 민족지 텍스트로 설정했다. 민족지학자가 현지에 들어가 일정 기간 참여관찰을 통해 조사하고 핵심인물을 인터뷰해서 민족지를 기록하듯이, 작가 또한 현지조사와 참여관찰 그리고 인터뷰를 하는데, 이런 과정을 거친 작품을 민족지로 설정한 것이다. 이를 위해 민족지와 문학 텍스트의 유사성을 이론적으로 점검해보았다. 이 연구의 기본적인 전제는 다음과 같다. 흔히 허구라고 인식된 근현대소설 텍스트를 인류학적 텍스트로 설정해보자는 것이다. 그리고 인류학자가 현지에 들어가 일정 기간 참여관찰을 통해 조사하고 핵심인물을 인터뷰해서 민족지를 기록하듯이, 작가 또한 현지조사와 참여관찰 그리고 인터뷰를 하는데, 이런 과정을 거친 작품을 민족지로 설정해 보자는 것이다. 전기를 생애사로, 소설가를 현지 조사하는 인류학자로, 소설 텍스트를 민족지로, 작중 인물을 정보제공자로 설정하는 것이다. 물론 모든 텍스트와 작가를 민족지와 인류학자로 볼 수는 없다. 가장 중요한 것은 ‘참여 관찰 participant observation’의 자세를 취하는 관찰자 화자와 시점이라 할 수 있다. 이 글은 최근 중국 근현대문학의 효시로 각광받고 있는 『해상화열전(海上花列傳)』을 상하이 민족지로 가정하고, 19세기 말 상하이 조계와 기루, 상하이의 새로운 주체 상인과 기녀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해상화열전』의 민족지 성격을 고찰했다. 그리고 『해상화열전』을 성찰과 개탄의 다성적 텍스트로 파악하는 동시에 그것을 잘 구현하고 있는 천삽(穿揷)과 장섬(藏閃)의 문학 장치의 효용성을 점검했다. This article take a novel text which have been recognized as a fiction as a ethnography text. As an ethnographist went into the field, investigated it for a definite period of time through the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terviewing key persons, lastly wrote a ethnography, an author did a field work,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terview. In order to first examine the possibility of considering a literary work as an ethnography, the research looks into the role of imagination and the mechanism of fictionalization. History of Shanghai literature is in fact a significant part of China’s modern and contemporary literary history, so much that it is difficult to consider it as an independent realm. On the other hand, ‘literary Shanghai,’ a term designating Shanghai found within the literature and also the literal text which represents Shanghai, is an approach similar to the notion of ‘Shanghai ethnography,’ which is why the research has reviewed several related texts. After theoretically examining the similarity between the ethnography and the literature text, this article analyzed Shanghai Flowers(海上花列傳) by HAN Bangqing(韓邦慶) which was spotlighted as the beginning of Chinese modern literature. This study supposed that Shanghai Flowers is a good Shanghai ethnography and analyzed its ethnographic aspect from the concession and the geisha house, the merchant and the geisha of Shanghai in nineteenth century. Finally this article took Shanghai Flowers as a polyphonic text and made an inspection of the virtue of its literature apparatus, which HAN called it ‘chuancha(穿揷)’ and ‘cangshan(藏閃)’. KCI Citation Count: 1
Author 임춘성
Author_xml – sequence: 1
  fullname: 임춘성
  organization: (목포대학교)
BackLink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32708$$DAccess content in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BookMark eNrjYmDJy89LZWLgNDIzN9S1MDawYGHgNDQyMtM1MTGJ4GDgLS7OTDIwMDEzMbc0seRkiH69ZsfbqTPfzN3xeukMEGNBo8KrLQ1vFkx4M33Cm5Y5Cq82L3izYcPbqTNed01ReNPcCGS9mbtF4fX6PW8WbnyzvEHDUPNRw9THDX1vp24BSc-c8mb6ljcLWh439PMwsKYl5hSn8kJpbgYNN9cQZw_dvKK0-OzkzPj8xEwwnZ4fn10U7xgU4hlvamxhaW5gTIJSAGAlZW4
ContentType Journal Article
DBID ACYCR
DatabaseName Korean Citation Index
DatabaseTitleList
DeliveryMethod fulltext_linktorsrc
DocumentTitleAlternate Shanghai Ethnography with the Perspective of Literature Anthropology(1)―Shanghai Flowers
EISSN 2671-8308
EndPage 278
ExternalDocumentID oai_kci_go_kr_ARTI_538970
GroupedDBID ACYCR
ALMA_UNASSIGNED_HOLDINGS
M~E
ID FETCH-nrf_kci_oai_kci_go_kr_ARTI_5389703
ISSN 1226-444X
IngestDate Tue Nov 21 21:37:42 EST 2023
IsPeerReviewed false
IsScholarly false
Language Korean
LinkModel OpenURL
MergedId FETCHMERGED-nrf_kci_oai_kci_go_kr_ARTI_5389703
Notes G704-000727.2014..56.012
ParticipantIDs nrf_kci_oai_kci_go_kr_ARTI_538970
PublicationCentury 2000
PublicationDate 2014-11
PublicationDateYYYYMMDD 2014-11-01
PublicationDate_xml – month: 11
  year: 2014
  text: 2014-11
PublicationDecade 2010
PublicationTitle 외국문학연구, 0(56)
PublicationYear 2014
Publisher 외국문학연구소
Publisher_xml – name: 외국문학연구소
SSID ssib004647949
ssib006781864
ssib044754902
Score 3.0929084
Snippet 이 글은 흔히 허구라고 인식된 소설 텍스트를 민족지 텍스트로 설정했다. 민족지학자가 현지에 들어가 일정 기간 참여관찰을 통해 조사하고 핵심인물을 인터뷰해서 민족지를 기록하듯이, 작가 또한 현지조사와 참여관찰 그리고 인터뷰를 하는데, 이런 과정을 거친 작품을 민족지로 설정한 것이다....
SourceID nrf
SourceType Open Website
StartPage 257
SubjectTerms 문학
Title 문학인류학적 관점에서 고찰하는 상하이 민족지(1)―『해상화열전』
UR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932708
hasFullText 1
inHoldings 1
isFullTextHit
isPrint
ispartofPNX 외국문학연구, 2014, 0(56), , pp.257-278
link http://utb.summon.serialssolutions.com/2.0.0/link/0/eLvHCXMwnR1Na9RAdOj25EUUFT-qRHCgWlJ2kslk5phkU6pQTxUKHpbNbiKysAvL9uJBUtpTD9pDl7ZgYT2IF8GKe-jBX2Nv3dn_4JtJ1iZisRaW8Pa9N2_ezHvJe5N9M4vQI7i_VOJhm6LVckxKrcgUbqNhRuA7PIEQy_RCceU5W35Bn605azOVJ4WqpfV-tNh889d9JZexKuDArmqX7H9Y9rdQQAAM9oUrWBiuF7IxDn3sBdjnOKxh4WAhcBhgUdMYIAGmTPKqkDku4NDDPlU1DhlKaEC4OcApFkHGZCsyoPyq-uSStGzuYUEXNLsNMgu0TAFFAw2WsB_oXgj2iQZc1a8FLSwxLbRwcGgrgIe5GFCuJFhAX7mKGUmNg05blSoTNZvQEwD6O9irnTNJrh5RxhMoR1NaOazwZkSzhbojaM7ywcFXnxTflRCabxqcevclVVCyGeZBIUxA0gqOndWWLsYaZzGXmNyu8mI4yA7fzjMLK_uzovKh338E49Kx3-3m6_qrbr3dq8Pi5mkdYpNwqxVUsYl6oq-8DYu_T8OD9SwxhRSEFM7dV6c60rwAd6o6JFOdXlJIplavoav5KsjwMpe-jmba3Rvo5fjL8WRwIA-Px5_2FTDcME5HqRzuyL0dufXBOP0-lEdHk8H-eHvXkJsbAMnDkTH--kN-_CY_p_Pk8c90cJK-mwxGinywK_dGcrh1kr6_ieaXwtVg2QRl9IDPHbh9C812up34NjJ4bDuUtVjCSYOypBklDWDgdovEVhPWIHfQw3-Ku3sBnnvoypkbzaHZfm89vg9JaD96oOf_F3kwcOM
linkProvider ISSN International Centre
openUrl ctx_ver=Z39.88-2004&ctx_enc=info%3Aofi%2Fenc%3AUTF-8&rfr_id=info%3Asid%2Fsummon.serialssolutions.com&rft_val_fmt=info%3Aofi%2Ffmt%3Akev%3Amtx%3Ajournal&rft.genre=article&rft.atitle=%EB%AC%B8%ED%95%99%EC%9D%B8%EB%A5%98%ED%95%99%EC%A0%81+%EA%B4%80%EC%A0%90%EC%97%90%EC%84%9C+%EA%B3%A0%EC%B0%B0%ED%95%98%EB%8A%94+%EC%83%81%ED%95%98%EC%9D%B4+%EB%AF%BC%EC%A1%B1%EC%A7%80%281%29%E2%80%95%E3%80%8E%ED%95%B4%EC%83%81%ED%99%94%EC%97%B4%EC%A0%84%E3%80%8F&rft.jtitle=%EC%99%B8%EA%B5%AD%EB%AC%B8%ED%95%99%EC%97%B0%EA%B5%AC%2C+0%2856%29&rft.au=%EC%9E%84%EC%B6%98%EC%84%B1&rft.date=2014-11-01&rft.pub=%EC%99%B8%EA%B5%AD%EB%AC%B8%ED%95%99%EC%97%B0%EA%B5%AC%EC%86%8C&rft.issn=1226-444X&rft.eissn=2671-8308&rft.spage=257&rft.epage=278&rft.externalDBID=n%2Fa&rft.externalDocID=oai_kci_go_kr_ARTI_538970
thumbnail_l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lc.gif&issn=1226-444X&client=summon
thumbnail_m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mc.gif&issn=1226-444X&client=summon
thumbnail_s http://covers-cdn.summon.serialssolutions.com/index.aspx?isbn=/sc.gif&issn=1226-444X&client=summon